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1078

Cited 0 times in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

Other Titles
 Estrogen receptor α, estrogen receptor β and progesteron receptor as a possible prognos 
Authors
 박준성 
Department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배경 및 목적: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나, 2003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소화기 암 중 발생 빈도가 7번째이다. 담낭암의 예후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보고 되며, 예후에 관련된 인자로서 진단 당시의 병기, 암세포의 분화도 및 조직유형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단 당시의 병기와는 다른 환자들의 예후를 드물지 않게 경험하여, 현재 많이 이용되는 TNM분류법 만이 아닌 추가적인 예후 인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유병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중요한 예후 인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에서 예후 인자와 호르몬 치료의 지표에 대한 인자로서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기능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근치 절제를 시행한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알파와 베타로 나눠 구분할 뿐 아니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도 같이 평가하여 호르몬 수용체의 양성 여부가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에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의 가능성 및 호르몬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여 근치 수술을 받은 42명의 환자 중 조직의 보관상태가 양호하고 의무 기록과 수술 후 생존 여부의 추적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에스트로겐-알파, 에스트로겐-베타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면역조직화학 염색하여 기존의 예후 인자와의 비교하였다.결과: 전체 30명 대상 환자에서 에스트로겐-알파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30명 모두가 음성이었다. 에스트로겐-베타 수용체는 22명(73.3%)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종양의 분화도와 유의한 통계학적 연관성이 있었다. 에스트로겐-베타 수용체의 양성여부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양성군이 77.3%, 음성군이 37.5%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일한 예후인자로 판명되었다.결론: 에스트로겐-알파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모두 음성으로 나와 호르몬 치료는 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에스트로겐-베타 수용체 음성인 환자들이 더욱 나쁜 예후를 보여 에스트로겐-베타 수용체의 양성 여부가 담낭의 원발성 악성 종양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기능은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영문]Background : Gallbladder carcinoma is a relatively rare malignancy with an extremely poor prognosis. The pathologic staging of gallbladder carcinoma is a key determinant of the patient’s prognosis and the treatment options. However, we have often encountered patients in whom the course of their disease differed substantially from what would be predicted based on their clinical staging, which highlights the needs to consider additional predictive factors. Gallbladder carcinoma occurs more frequently in women than men, yet expression of the estrogen receptor(ER) family and progesteron(PR) have not been studied. We applied an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ERα , ERβ and PR in radically resected gallbladder carcinoma tissues and then compared their expression status with several clinicopathological factors.Methods: We immunohistochemically investigated 30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specimens of gallbladder adenocarcinoma tissues using ERα , ERβ and PR antibodies. The expression of ERα, ERβ and PR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 test. Survival was analyz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verified by the Log-Rank test.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enocarcinoma of gallbladder are both negative for ERα and PR, irrespective of histologic grade, TNM stage and sex. However, twenty-two of 30 cases (73.3%) were confirmed positive for ERβ, whi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differentiated tumor grade. Overall survival rates of ERβ-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were 77.3% and 37.5%, respectively (p=0.034).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ERβ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3).Conclusion: Evaluation of ERβ expression in gallbladder carcinoma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a poor prognostic group of gallbladder carcinoma.
Files in This Item:
T0093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Joon Seong(박준성)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8048-9990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