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372

Cited 0 times in

성견에서 임플란트 상부 형태가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n marginal bone resorption resulted from suprastructure of dental implant 
Authors
 권주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를 위해 개발된 스켈롭 임플란트는 최근의 임상 보고에 의하면 기존의 시스템에 비하여 오히려 골흡수가 심하여 심미적 결과를 보장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나사산의 형태가 다르게 새롭게 디자인한 스켈롭 임플란트를 임상적으로 검증된 Inplant? 시스템(워랜텍, 서울, 대한민국)과 임플란트 주위 경,연조직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여 봄으로써 임상 적용에 유리한 스켈롭 임플란트 디자인을 유추해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임플란트는 공히 내측 경사면 연결구조를 가지며 직경 4.3mm, 길이 10mm의 규격으로 거친 표면처리를 하였으며 상부 형태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다. I군은 400?m 간격의 삼각 단면 미세나사산을 갖는 flat top 임플란트이다. Sh군은 scalloped top 임플란트로 I군과 동일한 미세나사산을 갖는다. Sc군은 300?m 간격의 원형 단면 미세나사산을 갖는 scalloped top 임플란트이다. 소구치 발치 1개월 후 3마리의 비글견 하악골 양측에 실험군당 6개의 임플란트를 1회 수술법으로 식립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2개월 후 two piece abutment를 구강내에서 직접 연결하고 최종 인상을 채득하였다. 약 1mm의 clearance가 있도록 3본 금합금 고정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자가중합형 레진 시멘트로 접착하였다. 모든 임상과정에서 총 5회의 치근단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변연골 흡수량을 계측하였다. 촬영한 치근단방사선사진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였으며 이미지툴을 이용하여 각 임플란트의 근,원심에서 변연골 높이를 계측하였다. 임플란트 군별로 측정한 변연골 높이는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 관찰 결과 모든 경우에서 단단한 각화치은조직의 치간유두 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9개월 후 변연골 높이 변화는 I군 0.12mm, Sc군 0.15mm, Sh군 0.32mm였으며 Sh군은 I군과 Sc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컸고(p=0.00) I군과 Sc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66).

3. 각 관찰 기간별 변연골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첫 구간(0~2개월)의 골흡수량이 다른 구간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컸으며(p=0.00) 그 이후 구간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든 임플란트 군에서 기능 하중 이후 치간유두(interdental papilla)의 증식을 기대할 수 있고, 스켈롭 외형을 따라 주행하는 폐곡선 형태의 미세나사산이 부여된 스켈롭 임플란트(Sc군)는 기존의 Inplant? 시스템(I군)과 유사한 변연골 흡수량을 보이므로 심미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Sh군에 비하여 더 적합한 디자인이라 생각된다.





[영문]

Background: The scalloped dental implant is intended to maintain interdental bone height and papilla during functional loading. According to recent studies, however, bone loss around the scalloped implants was greater than that of traditional implant. So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design of the scalloped implan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ich scalloped implant design maintains interproximal bone and the overlaying soft tissue compared with clinically-proven Inplant? system which have marginal bone resorption of 0.18mm in one year after functional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All the implants have internal conical interface, rough surface, diameter of 4.3mm, length of 10.0mm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I group was 400?m pitched, triangle-sectional microthreaded flat top implant. Sh group was scalloped implant and had the same microthread with I group. Sc group was scalloped implant and had 300?m picthed, circle-sectional, closed curved microthred. Six implants per experimental group placed in three Beagle dogs with one-staged protocol. After two months two-pieced abutments were connected and final impression was taken. The three-unit bridge was fabricated with 1mm clearance and was cemented with self curing resin cement. Total five periapical view was taken during the procedures. The periapical views was converted the digital image files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measured with image tool.

Results: Clinically the growth of firm and keratinized interdental papilla was shown in all the cases. After nine months marginal bone level change was I group of 0.12mm, Sc group of 0.15mm, Sh group 0.32mm. Sh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 and Sc group(p=0.00). Sc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 group(p=0.66). The marginal bone resorption in first experimental period(0-2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periods(p<0.05).

Conclusion: The growth of interdental papilla after functional loading is expected in all the implants. The closed curved microthreaded scalloped implant(Sc group) is more advantageous design in esthetic implant therapy.
Files in This Item:
T01032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