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700

Cited 0 times in

The long term results of the hybrid therapy of atrial fibrillation and risk factors for the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Other Titles
 심방 세동 환자에서 약물로 인해 유발된 심방 조동 환자에서의 Hybrid 치료법 
Authors
 최성훈 
Issue Date
2006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한글]배경: 심장 세동은 난치성 부정맥으로 약물 또는 전기재세동에 의한 리듬 조절 치료의 경우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 그러나 항부정맥제재를 사용하는 경우 심방 조동으로의 변환이 오는 경우 하대정맥-삼첨판륜 협부의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및 항부정맥 재제를 유지하는 Hybrid 치료법의 유용성 및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나 아직 장기간의 성적과 재발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방세동의 치료로써 Hybrid 치료의 장기 성적과 그 위험인자를 확인하고자 고안되었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시행된, 심방조동 하대정맥-삼첨판륜 협부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230명의 환자 중 후향적 조사를 통해 33명의 심방 세동으로부터 항부정맥재제 사용 후 발생한 심방조동을 확인하였다. 발작성 심방세동은 23명,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가 10명이었으며 사용된 항부정맥제재는 Class IC 재제로 flecanide 24명, profafenone 4명이었으며 class II 재제로 amiodarone 4명, sotalol 1명으로 구성되었다. 전극도자 절제술 전 모든 환자에서 심 초음파가 시행되었으며 전극 도자 절제술 후 항부정맥 재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였다. 외래 추적 관찰은 정기적인 표면 표준 12유도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증상 발현 시 Holter 검사 등을 시행하여 재발 유부를 추적하였다. 기본 목표점은 전극도자 절제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까지의 기간 이었으며 이차적으로 Hybrid 치료에 있어 재발 환자를 분석 독립적인 위엄 인자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3명의 환자에서 평균 63.7 ± 53.0 달간 외래 추적이 이루어졌으며 심방세동이 15명(45.5%)에서 재발하였다. 심방세동의 재발군과 비재발군간에는 성별, 연령, 전극 도자 절제술 전 약물의 항무정맥 재제의 종류, 동반된 기질적인 심 질환의 차이는 없었으나, 전극도자 절제술 전 심방세동의 기간(p=0.023)과 좌심방의 크기(p=0.027)만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심방세동의 기간이 길수록 좌심방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г=0.367, p=0.042). 심방세동의 재발과 관련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전극도자 절제술 전 좌심방 크기(odds ratio 7.5, CI of 95% 1.494 – 37.66, p=0.010)와, 전극도자 절제술 전 심방 세동의 기간(odds ratio 5.2, CI of 95% 0.899 – 30.078, p=0.049)만이 위험 인자였다. 또한 심방세동이 재발된 군에서도 1명을 제외하고 발생한 부정맥의 년간 빈도의 감소를 보였다(9.2  3.1 episodes per year). 또한 좌심방의 크기가 정상인군(LA AP<44mm )과 확장된 좌심방 군의 장기간의 심실 세동 재발에 관한 생존 분석상에서, 심방세동의 재발 없는 가간은 평균 985 ± 77일대 304 ± 91 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p = 0.0054)를 보였다. 결론: 심방세동의Hybrid 치료는 다른 치료법에 비해 장기간의 심방세동의 재발률을 낮출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재발과 관련된 인자로는 본 연구에서 전극도자 절제술전의 심방세동의 기간과 좌심방의 크기임을 확인하였다.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부정맥재제 유발성 심방조동 환자에서 적절한 적응증인 경우, 장기간 심방세동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효율적인 치료법이 될것이다.

[영문]Background: The Hybrid therapy, catheter abla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 tricuspid annulus isthmus and continuation of anti-arrhythmic drug (AAD) therapy have been shown to be an effective hybrid therapy for atrial flutter (AFL) which results from AAD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AF).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of Korean result an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AF in patients undergoing hybrid therapy for anti-arrhythmic drug-induced AFLMethods: 33 patients (mean age 57.1 ± 10.8, male 30) with paroxysmal (n=23) or persistent AF (n=10) who had not pre-ablative AFL episode, developed AFL due to the administration of amiodarone (n=4), flecainide (n=24), propafenone (n=4) or sotalol (n=1). Pre-ablative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During clinical follow-up, regular ECG & Holter monitoring were performed as scheduled. Recurrence of AF after ablation was assessed during follow-up on continued AAD therapy and during long-term follow-up.Results: During the follow-up on continued AAD therapy (63.7 ± 53.0 months), AF was recurred in 15 of 33 patients (45.5%). Pre-ablative AF duration (p=0.023) & left atrial diameter (p=0.027)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recurrence & no recurrence group) in statistically. AF and LA size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s significantly(г=0.367, p=0.042). The risk factors for the recurrence of AF in patients with Hybrid therapy were pre-ablative LA size (odds ratio 7.5, CI of 95% 1.494 – 37.66, p=0.010), and pre-ablative AF duration (odds ratio 5.2, CI of 95% 0.899 – 30.078, p=0.049). Despite of recurrence of AF, symptomatic events of AF were reduced from 9.2 to 3.1 episodes per year. Long term AF free survival is more longer in patients of normal LA size (<44mm) than in patients of enlarged LA size [event free duration mean 985 ±77 days vs. 304 ± 91 days, p = 0.0054]Conclusion: The Hybrid therapy of drug induced AFL from AF is an effective therapy enough to guarantee the long term AF free duration.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AF in Hybrid therapy are pre-ablative atrial fibrillation duration and enlarged LA size. Careful selection of patient for Hybrid therapy will be warranted for long term AF free survival.
Files in This Item:
T0092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oi, Seong Hoon(최성훈)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