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2 692

Cited 0 times in

항암 화학 요법 환자에서 발생한 폐색전증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Other Titles
 (The) CT characteristics of pulmonary embolism in cancer patients under chemotherapy evaluated by CT scan 
Authors
 박연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목적: 항암 화학 요법 환자에서 발생한 폐색전증의 해부학적 호발 혈관 위치 및 크기를 CT혈관 촬영 소견을 통해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2월까지 CT 혈관 촬영을 시행한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악성종양이 병리적으로 확진되었고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과거력이 있거나 받고 있는 환자는 23명이었고 86명의 환자는 항암 화학 요법과는 관계가 없는 환자였다. 폐색전증의 위험인자 중 성별 및 폐색전증의 위험 인자 환자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색전의 위치 및 크기를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와 받지 않는 환자,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 중 증상이 있어서 CT를 시행한 환자와 정기 추적 관찰 중 우연히 폐색전증이 발견된 환자, 성별, 그 외 조사한 각 폐색전증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전체 환자 중 암 환자 및 암 진단 받지 않은 환자,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 중 폐암 환자 및 폐암 환자가 아닌 환자, 전체 환자 중 폐암 환자, 다른 암 환자 및 암 진단 받지 않은 환자, 폐혈관 위치 별로 나누어 CT혈관 촬영 소견을 통계 분석하였다. 색전의 해부학적 발생 위치는 주폐혈관, 엽성 폐혈관, 분절성 폐혈관 또는 세분절성 폐혈관으로 나누어 발생한 색전 중 가장 큰 폐혈관에 위치한 색전의 발생 위치를 분석하였다. 색전의 크기는 가장 큰 폐혈관에 위치한 색전의 부피 측정을 위해 3차원 재구성 소프트웨어VoxelPlus를 이용하였다. 색전의 위치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색전의 크기는 측정한 부피를 One-Way ANOVA 및t-test를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p-value 0.05이하로 설정하였다.

결과: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발생한 폐색전증의 크기는 일반 인구에서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성별 및 조사한 폐색전증의 위험인자는 크기와 관련성이 없었다. 폐색전증의 해부학적 호발 위치는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와 받지 않는 환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었다.

결론: 상대적으로 일반 인구에 비해 크기가 작고 무증상 발현을 잘하는 항암 화학 요법 환자에서의 폐색전증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색전증의 진단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는 얇은 절편의 CT혈관 촬영이 도움이 될 것이다. 특별히 호발 암인 폐암 및 상부 위장관 종양 환자에서 선별 검사가 유용할 것이며 호발 시기인 3번째 cycle(30.4%) 또는 항암 화학 요법 시작 후 4주(17.4%)가 선별검사의 적절한 시기로 생각된다.





[영문]

PURPOSE : To evaluate the anatomic location and size of pulmonary embolus(PE) in those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109 patients who had pulmonary embolism on CT pulmonary angiography were review for medical records of pathologic report of cancer who are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isk factors of pulmonary embolism. Among 109 patients 23 patients had history of anti-cancer chemotherapy. The anatomic location and size of the largest embolus on CT pulmonary angiography were evaluated. The anatomic location was classified as main, lobar, segmental, and subsegmental. The size of the embolu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volume using 3-Dimensional reconstruction software. The anatomic location and the mean size of the pulmonary embolus was compared between anti-cancer chemotherapy patients and those not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and the groups with and without each risk factor by using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t test, respectively. P < .05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S: The anatomic location of pulmonary embolu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nti-cancer chemotherapy patients and those not receiving chemotherapy. The size of the pulmonary embolus was smaller in anti-cancer chemotherapy patients than those not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The risk factors of pulmonary embolism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size of the pulmonary embolus.

CONCLUSION: The size of the pulmonary embolus was smaller in anti-cancer chemotherapy patients. More caution should be taken for diagnosis and screening with thin-slice CT scan can be useful.
Files in This Item:
T0104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