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0 561

Cited 0 times in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하악 피질골 두께의 평가

Other Titles
 (The) evaluation of mandibular cortical bone thickness for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application 
Authors
 김정훈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아의 이동시 고정원의 보강은 교정치료가 시작된 후부터 교정의의 최대 목표였다. 과거에는 헤드기어와 같은 구외장치나 악궁간 고무줄로 고정원의 보강을 얻었으나 이는 환자의 협조도가 필수적이며 원치 않는 치아의 이동과 같은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였다. 고정원의 보강을 위한 여러 노력의 결과로 환자의 협조도가 필요 없고 다른 치아의 이동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교정용 임플란트가 개발되었고 간편한 술식으로서 최대의 고정원을 얻을 수 있는 형태가 개발되어 현재 교정치료에 획기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교정용 임플란트의 안정성은 식립 초기시 고정성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이는 주로 식립 부위의 피질골에 의하여 획득된다. 과거 연구에 의하면 상악 정중구개봉합부는 교정용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얻는데 충분한 피질골이 존재한다고 밝혀진바 있으며, 상악 협측 부위와 구개사면 역시 피질골의 두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조심스럽게 식립될 경우 교정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부위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하악골에 있어서는 협측 피질골의 두께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주로 대구치 일부분에 중점을 두었으며, 설측에 있어서는 피질골의 두께에 대한 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하악골의 협측과 설측의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하여 하악 협측과 설측부위의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부로서의 타당성에 대하여 평가하여 이 부위에 교정용 임플란트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연구 대상으로 성인 남자 15명, 성인 여자 15명의 하악 견치에서 제2대구치까지의 interdental space에 대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백악법랑경계에서 치근단방향 4 mm 부위의 협설측 피질골의 두께를 관상면을 확대한 평면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하악 협측은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2 mm 이상의 피질골이 존재하였다.2. 하악 설측은 모든 부위에서 2 mm 이상의 피질골이 존재하였다.3. 하악 협측과 설측 피질골의 두께는 견치에서 제2대구치까지 남자에서 여자보다 더 두껍게 측정이 되었으나 하악 설측에서 좌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사이, 우측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사이, 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사이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4. 남자에서는 하악 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사이 부위를 제외하고 설측피질골이 협측피질골보다 더 두꺼웠으며 여자에서는 하악 좌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 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설측피질골이 협측피질골보다 더 두꺼웠다.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5. 하악 협측 피질골의 두께는 남녀 모두에서 대구치 후방부위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였고 각부위의 차이는 여자의 소구치 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였으며(p<0.05), 하악 설측 피질골의 두께는 남녀 모두에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서 최대였으며, 견치와 제1소구치,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견치와 소구치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하악 협측과 설측 부위에서는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충분한 피질골이 존재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하악 협측 대구치 부위의 임상적 이용에 대한 근거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침을 통한 교정용 임플란트의 이용을 협측 소구치와 설측에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Orthodontists have tried to reinforce the anchorage during tooth movement since the beginning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Even if there was the extraoral appliance like head gear and the elastics between arches to reinforce the anchorage in the past, these methods should need the cooperation from the patient and also there were side effects like unexpected movement of the other teeth. But the diverse studies lead the orthodontists to develop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which does not need the patient cooperation and has no side effect like unexpected movement of teeth.The stability of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mainly depends on the cortical bones where it is implanted. According to the recent study, there were cortical bones enough to get the stability for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not only in the maxillary midpalatal suture but also in the maxillary buccal and maxillary palatal slope. But even if the study for the cortical bone thickness in the mandibular part is going on, that was focused on molar area and there were little study of the mandibular lingual area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ortical bone thickness in the mandibular buccal and lingual area through the computed tomograghy, to evaluate the property of this area for the application of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and to suggest the clinical guide for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in this areaAfter measuring the buccal and lingual cortical bone thickness at 4 mm apical point from the interdental cementoenamel junction from the mandibular canine to the second molar for the 15 male adult and 15 female adult using computed tomography coronal view imaging ,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re were the over 2mm cortical bones in the mandibular buccal area except between canine and first premolar area.2. There were the over 2mm cortical bones in the all mandibular lingual area.3. The cortical bone thickness of the male in the mandibular buccal and lingual are thicker than that of the femal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left side, between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in right side, and between the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right side (p<0.05).4. In the case of male, the mandibular lingual cortical bones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mandibular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except between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right side, but in the case of female, the mandibular lingual cortical bone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mandibular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except between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both sid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5. The mandibular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is increased from the canine to molar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premolar area in female (p<0.05). The mandibular lingual cortical bone thickness is the maximum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and is decreased in the order that between canine and first premolar, between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between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canine and premolar area (p<0.05). In this result, we found that there was enough cortical bone for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application in mandibular buccal and lingual area. This fact provided us with the bases and guide for the clinical use of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in the mandibular buccal molar area, and also enabled us to extend the use of the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in the mandibular buccal premolar area and lingual area.
Files in This Item:
T0090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8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