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63

Cited 0 times in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이 혈청 알부민을 포함한 영양지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metabolic acidosis on serum albumin and other nutritional parameters in CAPD patients 
Authors
 김범석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은 단백질대사, 심근기능 및 골 질환에 영향을 로 알려져 있으며, 투석을 통해 이의 교정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은 혈액투석에 비해 대사성 산증의 교정 면에서 유리하지만, 상당수의 환자들에서는 여전히 산-염기 불균형이 존재하는데, CAPD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이 혈청 알부민, 혈중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등과 같이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임상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CAPD 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이 알부민을 포함한 영양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말기 신부전증의 치료로 CAPD를 시행 받고 1995년 11월 이후 요소 동력학 검사(urea kinetic study)를 1회 이상 시행하였던 176명의 환자 중에서 1995년 8월 1일부터 1996년 7월 31일 사이의 1년 동안의 매월 생화학적 검사에 의한 평균 혈중 총이산화탄소함량(total CO^^2 content, tC0^^2)에 따라 23mM/L 미만군(Ⅰ군), 23-26mM/L인 군(Ⅱ군) 및 26mM/L 이상군(Ⅲ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임상상, 혈청 생화학 검사, 전해질 검사 및 요소 동력학 지표 등을 각각 측정하여 3군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상환자의 평균 연령은 48.6±12.3세, 남녀비 1.1:1, 평균 복막투석기간은 45.5±29.0개월이었고, 평균 체중(Bwt)은 59.6±8.8kg, 이상체중에 대한 체중비(%IBW)는 106.7±14.2%, 체중에 대한 제지방체중비(%LBM/Bwt)는 71.7±11.2%, 그리고 주관적 영양 상태평가(SGA)에서 정상 영양상태의 환자는 68%이었다.

2. 대상환자의 혈중 요소질소(BUN)는 52.4±14.7mg/dL, 크레아티닌(creatinine)은 11.1±2.9mg/dL, 총단백(total protein)은 6.6±0.7g/dL, 알부민은 3.7±0.5g/dL, 그리고 음이온차는 15.6±3.3mEq/L이었다.

3. %IBW는 Ⅰ군 114.4±15.8%, Ⅱ군 104.6±12.6%, 그리고 Ⅲ군 103.5±13.7%로 Ⅰ군에서 Ⅱ군 및 Ⅲ군에 비해 의의 있게 높았으나, 연령, 성비, 복막투석 기간, 복막염 발생률, %LBM/Bwt, 그리고 SGA는 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연구기간 중의 최종 혈청 알부민, 혈중 요소질소 및 음이온차는 대사성 산증을 보이는 Ⅰ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의의 있게 높았으나, 총단백 및 크레아티닌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정상화 단백 이화율(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NPCR)은 Ⅰ군 1.02±0.18g/kg/day, Ⅱ군 0.95±0.18g/kg/day, 그리고 Ⅲ군 0.90±0.18g/kg/day로, Ⅰ군에서 Ⅱ군 및 Ⅲ군에 비해 의의 있게 높았으나, Kt/Vurea, 표준화 크레아티닌 제거율(standardized creatinine clearance rate, SCCr), 잔여신기능(residual renal function, RRF), 그리고 투석액 내로의 단백 및 알부민 손실량(dialysate protein and albumin loss, Dpro, Dalb)은 각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6. 혈중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및 알부민의 1년간 변화정도는 각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7. 1년간의 평균 혈중 총이산화탄소함량은 NPCR(r=-0.26, p 0.001), %IBW(r=-0.24, p 0.005), 혈중 요소질소(r=-0.24, p<0.005) 및 알부민(r=-0.19, p O.05)과 의미 있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나, 크레아티닌, %LBM/Bwt 및 Kt/Vurea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8. NPCR(β=-0.38, p O.0001) 및 %IBW(β=-0.26, p 0.005)가 평균 혈중 총이산화탄소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D 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이 있는 Ⅰ군에서 혈중 요소질소, 알부민, %IBW 및 NPCR이 높았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대사성 산증의 정도는 단백 섭취량의 증가에 비례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경도 내지 중등도의 대사성 산증의 존재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Metabolic acidosis(M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teolysis, increased osteoclast activity and blunt cardiac muscle response, but the effect of MA on the various clinical parameters in CAPD patients is not well known.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 on serum albumin level and other nutritional parameters in CAPD patients, we studied 176 CAPD patients retrospectively who have had urea kinetic studies at least one time between November 1995 and August 1996,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until 31th July 199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Ⅰ(tC0^^2<23mM/L), Ⅱ(23mM/L ≤tC0^^2<26mM/L), Ⅲ(tC0^^2≥26mM/L)] according to level of 1-year mean total CO2,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iochemical profiles and urea kinetic data.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8.6±12.3 years with a sex radio of 1.1:1, the mean CAPD duration 45.5±29.0 months, mean body weight(Bwt) 59.6±8.8kg, percent ideal body weight(%IBW) 106.7±14.2%, %LBM/Bwt 71.7±11.2% and well-nourished patients by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68%.

2. BUN,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anion gap were 52.4±14.7mg/dL, 11.1±2.9gm/dL, 6.6±0.7g/dL,3.7±0.5g/dL, and 15.6± 3.3mEq/L, respectively.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ratio, CAPD duration, peritonitis rate, %LBM/Bwt and SGA among the three groups, but %IBW of group Ⅰ(114.4±15.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Ⅱ(104.6±12.6%) and Ⅲ(103.5±13.7%).

4. Albumin, BUN, anion ga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rotein and creatinine among the three groups.

5. NPCR in group Ⅰ, Ⅱ and Ⅲ were 1.02±0.18g/kg/day, 0.95±0.18g/kg/day, and 0.90±0.18g/kg/day respectively,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than in group Ⅲ.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t/Vurea, standardized creatinine clearance rate(SCCr), residual renal function(RRF), 24-hour dialysate loss of protein/albumin(Dpro and Dalb) among the three groups.

6. Changes of body weight, BUN, creatinine and albumin during 1-year follow-up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7. There were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n tC0^^2 level and NPCR(r=-0.26, p<0.001), %IBW(r=-0.24, p<0.005), BUN(r=-0.24, p<0.005), and albumin(r=-0.19, p 0.05). Creatinine, %LBM/Bwt and Kt/Vurea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mean tC0^^2 level.

8.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mean total CO2 level were NPCR(β=-0.38, p O.0001) and %IBW(β=-0.26, p 0.005).

In conclusion, MA in CAPD patients reflects the increased protein intake and mild to moderate degree of MA may net affect the nutritional status of CAPD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4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Beom Seok(김범석)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5732-2583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