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320

Cited 0 times in

악관절원판의 위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MJ disc position : evaluation of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by GC* line : GC기준선을 이용한 악관절원판 전방전위의 평가 
Authors
 김준배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악관절장애환자의 대부분이 악관절원판의 전위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상적인 관절원판의 위치나 전위가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명확한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단순히 하악과두에 대한 위치관계로 표현하여 왔다.

본 연구는 관절원판의 전방전위를 하악와의 가장 오목한점과 하악과두의 중심에 대한 각변위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정상군(40악관절)과 악관절장애군(500악관절)에 적용하였으며 악관절장애군은 하악과두를 기준으로 임상적 분류를 시행하여 장애1군(폐구시에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거의 없는경우), 장애2군(폐구시에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관찰되나 개구시에는 정상적인위치로 복위되는 경우), 장애3군(폐구시의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개구시에도 복위되지 않고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의 세 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각변위에따른 분포를 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적인 악관절원판이 위치하는 범위를 기준선 GC에 대하여 좁게는 -10∼0。(82.5%), 넓게 본다면 -10∼10。(97.5%) 사이를 허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악관절장애가 있는 경우 관절원판의 위치는 -21.0∼125.8。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0∼10。와 60∼80。 부위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쌍봉곡선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2-3가지 서로 다른 성격의 집단이 복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3. 선 GC를 기준으로 정상군의 82.5%가 0。 이하에 위치하고 악관절장애군의 94,8%가 0。 이상에서 발견되어 선GC(0。)는 정상군과 악관절장애군을 분류하는 기준선으로 의미가 있다.

4. 장애1군에서 장애3군으로 가면서 각변위의 증가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으로 질환의 진행에 따라 각변위가 증가하며 관절원판의 복위 가능성이 줄어듦을 알 수 있다.

5. 정상군, 장애1군, 장애2군과 장애3군은 각각 통계적으로 서로 다른 군으로의 분류가 가능하며 0。를 기준으로 정상군과 장애군의 분류가 가능하며, 10。를 기준으로 관절원판의 전방전위 여부를 판단하고, 50。를 기준으로 관절원판의 복위여부를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폐구시의 시상면영상의 심단면에서의 관절원판의 위치를 측정하여 정상적인 관절원판의 위치를 확인하고 악관절장애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임상적인 분류를 보완할 수 있는 기준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악관절장애를 가지는 경우의 악관절원판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 기존의 임상적 분류를 시행함과 더불어 각변위를 추가적으로 표기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정도를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관절원판의 형태적 변화와 내외측 변위의 관계, 관절간극의 정도에 따른 임상증세의 발현 여부 및 관절원판의 내외측 위치변화에 따른 임상증세의변화에 대하여 다양한 접근 방법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method delineating the extent of the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articular disc through the angle formed by the deepest point in the glenoid fossa, the center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the junction between the end of the posterior band and the retrodiscal tissue.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normal group and TMD group. The TMO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3 groups: Group Ⅰ(little disc displacement), Group Ⅱ(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nd Group Ⅲ(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ormal group showed the location of the articular disc within -10∼0。 or with a wider allowance, within -10∼ 10" from the reference line GC.

2. The TMD group showed the disc located within -21.0∼ 125.8。, with two peaks at 0∼ 10" and 60∼80。, suggesting that the group may be composed of more than two different subgroups.

3. The threshold point delineating the normal and TMD states was 0。, because 82.5% of normal group appeared below 0。 and 94,8% of TMD group appeared above 0"

4. Since the angular disc displacement tends to increase from Group Ⅰ to Group Ⅲ,the angular displacement increases as the overall severiety of the disease increases, and the chance far a reduction of the disc decreases.

5. The normal group, Group Ⅰ, Group Ⅱ, and Group Ⅲ can be categorized into statistically different groups. The normal group and TMD group can be distinguished in reference to 0。, while the presence-absence of the anterior disc displacement is judged in reference to 10。, and the probability of the disc reduction can be estimated in reference to 50。.

The present study assesses the location of the articular disc from the sagittal central section offering a supplementary clinical classification. This system provides an addi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location of the disc, thereby offering an objective mean to evaluate the progress of the disease.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on the clinical changes according to location of the disc,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the anterior or sideways displacement of the disc.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27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