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48

Cited 0 times in

의료정보의 비밀유지에 대한 법률적 고찰 :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legal aspects of health information confidentiality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1997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환자 진료에 대한 의료정보의 열람을 사생활 보호차원에서 금지시키고 있으며, 환자의 동의없이 정보를 누설할 경우에는 친고죄에 해당된다.

이 연구는 의료정보의 비밀유지에 대한 법률적 측면을 알아보았고, 실제 서울 시내 위치하고 있는 한 대학병원의 의무기록관리 중에서 의료정보의 노출이라고 해석할 수있는 의무기록 대출 및 복사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 앞으로 다가올 전자의무기록시대를 대비하여 법적인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여러가지 문제들을 살펴보았고, 이 중에서 특히 전산화 된 의료정보 비밀유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의무기록이란 환자에게 제공한 검사, 치료 및 결과 등에 관한 모든 사항을 기록한 의료 정보 중 가장 신뢰성있고 정확한 비밀문서이다. 의무기록이 가지고 있는 가치는, 환자와 의사에게 있어서는 몰론 국가적으로, 학문적 및 법률적으로 매우 높다.

2. 몇몇 국가에서 환자의 열람청구권을 인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의료법 제20조 2항에 검사기록 및 방사선 필름 사본요구권은 명시되어 있으나 환자의 의무기록 연람청구권은 아직 법제화되어 있지 않았다.

또 현행법에서는 의료인과 기타 보건과 관련된 직종에 대한 환자 정보의 비밀누설 금지 조항과 위반시 벌칙에 대한 조항은 있으나 구체적인 기준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므로, 환자의 기본권으로서의 의무기록 열람 및 청구권을 인정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인정부분과 예외의 경우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의료정보가 철저히 관리되어야 할 것이며, 여기에는 복사 신청 서식, 절차,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3. 한 대학병원의 의무기록 관리현황을 파악한 결과 총 578,588건으로 대출량은 매우 많았으며, 외래의무기록의 경우는 진료용으로 많이 대출하였으며, 입원의무기록의경우는 의료보험 심사청구용이 진료용대출 보다 많았다. 의무기록 본사의 경우 외래의무기록의 복사가 1559건으로 입원기록보다 많았으며, 진료환자 중에서 특히 내과환자의 경우가 667건으로 전체의 32.7%였고, 복사의 목적은 타병원 진료용이 제일 높았다. 복사 신청인은 본인이 955건으로 전체의 46.8%로 가장 높았으며, 복사하는 의무기록서식은 각종 검사결과지가 가장 많았다.

환자나 제3자가 의무기록을 복사해가는 경우 환자의 사생활보호와 법적 보호를 위하여 정보공개동의서와 환자의 위임장을 제출하게 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4. 전자의무기록의 종류는 EPR, EMR, CPR, EHR 등이 있으며, 보안장치가 확실하면 종이의무기록보다 의료정보에 대한 비밀유지를 더 잘할 수 있다. 또 현재 의료법에서 전자의무기록의 제한점이 되고 있는 서명 문제는 전자서명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비밀유지를 위한 확실하게 표준화된 전자서명시스템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의무기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사생활보호를 위한 비밀유지이며, 이에 대한 전자서명의 인정, 보안장치의 기술적 측면 및 표준화, 정책, 관리 등드에 대한 법률제정이 시급하며, 국가적 차원의 장기계획하에 미국의 CPRI와 같은 조직을 구성하여 전국

적으로 표준화 된 전자의무기록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모든 병원에서의 EMR에 대한 투자가 적어지므로 국가적으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CPR이 실현되므로써 의료정보 선진국으로서 국가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이다.

이와같은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전자의무기록이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 개발될 것을 제안한다.

[영문]

This study is done with the medical records to survey how and how much a hospital keep the medical information confidential in a confusion between the basic human right to protect a privacy and the right of patients to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record and the literature about the right to protect a privacy, Einsichtsanspruch, and acts of prohibition of release for information interms of law. And the status quo of medical record control and copy had been analyzed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one year.

In addition, the survey of conscience of personnel medical record about private health information was done, and several problems about health information in legal and technical point of view were observed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The medical record is more reliable and precise confidential document than any other documents to record every details of laboratiry, treatment and of which results. These medical records are valueless not only to a patient and a doctor but also to a government and a lawyer.

2. In many countries, the Einsichtsanspruch are now acknowledged but in Korea, the request of copy of laboratory and radiopraphy is eluciatedin 20th article, second clause of health law but the Einsichtsanspruch has not been legalized. In current law, the article to prohibit the private health information released by a doctor and health personnel and to penalized the personnel when they violate this article but the law does not provide any regulations. Therefore, the law has to be revised to ensure the access of a patient to his/her health information Einsichtsanspruch as a basic human right, and the receptible and exceptional condition to this basic right. In the ecforcement ordinance, it must be eluciated the concrete and definite regulation to the copy document, procedure and cose.

3. The status quo of the management of medical record in a university hospital is that the amount of the requested medical record is too big and the outpatient medical records were requested for patient treatment, and inpatient medical records are loaned much more for request of medical insurance than for patient treatment.

In the copy of medical record, outpatient medical record were copied much more and the medicine department patient asked copy the most. The aim of copy is all about for the treatment in other hospital and the munber of cases for private safe-keeping is now increasing.

The applicant to copy is mostly patient him/herself and the medical record documents are mostly laboratory reult document.

When the patient and a third person asks to copy a medical record, a system has to be provided to submit the agreement in release of information and a letter of attorney for protection of privacy and legal protection.

4. The type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record are EPR, EMR, CPR, EHR and if security system if well designed, the maintenance of secret can be better done than with document medical record. The problems of signature in current legal system to limit the extens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can be solved if the law will be revised to acknowledge the electrical signature. For this, the standardized electronic signature system has to be provied for the maintenance of privacy and secret in the level of governmen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to keep the privacyy and secret the protection of private life.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law for the acknowledgement of electronic signature, the sucurity system in terms of technical point of view, and standardization and stratehy and management is now urgent. When a system can be used in a nation level, the effect of cost saving can be expected through the avoidance of the double investment of all hospital for EMR. Thu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health informationcan be doubled by this realization of CPR.

On the basic of this study result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s now proposed to be developed and studie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