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672

Cited 0 times in

오금의 국소해부 및 구조의 형태계측

Other Titles
 Regional anatomy of popliteal fossa & morphological measurements 
Authors
 유우경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오금은 여러 구조들이 복잡하게 지나가는 공간으로 수술이나 어떤 조작을 시행할 때 자세한 국소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오금부분의 각 구조들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기술하고 그 형태변이를 조사하여 임상분야에서의 진단, 치료 및 재활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인 다리 30쪽을 사용하여 해부 및 계측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쪽장딴지피부신경과 가쪽장딴지피부신경 모두 둘째 부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각각 위관절융기로부터 이는곳까지는 몸쪽으로 17.6±12.6 mm, 21.5±12.7 mm였다.

2. 궁둥신경이 나누어지는 위치는 오금에서 갈라지는 경우가 70%, 볼기에서 갈라지는 경우가 30%였다.

3. 장딴지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위관절융기 몸쪽에서 일어났다. 그 중 안쪽갈래에 분포하는 신경이 더 위에서 일어났고 그 일어나는 형태는 다양하였다. 가자미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한 줄기로 분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장딴지빗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비교적 변이가 적었으며, 오금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혈관 사이로 복잡하게 주행하였다.

4. 작은두렁정맥은 오금정맥으로 합쳐지는 경우가 76.0%로 가장 많았으며, 합쳐질 때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였다.

5. 정강정맥과 종아리정맥이 합쳐지는 형태는 네 가지 유형 중 뒤정강정맥과 종아리정맥이 합쳐진 후 앞정강정맥이 합쳐지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6. 오금동맥이 한 예에서 장딴지근의 안쪽갈래 근육 사이로 내려갔으며, 앞정강동맥과 뒤정강동맥이 나누어지는 형태는 제 1형이 96.7%로 대부분이었다.

7. 무릎동맥의 가지는 위안쪽무릎동맥, 위가쪽무릎동맥, 중간무릎동맥, 아래가쪽무릎동맥, 아래안쪽무릎동맥 순이 6예, 위안쪽무릎동맥, 위가쪽무릎동맥, 중간무릎동맥, 아래안쪽무릎동맥, 아래가쪽무릎동맥 순이 6예 있었고, 그 외 여러 형태가 있었다.

8. 동맥과 정맥의 위치관계에서 모음근굴 부분에서는 대부분 동맥이 정맥의 안쪽에 있었으며, 위관절융기 부분에서는 정맥이 동맥을 완전히 덮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영문]

Popliteal fossa is a space where complex structures are situated,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surgery or other procedures one must have regional anatomical knowledge. In this study, we used 30 cadaveric legs of Koreans to describe regional anatomy of popliteal structures and to research anatomical variations to help with clinical diagnosis, therapy and rehabilitat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1. Both medial and lateral sural cutaneous nerve arose mostly from the second part and the distances from epicondyle to the origin were 17.6±12.6mm and 21.5±12.7mm, respectively.

2. The of sciatic nerve bifurcated at popliteal fossa with incidence of 70% and 30% at gluteal region.

3. The nerves to gastrocnemius muscle arose from the proximal portion of epicondyle, the medial branch, especially more proximally, with variation in morphology. The nerves to soleus muscle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 the most common type of which was one division. The innervation of plantaris muscle shows

little variation and the nerves to popliteal muscle showed complex course through the vessels.

4. The lesser saphenous vein was incorporated 76.0% within popliteal vein with variations in the shapes of incorporation.

5. Among 4 types of drainage of tibial vein and peroneal vein,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drainage of posterior tibial vein and peroneal vein first and then anterior tibial vein afterwards.

6. In one case, popliteal artery ran downward between the medial heads of gastrocnemius muscle and 96% of bifurcation of anterior and posterior tibial artery was type 1.

7. Branches of genicular artery arose by following order in 6 cases: superomedial genicualr artery, superolateral genicular artery, middle genicular artery, inferolateral genicualr artery, inferomedial genicular artery. In other 6 cases had following order: superomedial genicualr artery, superolateral genicular artery, middle genicular artery, inferomedial genicular artery, inferolateral genicular artery. There were other variable shapes.

8. As far the relationship between artery and vein, in most of the cases, artery was located in the medial side of the vein in adductor canal and at epicondyle level, under the vei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41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