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36

Cited 0 times in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한 당뇨병 환자의 임상 및 면역유전학적 특성과 췌장 베타세포기능의 추적관찰

Other Titles
 Follow-up study of clinical and immunogenetic characteristics and pancreatic β-Cell function in newly d 
Authors
 김현수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에서 발병 연령이 비교적 젊은 성인 당뇨병 환자들 중 인슐린 분비능에 있어 비전형적 경과를 취하는 인슐린의존형 환자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당뇨병 환자가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젊은 연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분비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청 C-peptide치를 추적 검사하였고 추적 혈청 C-peptide검사상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는 환자들에서 이러한 특성을 예견할 수 있는 지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처음 입원당시의 공복 혈청 C-peptide치에 따라 환자를 세 군으로 분류(1군; 0.6ng/ml미만, 2군; 0.6ng/ml이상 1.2ng/ml미만, 3군; 1.2n

g/ml이상)하였고, 추적검사시의 혈청 C-peptide치에 따라 대상 환자를 다시 분류하여 이들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환자는 82예로 평균 연령은 23.0±7.1(15-35)세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46예, 여자 36예였고 전체 환자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7(1.5 - 10)년이었다.

2. 처음 진단당시의 공복 혈청 C-peptide치에 따라 대상 환자를 분류하여 인슐린 분비능을 본 결과 1군은 14예(17.1%), 2군은 29예(35.4%), 3군은 39예(47.5%)이었다.

3. 3군은 1, 2군에 비해 입원 당시의 체질량지수(p<0.01) 및 최대 체질량지수(p<0.01), 당뇨병의 가족력(p=0.01), 자극후 혈청 C-peptide치의 증가량(p<0.01)이 높았으며 입원시의 인슐린 사용(p<0.01), 요중 케톤체 검출율(p<0.01),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병력(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4. 추적관찰후 1군은 진단시 14예(17.1%)에서 31예(37.8%)로 증가하였고, 인슐린 요구형으로 분류된 2군 환자는 29예(35.4%)에서 20예(24.4%)로 감소하였으며 인슐린 분비능이 보존된 3군 환자는 진단시 39예(47.5%)에서 31예(37.8%)로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5. 추적관찰후 진단시 1군 환자는 모두 1형 당뇨병으로 판정되었고 2군이었던 환자 29예중 13예(44.8%)는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되어 1형 당뇨병으로 이행되었으며, 11예(37.9%)는 인슐린 분비능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5예(17.2%)는 인슐린 분비능이 호전되었다

6. 처음 진단시 3군으로 인슐린 분비능이 보존되어 있던 39예중 6예(15.4%)는 인슐린 분비능의 심한 감소를 보였는데 이들은 임상적으로 1형 당뇨병으로 판단되었다. 7예(17.9%)는 추적관찰후에 인슐린 분비능이 다소 감소하여 인슐린 요구형으로 이행하였으며 인슐

린 분비능이 지속적으로 보존된 26예(66.7%)는 추적관찰시에 병형 구분이 어려웠던 3예를 제외하고 모두 2형 당뇨병으로 판정하였다.

7. 3군 환자에서 인슐린 분비능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는 낮은 체질량지수, 요중 케톤체 양성, 낮은 자극후 혈청 C-peptide치의 증가량과 항GAD항체 양성 등이었다.

8. 처음 진단당시 인슐린 분비능과 관련된 요인은 체질량지수였고 C-peptide 추적검사후 당뇨병형 결정에 연관된 요인은 체질량지수, 입원시의 인슐린 치료여부, 공복 혈청 C-peptide치 및 자극후 혈청 C-peptide치의 증가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젊은 연령에 발병한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분비능에 따른 임상 및 면역유전학적 특성을 일부 알 수 있었고 당뇨병의 병형 분류에 있어 혈청 C-peptide치의 추적검사가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당뇨병 환자에서 발병시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의 시기를 거쳐 1형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82 newly diagnosed young diabetic patients(mean age; 23.0±7.1, M:F=46:36)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initial fasting plasma C-peptide level(class1, group 1; C-peptide<0.6ng/ml, group 2; 0.6ng/ml ≤C-peptide <1.2ng/m1, and group3; 1.2ng/ml≤C-peptide) and reclassified by the follow-up(mean follow-up; 3.7years) fasting plasma C-peptide leve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changes of insulin secretory capacity by measuring fasting and postprandial 2-hour plasma C-Peptide in initial groups and to compare their clinical and immunogenetic characteristics.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According to the initial fasting plasma C-peptide level, 17.1%(14/82) of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oup 1, 35.4%(29/82) as group 2, and 47.5%(39/82) as group 3.

2. In group 3, body mass index(BMI, p<0.01) and maximal BMI(p<0.01) at onset, family history of diabetes(p=0.01) and stimulated C-peptide incr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1 and 2, and presence of urine ketones(p<0.01) and history of diabetic ketoacidosis(p<0.01), and insulin therapy at diagnosis(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1 and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set age, sex, weight loss at onset, HbAlc, antiGAD antibody and HLA-DR were found among the 3 groups.

3. After follow-up periods, 37.8%(31/82) of the patients were reclassified as group 1, 24.4%(20/82) as group 2, and 37.8%(31/82) as group 3.

4. Patients were reclssified by the follow-up fasting plasma C-peptide level(class Ⅱ), all the group 1 patients were determined as type Ⅰ diabetes. In group 2, 44.8% of patients had decreased follow-up C-peptide and were reclassified as type Ⅰ diabetes. Another 37.9% of patients had no significant changes of insulin secretory capacity, but 17.3% of patients had showed increased follow-up C-peptide.

5. In group 3, 15.4%(6/39) of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insulin secretory capacity and reclassified as type I diabetes, and their predictors for decreased insulin secretory capacity were low BMI at onset, low stimulated C-peptide increment, presence of urine ketones and antiGAD antibody.

6. Insulin secretory capacity represented as fasting plasma C-peptide was affected by BMI at diagnosis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determining the type of diabetes were BMI at diagnosis, insulin therapy at initial admission, fasting plasma C-peptide and stimulated C-peptide increment.

Our study showed the clinical and immunogenetic characteristics of newly diagnosed young diabetics classified by their initial fasting C-peptide level and showed that stimulated C-peptide increment was a useful predictor for decreased insulin secretory capacity in type 1 diabetics who had a preserved β-cell function

at diagnosis. Therefore follow-up basal and stimulated C-peptide measurements were essential in assessing the changes of insulin secretory capacity and proved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type of diabetes in newly diagnosed young diabetic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19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Hyun Soo(김현수)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