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763

Cited 0 times in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혈청 알부민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serum albumin level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Authors
 마경애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혈청 알부민은 혈액 투석환자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임상적인 결과와 연관성이 있음은 잘 알려져 있으나 복막투석 환자에서 저알부민 혈증의 의미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저알부민 혈증을 보이는 복막 투석환자에서 이환율 및 사망율의 증가됨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혈청 알부민 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특히 알부민 농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서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복막 투석을 시작한 지 3개월 이상 경과

후 임상적으로 안정된 상태의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알부민 3.5 g/dl을 기준으로 저알부민 혈증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임상적 양상, 생화학적 지표, 요소 동력학 모형(urea kinetic model)의 지표, 복막 특성, 인체 계측치 중에서 혈청 알부민 농도 및 혈청 알부민 농도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대상 환자는 106명(남:여=50:56)이었고, 평균 나이는 49세였으며 평균 투석기간은 43개월이었다.

2) 대상 환자의 평균 알부민 농도는 3.9 g/dl이였고, 혈청 알부민 3.5g/dl미만의 저 알부민 혈증군은 21명(20%), 대조군은 85명(80%)이였다.

3) 저알부민 혈증군에서 나이(55.4±11세 vs 47.4±11세), 동반 질환점수(1.5±0.8 vs 0.7±0.9)가 높았고 C-reactive protein(4.5±0.9mg/d1 vs 0.5±0.1mg/dl ). 24-hr D/PCr(24시간 투석액 내 크레아티닌과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의 비, 0.84±0.1 vs 0.76±0.1), 24시간 투석액내 단백 배출양(7167±2031mg/day vs 5471±1515mg/day)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반면 음이온 차( anion gap,13.1±3.8mEq/L vs 1

5.8±4.2mEq/L), 혈액 요소질소(48.0±14.8mg/dl vs 55.6±14.9mg/dl), 크레아티닌(10.4±2.8mg/dl vs 12.6±3.5mg/dl), 인(4.1±1.2mg/dl vs 5.0±1.3mg/dl), 요산(6.0±1.2mg/dl vs 7.1±1.2mg/dl), insulin like growth factor-1(186±99ng/ml vs 260±131ng/ml), transferrin(172±40mg/dl vs 212±38mg/dl), 잔여 신기능(0.2±0.3m1/min vs 0.7±1.2m1/min), mid arm muscle circumference(23.5±2.4cm vs 24.9±2.4cm) 는 저알부민 혈증군

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상 영양실조상태의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

4) Spearman 상관 분석 결과 음이온 차(r=0.43), transferrin(r=0.41), 혈청 요산(r=0.41)은 혈청 알부민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p<0.05), 인(r=0.30), IGF-1(r=0.29), 혈액 요소 질소(r=0.23), 및 표준화 단백질 이화율(r=0.22)은 중등도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24 시간 투석액 내의 단백 배출량(r=-0,51), 24시간 D/PCr(r=-0.49), 동반 질환 점수(r=-0.37)는 강한 음의 상관 관계를, 나이(r=0.23)는 중등도의 음의 상관 관계(p<0.05)를 보였다.

5) 다중 회귀분석 결과 나이(β= -0.01), 동반질환 점수(β= -0.1), C-reactive protein(β= -0.05), 24-hr D/PCr(β= -2.13), SGA(β= -0.29)는 유의하게(p<0.05) 혈청 알부민 농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6)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4-hr D/PCr이 높을수록, 고형일수록, C-reactive protein 농도가 높을수록, 잔여 신기능이 적을수록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환자에서 저알부민 혈증의 발생이 의의있게(p<0.0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저 혈중 요소 질소, 저 혈청 크레아티닌, 저 혈청 인, 낮은 NPCR로 반영되는 단백질 섭취량의 부족, 고형, 높은 C-reactive protein, 낮은 잔여 신기능, 24 시간 투석액내 단백 배출량을 높이는 high peritoneal transporter등이 저알부민 혈증의 예측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high peritoneal transporter환자는 CCPD(continuous cycling peritoneal dialysis), NIPD(nightly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로 전환의 시도, 동반 질환의 치료, 적극적인 식이요법, 드러나지 않는 감염증 또는 신생물의 진단 및 치료로 저알부민혈증을 예방할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나 이를 통한 이환율 및 사망률의 개선 가능성에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s a common problem in patients undergoing maintenance CAPD(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Serum albumin(SA) concentration has historically been used as a marker to assess nutritional statue. Hypoalbuminemia has been linked to an increased risk of morbidity and mortality and more numerous, prolonged hospitalization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o determine which factors best affect SA value,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which included patients ' demographics, anthropometric data, biochemical parameters and comorbidity in 106 stable CAPD patients.

1) There were 50 men and 56 woven with a mean CAPD duration of 43 months and mean age of 49 years. The mean concentration of albumin was 3.9±0.53 (range 2.5-5.3)g/이 and weekly Kt/Vurea 2.0±0.4 (range 1.32-3.79)

2) Twenty-one patients(20%) were classified as group Ⅰ(SA<3.5g/dl )and the remaining patients(80%) as group Ⅱ (SA≥3.5g/dl)

3) Group Ⅰ patients were significantly older(55.4 vs 47.4 years) compared to group Ⅱ patients,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comorbidity score(1.5 vs 0.7), CRP(4.54 vs 0.53 mg/dl), 24-hr D/PCr ratio(0.84 vs 0.76), 24-hr dialysate protein (7167 vs 5471 mg/day)and lower RRF(0.21 vs 0.73 ml/min), BUN(48 vs 55.6mg/dl ), serum creatinine(10.4 vs 12.6 mg/이), IGF-1(186 vs 260 ng/ml), serum phosphorus(4.1 vs 5.0mg/dl) than group Ⅱ.

4) Anion gap, transferrin, phosphorus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ens with SA value and NPCR, IGF-1, BUN resealed weak positive correlations.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ere revealed between SA and 24-hr dialysate protein loss, 24-hr D/PCrratio, comorbidity score.

5) By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C-reactive protein,24-hr D/PCr and residual renal function independently influenced low SA level

In conclusion, SA level seems to be affected by non-nutritional factors such as age, peritoneal membrane transport characteristics, residual renal function and acute phase protein, in addition to nutritional factors.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if aggressive intervention can improve the serum albumin level in these patients and whether such an improvement has an impact on mortality, morbidity and the rate of hospitaliz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4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