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643

Cited 0 times in

유두부암 진단에서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생검의 유용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의련-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7:52Z-
dc.date.available2015-11-20T06:07:5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13-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유두부암은 유두부의 구조적 특성상 조기에 황달이 출현하여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경우가 많아 다른 췌담도계암보다 예후가 양호한 것이 특징이다. 유두부암 진단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이하 ERCP)은 십이지장 유두부의 관찰이 가능하고 담췌관의 조영으로 병변의 모양을 보여 줄 수 있으며, 병소부위에서 생검을 실시할 수 있어 병변의 조기발견 및 진단에 중요한 검사방법이다. 육안적으로 병변이 점막에 노출되어 있는 유두부암은 생검이 쉬워 문제가 되지 않겠으나, 병변이 점막층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 유두부의 소견을 보이거나, 유두부 점막의 융기 소견만을 보여 진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직검사의 필요성을 간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비노출형의 유두부암에 대한 연구가 아직 없어 본 연구에서는 유두부암의 육안적 소견을 크게 노출형과 비노출형으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임상상과 진단방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에 시행하는 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91년 1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에 내원하여 수술 및 조직검사로 유두부암으로 진단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 유두부암 31예 중 종괴형은 20예, 궤양형 4예, 혼합형 3예, 특수형 4예이었다. 이중 비노출형은 9예(29%)로 종괴형 중 비노출 종괴형 6예와 특수형 중 정상형 3예이었다. 노출형은 22예(71%)로 종괴형 중 노출 종괴형 14예, 궤양형 4예, 혼합형3예, 특수형 중 폴립형 1예이었다. 2. 유두부암을 양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평균연령, 성별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나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비노출형이 노출형에 비하여 total bililubin, alkaline phosphatase, GGT가 의미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3.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시 총담관 원위부 모양과 총담관 확장정도는 비노출형과 노출형에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4. 노출형 유두부암 22예는 모두 단순 겸자 생검으로 진단이 되었으나, 비노출형 유두부암은 솔을 이용한 담관내 세포 검사로 진단한 1예를 제외한 8예 모두에서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시행한 생검으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쇄성 황달의 소견을 보이나 폐쇄병변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유두부의 표면 점막과 종대정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두부의 비특이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비노출형 유두부암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의 생검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Ampullary cancer is a malignant lesion in the pancreatobiliary system with a relatively good prognosis because of its slow growth and early appearance of symptoms due to its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biliary system and high resectability. So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of ampullary cancer will lead to early treatment and subsequent better prognosi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ERCP) is an important and useful method in the diagnosis of ampullary cancer because it identifies the location of lesions and allows confirmation by biopsy. But the diagnostic accuracy of endoscopic biopsy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macroscopic appearance of ampullary cancer. In unexposed type ampullary cancer, biopsy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intraluminal cannulation biopsy or intraductal brush cytology have been recommended because the cancer tissue was either not visible at all or barely visible from the lumen of the duodenu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iagnostic method according to macroscopic appearance of ampullary cancer and the contribution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to the diagnosis of ampullary cancer.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mpullary cancer by surgical or endoscopic biopsy. The results as follows. 1, Macroscopically, there were 20 cases of protruding type, 4 cases of ulcerative type, 3 cases of mixed type and 4 cases of atypical type. In 9 cases(29%) of unexposed type, there were 6 cases of unexposed protruding type and 3 cases of normal type. In 22 cases(71%) of exposed type, there were 14 cases of exposed protruding type, 4 cases of ulcerative type, 3 cases of mixed type and 1 case of polypoid type. 2. There were no difference of age, sex distribution between unexposed and exposed type ampullary cancers. But the serum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and GGT were lower in unexposed type comparing with exposed type(P<0.05). 3. There were no difference of distal common bile duct(CBD) shape and CBD dilatation by ERCP between unexposed and exposed type ampullary cancers(P>0.05). 4. All unexposed ampullary cancers were diagnosed by biopsy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except one case. All exposed ampullary cancer were diagnosed byendoscopic forcep biopsy. Conclusively, in cases of obstructive jaundic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nexposed ampullary cancer if there are no obstructive lesion with normal or elevated ampulla mucosa and perform biopsy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유두부암 진단에서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생검의 유용성-
dc.title.alternativeUsefulness of biopsy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at diagnosis of ampullary cancer-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0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Eui Ry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