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 728

Cited 0 times in

양극성 장애와 catechol-O-methyl transferase 및 monoamine oxidase A 유전자 간 상관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승준-
dc.date.accessioned2015-11-21T07:39:25Z-
dc.date.available2015-11-21T07:39: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3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양극성 장애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같은 단가아민들과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기존의 유전 연구들은 대표적인 단가아민 대사 관련 유전자인 catechol-O-methyl transferase(COMT) 유전자 및 monoamine oxidase A(MAOA) 유전자가 양극성 장애의 유무 및 주요 임상 양상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COMT 유전자 및 MAOA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을 조사하여 양극성 장애 환자와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양극성 장애 환자의 발병 연령, 자살 시도력, 가족력과 같은 주요 임상 변인에 따라 COMT 유전자와 MAOA 유전자의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84명의 양극성 장애 한국인 환자와 216명의 정상 대조군의 혈액을 채취하여 DNA를 추출한 후 COMT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인 Val158Met 염기서열과 MAOA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인 EcoRV/C1460T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COMT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 Val158Met 및 MAOA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인 EcoRV/C1460T과 양극성 장애 발생 및 발병 연령, 자살 시도력, 가족력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COMT 유전자 및 MAOA 유전자와 양극성 장애 발생 및 주요 임상 변인과의 통계학적인 연관성은 없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양극성 장애와 catechol-O-methyl transferase 및 monoamine oxidase A 유전자 간 상관성-
dc.title.alternativeAssociation between catechol-O-methyl transferase gene, monoamine oxidase A gene and bipolar disorder-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66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ung Ju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승준-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