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628

Cited 0 times in

척추마취하 경요도 절제술을 받는 환자에서 척수강 meperidine 투여가 주술기 전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rathecally administerd meperidine on perioperative shivering in patients undergoing tra 
Authors
 전덕희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요도를 통한 전립선 절제술이나 방광 절제술 같은 비뇨기과 수술을 시행 받는 환자들은 수술동안 시야의 확보와 출혈감소를 위해 실온의 소비톨 및 생리식염수 용액을 관주액으로 계속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술에서는 주로 척추마취를 시행하며 이 경우 마취된 부위의 혈관이 확장된 상태에서 다량의 차가운 관주액을 사용한다면 체온이 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수술실은 실내온도가 낮아 환자가 추위를 빈번히 호소하곤 한다. 척추마취시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전율이 빈번히 발현되는데 이는 체온하강에 대한 보상작용의 하나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율이 발생되면 환자는 불편감을 호소하게 되며 전율에 의해 체내 산소소모량이 증가되고 좌심실 수축기의 부담 및 젖산과 이산화탄소 생성이 증가 될 수 있다. 또한 떨림에 의해 심전도, 혈압, 혹은 산소포화도 감시가 방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영향들은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나 고 연령 환자들 에서 부정적 작용과 함께 정확한 실시간 환자감시에 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특히 요도를 통한 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심혈관계 질환이 동반된 고 연령군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전율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의해야할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경요도 전립선 혹은 방광 절제술을 받는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척추마취시 0.5% hyperbaric bupivacaine 10 mg과 meperidine 0.2 mg/kg 혹은 meperidine 대신 생리식염수를 동량으로 투여하여 주술기 동안 전율의 발생여부와 전율의 정도를 관찰 하였다.전율은 meperidine을 투여한 25명중 1명에서,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25명중 8명에서 발생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전율의 정도 또한 생리식염수 군에서 그 강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을 받는 노인환자들에서 체중 kg당 0.2 mg의 meperidine을 척수강내로 척추마취제와 병용 투여하는 것이 전율을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Shivering is a frequent complication in the perioperative period. We performed this prospective, double-blinded, and randomized study to determine whether intrathecal meperidine(0.2mg/kg) decreases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shivering after spinal anesthesia for transurethral operation. Fifty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transurethral resection operation under spinal anesthesia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Spinal anesthesia consisted of 0.5% hyperbaric bupivacaine 10mg and, in the meperidine group, meperidine (0.2mg/kg) or, in the control group, normal saline. Data collection, including sensory block level (by pinprick), blood pressure, heart rate, oral temperature, shivering intensity, was performed every ten minutes until the end of ope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cidence of shivering in control group (32%) when compared with meperidine group (4%)(P<0.05).
Files in This Item:
T0094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un, Duk Hee(전덕희)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2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