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2 1089

Cited 0 times in

노인 여성의 백혈구에서 측정한 미토콘드리아 DNA 양과 우울증과의 관련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무영-
dc.date.accessioned2015-11-21T07:49:46Z-
dc.date.available2015-11-21T07:49:4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22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최근 노인 인구에서 우울증과 자살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위적으로 스트레스를 가해 만든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우울증이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감소와 관련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여성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전반적 지표라 할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deoxyribonucleic acid(DNA) 양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Yonsei Cognitive Aging Study(YCAS) 참가자 중 신경계 질환이 없고 독립생활이 가능한 60세 이상의 여성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혈구 내 미토콘드리아 DNA 양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우울증 평가는 15 항목으로 구성된 축약형 노인 우울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평가 점수가 8점 이상이거나 항우울제를 복용중인 대상을 우울군으로 정의하였다. 그 밖에 인지기능과 신체활동 능력, 공복 혈당, 혈중 지질 수치, 코티솔,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DHEA-S) 등을 측정하였다.연구 결과 우울군이 정상군에 비해 백혈구 내 미토콘드리아 DNA 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71.5(사분위수 범위 42.7~116.0) vs 107.3(사분위수 범위 51.7~202.1), p=0.028). 또한 우울군이 대조군에 비해 허리둘레가 두껍고,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활동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각각 p=0.008, p=0.041, p=0.002).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나이와 허리둘레, 당뇨병 유병 여부, 혈중 코티솔,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 신체활동능력 점수, 만성통증 유무의 영향을 보정한 후에도 적은 미토콘드리아 DNA 양이 우울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우도비 0.45, p=0.025).본 연구 결과 60세 이상의 노인 여성에서 적은 백혈구 미토콘드리아 DNA 양이 우울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부전이 노인 우울증의 한 기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인 여성의 백혈구에서 측정한 미토콘드리아 DNA 양과 우울증과의 관련성-
dc.title.alternativeLeukocyte mitochondrial DNA content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older women-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43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oo Yo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무영-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