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1 653

Cited 0 times in

개흉술 후 통증관리를 위한 Ropivacaine의 흉부 경막외 지속주입시 Sufentanil의 적정 병용 용량

Other Titles
 (An) optimal regimen of 0.2% ropivacaine-sufentanil mixture in continuous thoracic epidural infusion for pa 
Authors
 김미경 
Department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폐수술을 위한 개흉술(thoracotomy)은 가장 심한 수술 후 통증을 유발하는 수술의 하나이다. 수술 후 통증관리는 심폐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관계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 및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적절한 통증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폐엽절제술(lobectomy)을 시행받기 위해 개흉술을 시행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상흉부 경막외강에 카테터를 거치한 후 0.2% ropivacaine과 3가지 용량(0.5 ㎍/㎖, 0.75 ㎍/㎖, 1.0 ㎍/㎖)의 sufentanil을 병용하여 지속주입하여 적절한 진통효과를 제공하면서 활력 징후에 미치는 영향 및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sufentanil의 적정 용량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는 fentanyl 100 ㎍, thiopental sodium 5 ㎎/㎏ 및 vecuronium 0.2 ㎎/㎏을 정맥 주사하여 마취 유도하였다. 수술 종료 후 측와위 상태에서 흉추 1 번과 2 번 또는 2번과 3 번 가시돌기 사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미측 방향으로 5-7 ㎝ 위치에 거치하였다. 카테터를 통하여 각 환자에게 해당 통증관리 약물 5 ㎖를 경막외로 일회 주사한 후 환자를 중환자실로 이송하였다.

중환자실 도착 직 후 각 군에 해당하는 약물을 5 ㎖/hr의 속도로 지속 주입하였다.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는 기관내 튜브 발관 직 후, 중환자실 입실 12시간 및 24시간 후에 resting VAS, dynamic VAS, 강제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을 각각 측정하였고,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여 추가 진통이 필요한 경우 ketorolac을 투여하고 투여횟수 및 용량을 기록하였다. 수술 후 3 일째에 경막외강에 거치한 카테터를 제거하였다.

Resting VAS는 각 시점에서 모두 sufentanil 1.0 ㎍/㎖ 병용 투여군에서 낮았으며 이 중 기관내 튜브 발관 직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Dynamic VAS는 각 시점에서 모두 sufentanil 1.0 ㎍/㎖ 병용 투여군 에서 낮았으며 이 중 기관내 튜브 발관 직후와 중환자실 도착 12시간 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강제 폐활량은 sufentanil 1.0 ㎍/㎖ 병용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ufentanil 병용 용량과 ketorolac의 투여횟수 및 진정지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호흡저하, 가려움증, 구역/구토, 운동신경 차단은 모든 환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개흉술을 시행한 환자의 통증관리에 상흉부 경막외강 카테터를 거치후 0.2% ropivacaine과 1.0 ㎍/㎖ sufentanil을 병용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영문]Thoracotom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ainful surgical procedures. Inadequate pain control after thoracotomy may lead to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resulting in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prolonged hospital stays, and increased cost, optimal pain control is essential in postoperative care of thoracotomy patients.

In this randomized double-blinded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an optimal dose-combination of sufentanil and ropivacaine 0.2% for postoperative epidural analgesia. Forty five among fifty two patients underwent thoracotomy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receiving continuous high thoracic epidural analgesia with ropivacaine 0.2% + sufentanil 0.5 ㎍/㎖ (group Ⅰ), ropivacaine 0.2% + sufentanil 0.75 ㎍/㎖ (group Ⅱ), or ropivacaine 0.2% + sufentanil 1.0 ㎍/㎖ (group Ⅲ).

All patients were induced with thiopental sodium 6 mg/kg, fentanyl 100 ㎍ and vecuronium 0.2 mg/kg. Upon completion of surgery, a thoracic epidural catheter was inserted at T1-3 level, and moved downward 5-7 ㎝. Double lumen endotracheal tube was changed to single lumen endotracheal tube and the patient was transpor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Epidural continuous infusion was administered at 5 ㎖/hr. Resting VAS(visual analog scale), dynamic VAS, forced vital capacity, and side effects were recorded at three times: immediate after extubation; 12 hours after arrival on ICU; and 24 hours after arrival on ICU.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data among three groups. Resting VA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at immediate after extubation (P 〈 0.05) and dynamic VA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at immediate after extubation and 12 hours after arrival on ICU (P 〈 0.05) compared with other two groups. Forced vital capacity was the lowest in Group Ⅲ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s in dosing number of ketorolac, sedation score, respiratory depression, pruritus, nausea / vomiting, and motor block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ree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of 0.2% ropivacaine and sufentanil 1.0 ㎍/㎖ provides the most effective analgesia in post-thoracotomy pain with less side effects among the three combinations tested.
Files in This Item:
T0081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Mi Kyeong(김미경)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