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1 1099

Cited 0 times in

뇌졸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Other Titles
 Quality of life in relation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Authors
 하현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사망률이 감소함에 따라 생존률 상승의 결과로 뇌졸중 환자수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하는 생존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뇌졸중 환자와 관련된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첫째, 본 연구 자료에 사용된 대상자들을 상대로 분석한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완벽한 건강상태를 1점으로 계산하는 EQ-5D에 의한 분석에서 영국가중치와 한국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영국가중치에서는 평균 0.46768점으로 분석 되었고 한국가중치는 평균 0.50603점으로 한국 가중치에서 0.03835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상태를 100점으로 하여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표시하는 VAS에 의한 삶의 질 점수는 평균 49,63점으로 분석 되었다.둘째, 뇌졸중 관련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EQ-5D에 의한 자료를 연령을 보정하여 분석한 자료에서 뇌졸중 진단당시 연령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31), 후유증이 없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직업을 가지고 있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VAS에 의한 분석에서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46), 후유증이 있는 군 보다 없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0), 학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으며(p=0.033), 직업이 있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8).셋째, EQ-5D의 항목별 분석에서 Level 3(많이 문제 있음) 가장 많은 응답을 한 항목은 통증/불편감(22.1%) 이었고, 일상생활(17.4%), 자기관리(14.7%), 불안/우울(12.4%), 그리고 운동영역(10.8%)순 이었다. 즉 뇌졸중 환자들에서 통증/불편감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항목으로 생각된다.뇌졸중으로 인한 유병률은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사망률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뇌졸중 환자 수는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 되며,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삶의 질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뇌졸중 유형별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세분화 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한 연구를 토대로 차별화된 보건서비스의 정책적 방향이 설정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who have strok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The subjects were 380 (male: 189, female: 191)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o within a year in 2005 3rd national and nutrition survey.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SAS 8.2 version. EQ-5D and VA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patients.The result of firstly, EQ-5D showed the average score of 0.51 and the result of VAS which mark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howed the average of 49.63 (perfect score of 100). Secondly, the analysis of EQ-5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patien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were higher for the people the first diagnosed age were lower(p=0.031), were higher for the people without sequel(p<.0001), were higher for the people who has job.(p=0.001)The analysis of VA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were lower for the people who have longer period of illness(p=0.046), were higher in the group of people without sequel(p=0.000), were higher for the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p=0.033). and were higher for the people who has job(p=0.018).Thirdly, in the analysis of each areas of EQ-5D, level 3 were shown as follows; Pain and discomfort (22.1%), usual activities (17.4%), self-care (14.7%), Anxiety or depression (12.4%), mobility (10.8%). Therefore, for the stroke patients, pain and discomfort count as the most effective factors of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incidence rate of cerebral vascular accidents increases while the death rate from it decreases, the number of stroke patients tends to increase. The further studies for that reason should cover the subject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stroke patients more in details and in depth, and also segmented down for the different stroke types. Then, future political aims for the differentiated health care service should be drawn out based on the studies
Files in This Item:
T0103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