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 1359

Cited 0 times in

인공 심박동기 이식 환자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Other Titles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mplantable pacemaker 
Authors
 윤소영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이식 후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4일부터 12월 22일까지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자료수집을 허가한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인 Y 대학 부속병원 심장혈관 병원의 인공 심박동기 클리닉에서 시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인공 심박동기 이식자 총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인공 심박동기 이식 전, 후 증상경험 측정도구, 삶의 질은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Ware & Sherbourne, 1992)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이식 전 증상경험은 평균 29.80점으로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증상경험의 빈도는 9.07점, 강도는 9.86점, 고통감은 10.87점으로 고통감 차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080, p=.047). 이식 전 경험한 증상 중 어지러움, 호흡곤란, 심계항진, 만성피로 등이 빈도, 강도, 고통감의 모든 측면에서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간호 중재와 관리를 요하는 주요 증상으로 나타났다.



2.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이식 후 증상경험은 평균 4.23점으로 크게 호전되었으며, 증상경험의 빈도는 1.41점, 강도는 1.31점, 고통감은 1.51점으로 고통감 차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40, p=.960). 이식 후 경험한 증상 중 만성피로, 어지러움, 만성두통, 호흡곤란 등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나 간호 중재와 관리를 요하는 주요 증상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식 후 증상경험은 여성(p=.019)과 직업이 없는 경우(p=.032) 빈도, 강도, 고통감의 3차원에서 증상경험의 정도가 심했다.

질병 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이식 후 증상경험은 NYHA 단계가 높을수록(p=.016), 약물을 복용 할수록(p=.002) 빈도, 강도, 고통감의 3차원에서 증상경험의 정도가 심했다.



4. 인공 심박동기 이식 후 삶의 질은 미국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평균 50점, 표준편차 10점으로 보고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신체적 측면 45.17점, 정신적 측면 46.51점으로 약간 낮았다. 100점을 기준으로 한 하부 영역별 점수는 사회적 기능 82.08점, 통증 76.34점, 신체기능 71.99점, 정서적 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68.53점, 정신건강 64.59점, 신체적 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64.34점, 활력 52.80점, 전반적 기능 49.49점 순서였으며 총체적 삶의 질 점수는 530.15점이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여성이 신체기능(p=.023), 통증(p=.000), 전반적 건강(p=.003), 활력(p=.003), 사회기능 영역(p=.011)에서 남성보다 삶의 질 수준이 낮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기능(p=.00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0), 활력(p=.000),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3)에서 삶의 질이 낮았다. 결혼상태에 따라 신체기능 영역(p=.018) 삶의 질이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수준에 따라 신체기능(p=.003),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7), 사회기능(p=.018),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30)에서 삶의 질 차이가 있었다. 직업이 있는 경우 신체기능(p=.00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0), 통증(p=.003), 전반적 건강(p=.000), 활력(p=.006), 사회기능(p=.000),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0)에서 삶의 질 수준이 높았으며 경제수준에 따라 신체기능(p=.006), 활력(p=.036),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23)에서 삶의 질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6. 질병

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진단명에 따라 방실차단의 경우 동결절 기능장애에 비해 전반적 건강(p=.008), 활력 영역(p=.023)에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식 전 NYHA 단계가 낮을수록 신체기능(p=.020),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26), 통증(p=.036), 활력(p=.035), 사회기능(p=.001),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1), 정신건강 영역(p=.009)에서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박동장애 외 타 질환이 없는 경우 신체기능(p=.004), 신체문제로 인한 역할제한(p=.001), 정서문제로 인한 역할제한 영역(p=.001)에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았다.



7.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증상경험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14)를 나타냈으며 빈도(r=-.422), 강도(r=-.407), 고통감(r=-.380)의 각각의 차원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증상경험의 빈도가 높고, 강도가 심하며, 고통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공 심박동기 이식 대상자들의 이식 전, 후 증상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 결과를 고려해 임상 실무에서 증상에 대한 간호 접근 방식을 다양화 하는 것은 간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증상경험의 정도와 삶의 질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 및 질병 치료 관련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대상자마다 다른 차별화된 간호 전략을 구사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증상경험에 대한 효율적인 간호 관리와 중재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의 질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향후 만성질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과학적이고 합리적 근거를 마련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levels of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implantable pacemaker patients and to provide a baseline fo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se pati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approach, using a cross sectional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3 patients with implantable pacemaker who were being treated in the pacemaker outpatient department,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4, 2004 to December, 22, 2004. The instrument used in study ware a qustionnaire on symptom experience for implantable pacemaker pati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MOS SF-36) for quality of life, especially symptom experience was composed of symptom occurrence(frequency), symptom severity(intensity), symptom distress.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mean scores of pre-implant stage symptom experience were relative low (M=29.80, SD=17.32). Of the domains of symptom experience, the mean score for frequency was 9.07, for intensity, 9.86, and for distress, 10.87. The dimension distress had the highest score, there was sigm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3.080, p=.047). The most symptom experienced by all of the dimensions was dizziness. Dyspnea, palpitation, fatigue were also reported as having high symptom experiences.



2. The mean scores of post-implant stage symptom experience were very low (M=4.23, SD=6.89). Of the domains of symptom experience, the mean score for frequency was 1.47, for intensity, 1.31, and for distress, 1.51. While the dimension distress had the highest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040, p=.960). The most symptom experienced by all of the dimensions was fatigue. Dizziness, headache, dyspnea were also reported as having high symptom experiences.



3. In the post-im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By sex(p=.019) and occupation(p=.032)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In the post-trans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NYHA class(p=.016) and medication(p=.002)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4.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was relatively low (M=530.15, SD=169.89) more than healthy American people. Of the eight subcategory, the mean score for Social Functioning(SF) was the highest(M=82.08), and that of General Health(GH), the lowest(M= 49.49).



5. In the post-implant stag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ex(Physical function(PF) p=.023, Bodily Pain(BP) p=.000, GH p=.003, Vitality(VT) p=.003, SF p=.001), age(PF p=.000, Role-Physical Functioning(RP) p=.000, VT p=.000, Role-Emotional Functioning(RE) p=.003), marital status(PF p=.018), education level(PF p=.003), RP p=.007, SF p=.018, RE p=.030), occupation(PF p=.000, RP p=.000, BP p=.003, GH p=.0000, VT p=.006, SF p=.000, RE p=.000), economic level(RE p=.023).



7. In the post-implant stage, symptoms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diagnosis(GH p=.008, VT p=.023), NYHA class(PF p=.020, RP p=.026, BP p=.036, VT p=.035, SF p=.001, RE p=.001, Mental Health(MH) p=.009), other disease(PF p=.004, RP p=.001, RE p=001).



8.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r=-.414). Of the dimensions of symptom experience, the relationship for frequency was r=-.422, for intensity r=-.407, and for distress r=-.308.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enhacing quality of life by symptom management. So it is suggested that symptom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implantable pacemaker be developed taking consideration multi-dimension of symptom experience.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and quality of life will be a helpful in the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Files in This Item:
T00852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3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