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8 501

Cited 0 times in

Topography and branching pattern of the infraorbital nerve

Other Titles
 눈확아래신경의 나뉨양상과 국소해부 
Authors
 김현철 
Issue Date
2005
Description
Dept. of Dentistry/석사
Abstract
[한글]

눈확아래신경은 삼차신경의 두 번째 가지인 위턱신경의 마지막 가지로 눈확아래구멍을 나와 아래눈꺼풀가지, 바깥코가지, 윗입술가지로 나뉜다. 눈확아래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는 얼굴의 중간부위 피부와 점막에 분포하며, 얼굴의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 중 가장 넓게 분포한다. 눈확아래신경은 위턱의 종양제거, 위턱뼈 절개술, 눈확광대 복합골절 등의 수술을 할 때 제거되거나 일부 손실되어 얼굴의 심한 통증이나 감각상실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눈확아래신경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확아래신경의 주행양상과 분포범위, 주위 구조와의 해부학적관계를 밝히기 위해 한국인 얼굴 43쪽 (남자: 26쪽, 64.6세. 여자: 17쪽, 71.4세)을 해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눈확아래구멍에서 눈확아래동맥은 구멍의 가운데에 (73.8%), 눈확아래신경의 얕은층에 위치한 경우 (73.8%)가 가장 많았다. 아래눈꺼풀가지는 눈확아래신경의 가지 중 가장 가늘었으며, 안쪽과 가쪽 양쪽으로 나뉜 경우 (58.1%), 안쪽가지만 있는 경우 (27.9%), 가쪽가지만 있는 경우 (14.0%) 순으로 나타났다. 속코가지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은 신경이나, 언제나 나타나는 신경이다. 속코가지는 코중격내림근 위에서 콧방울을 감싸며 주행하여, 인중 부위의 피부에 분포하고, 마지막가지는 코중격과 코안뜰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바깥코가지는 코뿌리에서 콧등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코중간에서 콧등까지 분포하는 경우 (39.0%)와 콧등에만 분포하는 경우 (26.8%)가 많았다. 윗입술가지는 눈확아래신경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많은 가지를 내었으며, 분포부위에 따라 안쪽가지와 가쪽가지로 나뉘었다. 앞가지는 윗입술의 정중부위에서 콧방울선까지의 피부와 입안점막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뒷가지는 입꼬리 가쪽의 피부와 입안점막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눈확아래신경을 바깥코가지, 속코가지, 윗입술가지의 안쪽가지와 가쪽가지의 나뉨양상에 따라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네 개의 신경이 완전히 나뉜 Ⅰ유형이 42.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는 위턱부위의 종양제거, 골절과 같은 수술이나 코성형수술을 할 경우, 눈확아래신경을 보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e infraorbital nerve (ION) is the terminal branch of the maxillary nerve and supplies the skin and mucous membran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ace. This nerve is vulnerable to such surgical procedures as removal of tumor on the upper jaw, maxillary resection and deep injuries as the orbitozygomatic complex fractures. Severe pain and loss of sense are noted on patients whose ION were entirely or partially lost after such procedures.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concerning the topography of this nerve. For this reason, we performed this study through dissection of 43 hemifaces of Korean cadavers.In most cases, the infraorbital artery (IOA) was located at the middle (73.8%) and superficial layer (73.8%) when exiting the infraorbital canal. The inferior palpebral branch was the smallest branch of ION, was generally bifurcated (58.1%), and showed cases that only gave off either the medial (27.9%) or the lateral (14.0%) branch. The internal nasal branch, while it almost always appeared in all specimens, ran superior to the depressor septi muscle, along the ala of the nose, and supplied the skin of the philtrum and gave off terminal branch to supply the nasal septum and the vestibule of the nose. The external nasal branch was distributed in diverse patterns ranging between the root and the ala of the nose. Most commonly, the nerve supplied the inferior 4/5 portion of the nose (39.0%). The superior labial branch was the largest and numerous of ION. These branches were sorted into the medial and lateral branches according to the area it is distributed. As the branching patterns of the external, internal nasal branch and the anterior, posterior branch of superior labial branch, we classified four types. Type I, where all four branches are separated was most frequent (42.1%).These studies will help to preserve ION while performing such maxillofacial surgeries as removal of tumor on the upper jaw, fracture of the upper jaw and rhinoplasty.
Files in This Item:
T0087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