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655

Cited 0 times in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quity and socioeconomic positions in Korean adults 
Authors
 조남억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구강건강상태는 여러 사회경제적 위치들과 관련이 있다. 20세기 후반기 이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구강건강불평등도 심화되어왔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구강건강불평등에 대한 여러 가지 기초자료들을 모으고, 이 문제를 사회적 이슈화하여 정책적으로 문제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구강건강 불평등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전국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를 통계분석하여 한국 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무치악자율에 대하여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 odds ratio)가 3.10으로 나타났다(P<0.05). 소득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2. 치주염 유병률에 대하여 월평균 가구소득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1~200만원,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각각 1.54, 1.52로 나타났다(P<0.05).교육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3. 현재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에 대하여 소득수준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1.41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과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는 각각 2.18, 3.75로 나타났다(P<0.05).4. 기능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에 대하여 소득수준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1.31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과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는 각각 1.65, 3.14로 나타났다(P<0.05).5. 사회경제적 구강건강 형평성을 설명하는 데에 기능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 지수(R-square=0.522)가 현재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 지수(R-square=0.467)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명하였다.2006년도 한국 성인에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구강건강 비형평성이 존재하였다. 앞으로 사회경제적 위치들에 대한 구강건강 형평성 실태조사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며, 구강건강 비형평성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구강건강 비형평성을 감소시키려는 정책이 필요하다.



[영문]Oral health status has related several socioeconomic positions. After late in the 20th century, According as socioeconomic inequalities have increased , oral health inequities have increased.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gathered basic datum about oral health inequalities, have tried to make the social issue, and to settle the problem by political measures.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oral health inequality of Korea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inequities and socioeconomic positions by use of analysing the national oral health survey data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dds ratio for having no tooth was 3.10 of school education <12 years as compared with school education >12 years. there is nonsignificant in income level groups(P<0.05). 2. The odds ratio among participants with 1 2 million ~ won and <1 million won having a periodontitis were 1.54, 1.52 a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3 million won. There is nonsignificant in education level groups(P<0.05).

3. The odds ratio among participants with <1 million won having less than 20 present teeth was 1.41 a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3 million won. the odds ratio among participants with 12 and <12 years of school education were 2.18, 3.75 a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12 years of school education(P<0.05).

4. The odds ratio among participants with <1 million won having less than 20 functioning teeth was 1.31 a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3 million won. the odds ratio among participants with 12 and <12 years of school education were 1.65, 3.14 a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12 years of school education(P<0.05).

5. The model of using index having less than 20 functioning teeth(R-Square=0.522) is more persuasive into th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inequities and socioeconomic positions than that of using index having less than 20 present teeth(R-Square=0.467).

The study ascertain oral health inequities about socioeconomic positions of Korean adults in 2006. In the future they are required that many case studies about relationship of oral health equity and socioeconomic positions, several studies about process to make oral health inequity, and several studies about political measures to reduce oral health inequity.
Files in This Item:
T01135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1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