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 653

Cited 0 times in

An anatomic study on the insertion of the zygomaticus major muscle in human focused on the muscle arrangement at the mouth corner

Other Titles
 입꼬리의 근육배열양상 관점에서 큰광대근 닿는곳의 해부학적 연구 
Authors
 심경섭 
Issue Date
2005
Description
Dept. of Dentistry/박사
Abstract
[한글]

입 주위 얼굴근육 (facial muscle)의 해부학에 기본을 둔 얼굴표정의 정확한 지식은 얼굴부위의 수술과 치과보철학, 교정학 등에서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수술은 환자의 요구에 따라 점점 더 발전해 가는 추세이다. 얼굴표정은 기본적으로 여섯 가지 (슬픔, 노여움, 기쁨, 무서움, 싫음, 놀람)로 분류된다. 이러한 얼굴표정의 변화는 얼굴 부위 중 특히 입 주위 표정근육의 수축에 의한 입 모양의 변화에 의해 뚜렷하게 나타난다. 여러 입 주위의 근육 중에서도 큰광대근 (zygomaticus major muscle)은 얼굴표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입 주위 개개의 근육들은 세 층으로 나뉘는 얕은 층과 한 층의 깊은 층으로 구분된다. 이 중 큰광대근은 첫째 층과 셋째 층에, 입꼬리올림근 (levator anguli oris)은 가장 깊은 넷째 층에 놓여 있다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와 해부학 그림책에도 입꼬리올림근보다 얕은 층에 큰광대근이 놓여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몇몇 교과서에는 큰광대근이 입꼬리올림근보다 깊은 층에 놓여 있다고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큰광대근의 해부를 통해 큰광대근의 배열과 입 주위에서 큰광대근 닿는곳의 형태변이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재료로 고정된 한국인 시체 70쪽 (남: 38쪽, 여: 32쪽, 평균나이: 67.4세)을 사용하였다.큰광대근이 두갈래로 나뉘는 두갈래광대근 (bifid zygomaticus)은 40%에서 관찰되었다. 큰광대근의 닿는곳과 근육배열양상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큰광대근의 얕은 부분은 입꼬리올림근의 얕은층에 깊은 부분은 깊은층에 위치하는 I형은 54.3% (38예)로 가장 많았으며, I형과 같이 얕은 부분과 깊은 부분으로 나뉘지만, 얕은 부분이 입꼬리올림근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IV형은 5.7% (4예)로 가장 적었다. 큰광대근이 얕은 부분, 중간 부분, 깊은 부분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 입꼬리올림근의 얕은층, 같은층, 깊은층에 위치하는 II형은 24.3% (17예)에서 나타났다. 큰광대근이 하나의 섬유로만 구성되어 입꼬리올림근의 깊은층에 위치하는 III형은 15.7% (11예)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모든 경우에서 큰광대근의 섬유는 입꼬리올림근보다 깊게 위치하는 부분이 존재하였다.이 연구에서 밝힌 큰광대근 닿는곳의 양상과 근육배열양상은 입 주위의 얼굴재건수술 등을 실행하고, 계획할 때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영문]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arrangement of the zygomaticus major (ZMj) through a topographic examination, and to evaluate the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insertion of the ZMj in relation to the facial vessels in the peri-oral region. From70 dissections, the bifid ZMj (40%) was observed and its attachment to the other facial musculatures is described. At the peri-oral region of the dissected specimens, the anatomical aspects of the muscular arrangement and attachment of the ZMj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ype I, the superficial muscle band of the ZMj is blended and interlaced with the levator anguli oris (LAO), whereas the fibers of the deep muscle band blend into the buccinator and the LAO passing deep to the LAO was the most common encountered (54.3%). It was found that the insertion of the ZMj was divided into superficial and deep bands (42 cases in type I and IV, 60%), as well as into three layers of superficial, middle and deep fibers (17 cases 17 cases in type II, 24.3%). The others were cases where the ZMj was inserted deep into the LAO as a single muscle band (11 cases in type III, 15.7%).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topographic aspect of the facial artery passed through the separate muscle bands of the ZMj in 42.9%. The arrangement and insertion patterns of the ZMj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 critical information for the surgical planning and procedure for facial reanimation surgery.
Files in This Item:
T00881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6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