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536

Cited 0 times in

가와사끼병에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의 예측 인자

Other Titles
 Predicting factors for refractory Kawasaki disease 
Authors
 도영선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목적: 가와사끼병은 전신 혈관염으로 후천성 소아 심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정맥용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치료로 관상동맥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나, 약 10-15%의 가와사끼병 환자는 면역글로불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면역글로불린 불응성 가와사끼병은 관상동맥 합병증에 대한 위험이 면역글로불린 반응성 가와사끼병에 비해 더 높아 조기에 예측인자를 알고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의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원주기독병원에 입원한 가와사끼병 환아들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형적 가와사끼병 환아들에서 면역글로불린 투여로 48시간 이내에 열이 떨어진 면역글로불린 반응군과 열이 떨어 지지 않거나 48시간 이후 열이 다시 오른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을 나누었다. 대조군으로 열이 있는 요로감염 환자들을 무작위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의 수만큼 추출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77명 중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은 64명(83.1%), 불응군은 13명(16.9%) 이었다.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의 평균 연령은 30.5±22.5 개월, 불응군은 32.6±25.3 개월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227).평균 입원기간은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이 10.6±3.3 일, 불응군이 14.1±6.0 일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길었으며(P <.01), 면역글로불린 투여 직전까지의 발열 기간 역시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이 5.9±1.8 일, 불응군이 6.3±1.6 일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길었다 (P<.001).혈중 알부민 수치는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에서 4.0±0.4 IU/L, 불응군에서 3.6±0.6 IU/L 으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 <.05), 혈청 나트륨 농도도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에서 137.9±3.6 IU/L, 불응군에서 135.5±3.9 IU/L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 <.05). 두 군 간의 Kobayashi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면역글로불린 반응군은 평균 1.1±1.4점, 불응군에서 평균 3.4±2.9점으로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 <.05). 아급성기의 백혈구 수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 = 0.259), 호중구 비율은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P < .01), 림프구 비율 역시 불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 <.05). 관상동맥 확장은 급성기 면역글로불린 불응군에서 반응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6개월 이후 추적관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결론: 기존의 알려진 불응성 가와사끼병에 대한 예측인자 외에 상대적으로 높은 아급성기 호중구 비율이 가와사끼병의 면역글로불린 불응성에 관계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47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2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