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 570

Cited 0 times in

위절제술 후 경막외 자가통증조절 시 ropivacaine에 첨가된 sufentanil과 morphine의 효과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ufentanil and morphine with ropivacaine for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after gastr 
Authors
 김원주 
Department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수술 후 통증은 인체의 생리적 기능을 변화시키며 특히 위절제술과 같은 상복부 수술에 의한 통증은 심각한 호흡기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술 후 통증을 조기에 차단하여 정상기능의 장애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위절제술을 시행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ropivacaine과 혼합하여 지용성 아편양 제제인 sufentanil 또는 수용성 아편양 제제인 morphine을 경막외강에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두 약제의 진통효과 및 부작용을 비교하고 sufentanil의 농도를 다르게 주입함으로써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는 sufentanil의 적정 용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강제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을 측정하였고 제 7-8 또는 8-9 흉추 간에서 방정중접근법으로 경막외강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머리 쪽으로 5 cm 올린 후 고정하였다. 환자를 임의로 세 군(S1, S2, M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 부하(loading) 용량으로 0.375% ropivacaine 6 ml와 혼합하여 S1, S2군은 sufentanil 20 μg, M군은 morphine 2 mg을 카테터로 투여하였다. Propofol 2 mg/kg, rocuronium 0.9 mg/kg를 정맥 주사하여 마취유도 후 기관내 삽관 하에 전신 마취로 유지하였다. 수술 종료 후 ropivacaine 0.15%와 혼합하여 S1군은 sufentanil 0.5 μg/ml, S2군은 sufentanil 1.0 μg/ml, M군은 morphine 32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약물을 생리 식염수와 혼합하여 총 250 ml를 자가통증조절장치에 연결하여 주입하기 시작하였다. 자가통증조절장치의 설정은 일회 주입량 4 ml, 기저주입 속도 4 ml

hour, 잠금간격 20 분으로 하였다.

마취 각성 직후, 수술 후 6, 12, 24, 48 시간 후 통증 정도를 시각아날로그척도(visual analog scale; VAS)로 휴식 시 및 기침 시 측정하였고, 호흡저하, 구역, 구토, 가려움증, 진정, 저림, 저혈압 등의 부작용 발생 빈도를 기록하였다. 또한 수술 후 6, 24, 48 시간의 강제폐활량을 측정하였으며 자가통증조절장치의 약물이 모두 주입된 후 카테터를 제거하였다.

휴식 시 통증 정도는 세군 모두 각 시점에서 VAS 3-4 이하로 적절한 통증조절이 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침 시 통증 정도는 세 군 모두 각 시점에서 VAS 5-6 이하로 조절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역시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강제 폐활량은 세 군 모두 수술 전보다 크게 감소하였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각 시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작용의 발생 빈도는 M군에서 S1, S2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가려움증과 진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S2군이 S1군에 비하여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는 환자의 술 후 통증관리를 위하여 0.15% ropivacaine과 혼합하여 sufentanil을 투여할 경우 morphine과 비슷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 특히 가려움증과 진정의 발생빈도가 적고, 적절한 투여용량은 20 μg 부하 후 기저주입속도 2 μg/hour, 자가조절 일회주입량 2 μg/4 ml, 잠금시간 20분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Postoperative pain changes the physioloigic function of the body. Especially, inadequate pain relief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such as gastrectomy may lead to severe pulmonary complication. So, early pain control is essential and it can minimize the alteration of normal body function.

In a prospective and randomized study, we have compared the analgesic efficacy and side effects of sufentanil versus morphine for postoperative epidural analgesia. And we investigated an optimal dosage of sufentanil.

We recorded forced vital capacity before operation. After patients'' approval of the operation room, a thoracic epidural catheter was inserted at T 7-8 or 8-9 level with paramedian approach and moved upward 5 cm. 60 patients underwent gastrectomy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to receive ropivacaine 0.15% + sufentanil 0.5 μg/hour in group S1, or ropivacaine 0.15% + sufentanil 1.0 μg/hour in group S2 or ropivacaine 0.15% + morphine 32 μg/hour in group M. We injected sufentanil 20 μg in group S1 and S2 or morphine 2 mg in group M via the epidural catheter for loading dose. General anesthesia was induced with 2 mg/kg of propofol and 0.9 mg/kg rocuronium and maintained with sevoflurane in air and oxygen. After completion of surgery,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was started using PCEA device. The bolus dose was 4 ml, basal infusion rate 4 ml/hour, total amount 250 ml, and the lock-out time 20 minutes.

The quality of analgesia was assessed using resting and coughing VAS at five times : immediate after awakening, 6, 12, 24, 48 hours after surgery. The number of side effects including respiratory depression, nausea, vomiting, pruritus, sedation, numbness, hypotension was recorded. FVC was assessed at 6, 24, 48 hours after surgery.

Patient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demographic data. Resting VAS was maintained below 3-4 at every time of record in three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een. Coughing VAS was maintained below 5-6 at every time of record in three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een ei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VC among three groups. The number of side effects, especially pruritus and sed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in group M than group S1 and S2. No difference was seen between group S1 and S2.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oracic epidural application of sufentanil combined with ropivacaine provides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gastrectomy, which is comparable to the analgesia with ropivacaine plus morphine and it provides less side effects especially pruritus and sedation. In addition, the optimal dosage of sufentanil was 20 μg loading dose, basal rate 2 μg/hour, PCA bolus 2 μg/4 ml, lock out time 20 min.
Files in This Item:
T0086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Won Ju(김원주)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2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