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635

Cited 0 times in

우치의 근관에서 도말층의 존재가 수산화칼슘의 상아질 투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mear layer upon dentin diffusion of calcium hydroxide in bovine tooth in vitro 
Authors
 권병구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근관치료학 영역에서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근관충전은 치근외면의 염기성이 치근 및 치아주위조직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는 임시충전 방법이다. 수산화이온의 상아질 투과는 근관벽의 상태나 백아질의 존재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치근외면의 pH 변화 양상은 수산화칼슘의 충전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전한 백아질을 가진 발거된 소의 치아에서 수산화칼슘을 충전한후 도말층 존재유무에 따라 치근상아질의 pH 변화에 대한 영향을 비교 평가하고, 치근상아질에서 시간에 따른 pH의 동적인 변화를 치근외면과 치근상아질에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소의 치아의 치근에서 근관치료를 시행한후 최종 근관세척제의 종류에 따라 다음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대조군은 최종 근관세척을 20ml의 증류수로 하였다.

Group 1 : 10ml of 17% EDTA (pH 7.8) and 10ml of 5.25% NaOCI

Group 2 : 10ml of 40% citric acid (pH 1) and 10ml of 5.25% NaOCI

Group 3 : 20ml of 5.25% NaOCI

각 군 및 대조군 치아의 근관벽 상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각 군의 실험치아는 수산화칼슘을 충전하여 수산화칼슘 충전 직후와 그리고 1시간째의 pH를 측정한 다음 1일 간격으로 1주동안, 그리고 1주 간격으로 4주간 측정하였다. 또한 각 군의 치아를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째에 치근상아질에서 pH 변화를 나타내는 ratio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종 근관세척제로 17% EDTA와 5.25% NaOCI을 사용한 1군과 40% citric acid 및 5.25% NaOCI을 사용한 2군에서 근관벽의 도말층이 제거되었으며 5.25% NaOCI만을 사용한 3군에서는 도말층이 제거되지 못하였다.

2. 근관벽의 도말층을 제거한 1군 및 2군에서 수산화이온의 치근상아질 투과는 도말층이 존재하는 3군에 비하여 빠르고 크게 일어났다(p<0.05).

3. 수산화칼슘 충전 1일후부터 수산화이온이 근관벽에 가까운 상아질로부터 백아-상아 경계부위의 상아질로 투과되었으며 이런 투과양상은 충전 1∼2주후까지 지속되었으나 그 이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4. 모든 실험치아에서 백아-상아 경계부위의 상아질은 pH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수산화칼슘을 충전하여 주위조직이나 치근의 치유를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수산화칼슘 충전후 최소 1∼2주정도 위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그이상의 기간동안 수산화칼슘을 근관내 충전시키는 것은 수산화이온의 투과에 있어서는 큰 의미가 없으며 근관내에 충전된 수산화칼슘에 의하여 나타난 치근외면의 pH가 주위조직이나 치근자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또 다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Eighty two of extracted bovine mandibular incisors were sectioned transversely through the cementoenamel junction(CEJ) and instrumented to a size minimum-# 110 file at the working length by 5.25% NaOCI irrigation. The roots in group 1 were received a final irrigation with 10ml of 17% EDTA followed by 10ml of 5.25?% NaOCI, group 2, 10ml of 40% citric acid followed by 10ml of 5.25% NaOCI, group 3, 20ml of 5.25% NaOCI, and control group, 20ml distilled water. Canal walls of four roots in each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examined by SEM(x3000). Calcium hydroxide was placed into all experimental roots except control group. Each root was placed in nalgen bottle containing unbuffered distilled water, The pH level of the medium surrounding tooth was recorded at 0, one hour, and daily for 1week, then 14days, 21days, and 28days using pH electrode. At 1, 3, 7, 14, 21days, and 28days, four roots from each group were split longitudinally and the ratio change was recorded using spectrofluorometer.

The results were followings :

1. The smear layer was totally removed from canal walls in group 1 and 2, but was observed in group 3 and control group.

2. The hydroxyl ion diffused more rapidly through radicular dentin when smear layer was removed from canal walls.

3. The hydroxyl ion derived from calcium hydroxide began to diffuse from the root canal 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root at 1day, and continued to 1∼2weeks.

4. The pH level of dentin near the CEJ was not different in all experimental group regardless of presence of smear layer.

It is clinically advisable to place calcium hydroxide into root canal for 1∼2weeks for the purpose of expectation of diffusion of hydroxyl ion.

But, after the placement of calcium hydroxide into root canal, the consequent pH level of external root surface will be futher studied with respect to it's effect on the root and periodontiu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49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