9 1691

Cited 0 times in

당뇨병환자에서 알부민뇨 검사로서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의 유용성

Other Titles
 (The) validity of random urine specimen albumin measurement as screening test for diabetic nephropathy 
Authors
 안철우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질환의 하나이며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에서 미세단백뇨는 수년 내애 임상적 단백뇨 및 만성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예견하는 지표로 잘 알려져 있다.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에서도 미세단백뇨는 당뇨병성 신증의 초기 지표가 되나, 그보다는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을 예견하는 지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단백뇨의 선별검사로서 무작위 단회소변검사 및 24시간 소변의 알부민 측정치를 비교 및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환자는

1997년 5월에서 1997년 8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 병뭔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받은 환자들 중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와 24시간 소변검사를 시행하였던 10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당조절을 하면서 단회소변으로 단백질, 알부민, 크레아티닌 농도 등을 측정하였고, 24시간 소변에서 단백질, 알부민, 크레아티닌 농도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환자의 중앙연령은 59세(13세-85세)였고, 남녀비는 52:53이었으며 평균 유병기간은 11.5년이었다.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은 12예(11.4%),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은 93예(88.6%)였다. 고혈압의 과거력은 18.1%에서 있었고, 평균체중은 60.9 ± 14.3kg, 평균신장

은 160.4 ± 16.6cm, 체질량계수(body mass index)는 22.5 ± 2.8kg/m**2이었다. 혈액검사상 공복시 혈당은 155.5 ±57.1mg/dl, HbA^^1c는 10.1 ± 2.2%이었다.

2. 24시간 소변검사에서 알부민배설율에 따라 분당 20μg이하인 정상단백뇨 환자군의 수는 50명, 분당 20μg에서 200μg까지의 미새단백뇨 환자군의 수는 30명, 분당 200μg이상인 거대단백뇨 환자군의 수는 25명이었다.

3. 무작위 단회소변을 이용한 미세단백뇨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소변검사에서 알부민배설율과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 및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상관계수는 각과 0.81, 0.75였고 유의율은 0.001이하였다.

4.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을 이용하여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미세단백뇨에 대한 알부민 농도의 cutoff point는 31.0mg/l로,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의 cutoff point는 32.5mg/g으로 설정하였다.

5.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을 이용하여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거대단백뇨에 대한 알부민 농도의 cutoff point는 181.0mg/1로,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의 cutoff point는 287.3mg/g으로 설정하였다.

6.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로 대상환자를 정상단백뇨, 미세단백뇨, 거대단백뇨로 분류하였고 미세단백뇨에 대한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의 cutoff point인 31.0mg/1의 예민도는 77%, 특이도는 82%였고 알부민-크레

아티닌 비의 cutoff point 인 32.5mg/g의 예민도는 77%, 특이도는 92%였다.

7. 거대단백뇨에 대한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의 cutoff point인 181.Omg/1의 예민도는 84%, 특이도는 90%였고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의 cutoff point인 287.3mg/g의 예민도는 88%, 특이도는 90%였다.

8.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로 대상환자를 정상단백뇨, 미세단백뇨, 거대단백뇨로 분류하였는데, 24시간 소변검사와의 일치율은 각각 82% ,53%, 80%였고,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와 24시간 소변검사와의 일치율은 각각92% ,63%, 88%였다.

9. 무작외 단회소변검사에서 미세단백뇨에 대한 알부민 농도의 AUC는 0.822였고,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의 AUC는 0.890이었으며, 거대단백뇨에 대한 알부민 농도의 AUC는 0.911였고,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의 AUC는 0.94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value>0.05).

10.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의 재현성에 대한 평가로 알부민 농도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를 입원기간 중 반복 측정하여 비교하였는데, 두 측정치들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value<0.05).

이상의 결과로 알부민뇨의 선별검사로서 무작위 단회소변검사에서 알부민 농도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는 24시간 소변검사의 알부민배설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당뇨병성 신증의 선별검사로서 간편하게 임상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Diabetic nephropathy is a common cause of end stage renal disease and also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diabetic patients. Diabetic nephropathy has two distinct, but interconnected stages(incipient diabetic nephropathy-microalbuminuria and overt diabetic nephropathy-macroalbuminuria). Th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the stage is very important for early intervention. Urinary albumin excretion rate (UAER) is the parameter between incipient and overt diabetic nephropathy. A timed urine collection (24hr or overnight) is the most sensitive assay to measure UAER, however, random urine specimen (RUS) is more practical and convenient than timed urine.

To assess the validity of urine albumin oncentration (UAC) and urine albumin:creating ratio (UACR) in RUS for screening of diabetic nephropathy.

A total of 105 ambulatory diabetes mellitus patients (52:53, men:women), ages 40-75 years(median 59 years) collected 105 RUSs after completing a timed 24hr urine collection. Albumin was measured by immunonephelometr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imed urinary UAER measured in the 24-h collection (criterion standard), samples were classified as normoalbuminuric(UAER< 20 μg/min; n=50), microalbuminuric(UAER 20-200 μg/min; n=30), and macroalbuminuric(UAER>200μg/min;

n=25).

2.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 of UAC and UACR in RUS for screening of microalbuminuria (normo- and microalbuminuric samples;n=80) and macroalbuminuria (micro- and macroalbuminuric samples; n=55) were plotted.

3. Pearson's coefficients of correlation of were 24-h UAER vs. UAC and UACR were 0.81 and 0.75, respectively (P<0.001).

4.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a 100%-to-100% diagonal for microalbuminuria were as follows: 31.Omg/l for UAC and 32.5mg/g for UACR; for macroalbuminuria 181mg/l for UAC and 287.3mg/g for UACR, respectively.

5.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ut-off points for microalbuminuria were 77% and 82% for UAC and 77% and 92% for UACR.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ut-off points for macroalbuminuria were 84% and 90% for UAC and 88% and 90% for UACR.

6. The calculated areas under the ROC curves to screen microalbuminuria for UAC(0.822) and UACR(0.890) were similar as were the corresponding areas for macroalbuminuria(0.911 and 0.941, respectively : p > 0.005).

7. The repeated measurements of UAC and UACR in the same individual were statistically similar and correlated each other.

Based on these results, albumin measurements (UAC and UACR) in RUS is considered as a valid test for screening diabetic nephropath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84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Ahn, Chul Woo(안철우)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3733-7486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