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58

Cited 0 times in

일개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s for overweigh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논문은 일개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비만도에 미치는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군으로는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일개 H 초등학교에서 비만도 20%이상인 아동 32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으로는 같은 용산구에 위치하면서 실험군과 동일한 판정기준을 적용하여 선정한 Y 초등학교 비만도 20% 이상인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진행방법은 실험군에서는 예비단계, 프로그램 진행단계, 자기감시단계, 평가단계의 4단계로 20주 동안 실시하였고, 대조군에서는 같은 기간동안 프로그램 진행단계와 자기감시단계 없이 예비단계와 평가단계만 진행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를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서 실험군, 대조군에서 모두 성별, 학년, 태어난 순서에서 두 그룹간에 비슷한 분포를 보였는데, 남아의 비율은 실험군이 26명(81.3%), 대조군은 19명(61.3%)이고, 학년중에서는 4학년이 실험군에서 12명(37.5%), 대조군에서 12명(38.7%), 태어난 순서로는 첫째가 실험군 20명(62.5%), 대조군 19명(61.3%)으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가족관련특성에서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졸인 비율이 '부'가 35명(65.08%), '모'가 41명(64.55%)으로 가장 많았고, 부모의 체격조사에서 부는 '보통이다'가 31명(49.21%), 모의 체격은 '약간 뚱뚱하다'가 27명(31.75%)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가족수는 4명이하가 40명(63.49%)으로 가장 많았고, 생활정도는 '중'이 54명(85.3%)으로 가장 많았다.

3. 비만관리 프로그램 수행으로 실험군의 비만도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전 Broca 변법으로 측정한 비만도가 31.90에서 실시후 26.43으로 5.43이 감소한 반면에, 대조군은 비만관리 실시전 비만도가 31.79에서 실시후 30.26으로 1.52의 감소만을 나타내어 실험군의 비만도가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4. 비만관리 프로그램 수행으로 비만에 관련된 지식의 점수 변화는 실험군에서 10.5에서 14.2로 대조군의 11.6에서 12.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다.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효능의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경우 비만관리 프로그램 전에 29.22에서 32.94로 유의하게 증가(t=3.28, p<0.01)하였으나 대조군은 32.19에서 30.97로 1.23 오히려 감소하였다.

6. 비만관리 프로그램 수행으로 운동관련행위나 간식행위는 유의하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만아 비율이 증가하는 초등학교에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도 감소에 영향을 유의하게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영문]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s in inquiring into the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s for overweigh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utilized pretests and posttests on heterogeneou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demonstrate how weight control programs affect overweight children and what factors must be considered.

For that subjects sampled and an experimental group from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ongsan-ku, Seoul 32 overweight children with over 20% in obesity, and simultaneously sampled a control group from Y Elementary School were 31 overweight children with over 20% in obesity were sampled with standards as the experimental group.

Data colle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for twenty weeks. The stages includeda preparation stage, a program process stage, a self-control stage, and an evaluation stage. The control group proceeded only with a preparation stage and an evaluation stage. The data was analysed through a paired t-test as pretests and posttest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 The sampled children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an equal distribution in sex, grades, birth sequence among siblings. There were 26 male subjects (81.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male subjects (61.3%) in the control group. With grad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12 fourth graders (37.5%), as did the control group 12 fourth graders (38.7%). The birthsequence among sibling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had 20 first born children (62.5%), while the control group had 19 first born children(61.3%).

2.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milies, 35 fathers received their highest level of education as high school graduates (65.08%), and 41 mothers received their highest level of education as high school graduates (64.5%).

In a survey of the parents' physical weight, most subjects decribed their fathers as having a normal physique ( 31 children, 49.21%) and 27 children (31.75%) described their mother as slightly obese.

The number of family numbers living together was stated as being 'less than four' by 40 chidren(63.49%), and 54 children described their families' standard of living as 'middle class'.

3. The Obesity 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the weight control program was carried out. The degree of obesity decreased 5.43 from 31.90, before a weight control program was carried out, to 26.43.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 degree of obesity indicated a decrease of 1.52 from 31.79,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to 30.26. This reveals a significant decrease in obe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4. Changes in the knowledge of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10.47 to 14.23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decreased from 32.19 to 30.97, a difference of 1.23.

5. Changes in the scores of self-efficienc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9.22 to 32.94 in the experimental group(t=3.28, p<0.01), while a decrease from 32.19 to 30.97 was seen in the control group.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6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