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3 477

Cited 0 times in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는 노인환자에서 지속적 경막외 통증조절을 위해 0.1% ropivacaine과 병용한 hydromorphone과 fentanyl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hydromorphone and fentanyl for epidural postoperative p 
Authors
 이민휘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정맥, 경막외 등의 경로를 이용하여 마약제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경막외 투여 시에는 국소마취제를 혼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마약제제의 지질 용해도의 차이에 따라 경막외 투여 시 진통효과나 진정효과 등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의 발현 시간과 진통을 나타내는 척추분절의 분포 비율 또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약물의 진통효과와 부작용의 발생 빈도가 더불어 달라진다. 즉, 지질 용해도가 낮은 마약제제를 사용하면 척수강내로 흡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더 넓은 범위의 통각 신경을 중추신경 단계에서 차단하여 높은 진통효과를 보이는 반면, 구역, 구토, 저혈압, 호흡저하, 졸림, 소양증 등의 발현이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노인 환자들의 경우 젊은 사람들에 비해 중추신경계에 마약제제가 직접 작용 할 때 생길 수 있는 자율신경 차단에 의한 혈 역학적 변화와 그 외 효과들에 따른 전신적 영향들 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ydromorphone은 반 합성 마약제제로, morphine과 유사한 구조를 보이며 지질용해도는 fentanyl에 비해서는 높지만 morphine 보다는 낮은 중간 정도를 보이고 있으므로 노인에서의 임상적 양상은 젊은 사람과는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슬관절 전 치환술을 받는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통증조절을 목적으로 hydromorphone과 0.1% ropivacaine 또는 fentanyl과 0.1% ropivacaine 을 병용하여 시간당 5 ml의 속도로 경막외 투여함으로써 급성기에 해당하는 술 후 24 시간 동안 두 약제간의 임상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정도는 0-100 점 크기의 VAS score로 측정, 비교하였으며, 부작용의 발생 정도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호소 여부로 기록하였다. 수술 후 12 시간 및 24 시간에 측정된 통증의 정도는 hydromorphone과 0.1% ropivacaine 을 투여 받은 환자들이 fentanyl과 0.1% ropivacaine 을 투여 받은 환자보다 더 우수한 진통효과를 보였으며 부작용의 발생 정도는 hydromorphone과 0.1% ropivacaine 을 투여 받은 환자군에서 수술 후 8 시간까지 구역과 구토를 더 많이 호소하였으며 소양감은 8 시간 이후부터 24 시간까지 경미하고 일시적이지만 더 많이 발생했다. 그러나 저혈압, 호흡저하, 졸림 등의 발생빈도는 두 환자군 간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영문]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opioid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control is well established. However, the optimal opioid for epidural administration in geriatric patients has not been established clearly.

Partition of lipid soluble opioid into the epidural fat and spinal cord white matter prevents the drug from reaching the spinal cord gray matter where the majority of pain receptors are located. In contrast to lipophovic opioids lipophilic opioids have decreased the side effect and reduced the risk of delayed respiratory depression, but their analgesic effect has a tendency to limit the segmental distributions.

The profiles of analgesic effect and side effect of epidural administration of a lipophilic opioid, fentanyl, and intermediate lipophilic opioid, hydromorphone, were compared in 80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placement.

And the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either of fentanyl or hydromorphone, with 0.1% ropivacaine via an epidural catheter for postoperative analgesia. The degree of pain was assessd by a VA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using 0-100 scale. All VAS scores were recorded at 4, 8,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The patient in hydromorphone group had lower VAS scores significantly at 12, 24 hours after surgery than those in fentanyl group. However, the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in hydromorphone group were more common than in fentanyl group, and all the patients except one were rescued by the metoclorpramide. The itching was common in the group of hydromorphone but which was mild.

In conclusion, the analgesic effect of hydromorphone with 0.1 % ropivacaine via epidural administration was superior to that of fentanyl with 0.1 % ropivacaine in the meanwhile incidences of nausea and vomiting, and itching were common in hydromorphone group.
Files in This Item:
T01045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Min Huiy(이민휘)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