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700

Cited 0 times in

임상간호원의 사회화과정에 따른 지각향성, 역할행동특성 및 자아실현간의 관계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nurses' socialization process in relation with perceptual orientation, role behavior characteris 
Authors
 한윤복 
Issue Date
1984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인간은 지각에 의해 통제되는 역할행동을 배우면서 사회화한다. 사회화는 특정시기에만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한평생을 통해 지속되는 것으로서 사회생활의 내용중에서 직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직업은 성인의 사회적 정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더우기 남에게 도움을 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신념, 태도 및 지각하는 방법등은 전문직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현대의 대규모의 의료체제에서는 조직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나머지 전문직으로 하여금 관료직화하게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할갈등이나 역할상실은 개인의 직업만족도를 낮출뿐만 아니라 교육투자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간호원들이 직업적 가치를 내면화하고 자아를 실현하며 성공적으로 사회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문직의 효율성은 행위자의 지각에 따라 달리 인식될 수 있다고 보며 자아를 실현하는 직업인의 배경에는 인성이 문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원의 전문직 성장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화의 과정에 있어서의 지각향성, 역할행동특성 및 자아실현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저 시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임상간호원의 지각향성을 측정하여 요인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임상간호 역할행동 특성을 관료적 역할행동특성과 전문직 역할행동특성으로 구분하여 지각향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자아실현도를 측정하여 지각향성 및 역할행동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넷째, 지각향성, 역할행동특성 및 자아실현과 사회심리적 조절과 적응이 요구되는 사회화과정 단계와의 관계를 구명하었다.

연구대상은 1983년 12월부터 1984년 3월 사이에 서울과 지방의 21개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대학졸업 간호원 469명이었으며 본 연구에는 최정훈의 지각향성검사 및 김재은, 이광자의 자아실현검사, 그리고 연구자에 의해 작성된 역할행동특성측정 검사지가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표집대상의 사회화과정단계 및 인구학적 변수와 지각향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적율상관계수와 분산분석 및 중다분류분석을 하였다. 사회화과정단계 및 사회화과정 변수와 관련된 인구학적 특성과 역할행동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및 중다분류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역할행동특성 변수간의 차의 유의도를 t검정 하였다.

사회화과정과 자아실현과의 관계는 분산분석 및 중다분류분석으로 확인하였고 지각향성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적율상관계수와 분산분석 및 중다분류분석을 사용하였다.

역할행동특성과 자아실현과의 관계, 그리고 역할구성과 자아실현과의 관계는 피어슨 누적상관계수와 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연령과 역할구성과의 관계 및 직위와 역할구성과의 관계는 X**2 검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 자아실현에 대한 독립변수 지각향성과 중재변수인 사회화과정과 인구학적 특성의 기여도를 알기 위해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변수별 표집대상의 일반적 특성

(1) 표집대상의 지각향성 최고점수는 266점이고 최저점수는 159점이었으며 평균 점수는 220.87로 전국 수준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관료적 역할행동특성 최고점수는 87점, 최저 31점, 평균 55.97이었고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은 최고 93점, 최저 44점, 평균 68.13으로 나타났으며 역할행동특성 두 변수 간에는 t=5.19, p<.01의 유의한 차를 보였다.

(3) 자아실현 평균점수는 시간효율성, 내부지향성, 자아실현성, 감수성, 자발성, 자기긍정성은 전국규준에 비해 높은 편이고 실존성, 자기수용성 및 포용성은 전국규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2) 본 연구의 가설검정의 결과

(1) 지각향성과 역할행동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설1 「지각향성이 높을수록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14.671, p<.001). 즉 지각향성이 높을수록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2) 지각향성과 자아실현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설2 「지각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실현도가 높을 것이다」는 자아실현 대표척도인 시간효율성은 F=13.822, p<.001 내부지향성은 F=17.466, p<.001의 유의수준에서 지지되었다. 즉 지각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실현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역할행동 특성과 자아실현과의 관계에서 가설3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을수록 자아실현도가 높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시간효율성 F=.327, p>.05, 내부지향성 F=3.599, p<.05). 즉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은 자아실현 대표척도중 내부지향성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4) 사회화과정단계와 역할행동 특성과의 관계에 있어 가설4 「사회화과정 2단계의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은 1단계의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12.483, p<.001).

(5) 가설5 「역할구성 LB-HP(관료적 역할행동 특성이 낮고 전문적 역할행동특성이 높음)는 다른 역할구성에 비해 자아실현도가 높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F=4.210, p<.01). 즉 역할구성 LB-HP는 자아실현의 하위척도인 자아실현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3) 하위변수의 추가 분석의 결과

(1) 사회화과정 단계에 따라 지각향성은 높아지지 않았다.

(2) 연령이 높을수록 지각향성 내용중에서 자기에 대한 지각이 높게 나타났다.

(3) 표집대상의 전공분야별 지각향성은 소아과 전공군이 가장 높았다. 타인에 대한 지각은 내과계 전공군이 다른 전공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 연령이 높을수록 관료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아지고 역할구성이 HB-HP (관료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고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음)로 역할이 수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아지고 HB-HP (관료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고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음) 역할구성으로 전향됨을 보였다.

(5) 시간효율성을 예언 설명해 주는데 있어서 가장 주된 변수는 지각향성이였으며, 내부지향성을 예언설명해 주는 주된 변수는 자기에 대한 지각이였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각향성이 높을수륵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고 자아실현도가 높다고 하겠다.

둘째, 관료적 역할행동 특성이 낮고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높은 역할구성에 있어 자아실현성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고 보겠다.

셋째,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은 사회화과정의 2단계에서 낮아지고 4단계 및 5단계에서는 비교적 안정을 유지한다고 본다.

사회화과정의 2단계에서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이 낮아지므로 이 시기에 지각향성을 높일 수 있는 보수교육을 통해 전문적 역할행동 특성과 자아실현을 높임으로써 전문직 사회화를 도울 수 있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nurses' socialization process in terms of perceptual orient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lf actual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role behavior characteristics as intervening variables.

Four hundred sixty nine nurse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21 general hospital, dispersed over Seoul, Pusan, Taegu and Kangju areas. Data were gathered from them during the time period from December 1983 to March 1084. The Standardized Perceptual Orientation Test adapted by Choi, C.H. the Self-Actualization Test as modified by Kim, J.E. and Lee, K.J. and the role behavior characteristics test as developed by the author were applied to the nurse participants in clinical setting.

The resultant data were processed for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and Ste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

1) The scores on the Perceptual Orientation Test ranged from 156 to 226 with the average at 200.87,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norm group. Perceptual Orientation could be further differentiated into 3 subscales, i.e. perception toward others, perception toward self and perception toward occupation.

2) Role behavior characteristics could be further differentiated into bureaucratic and professional aspects. The scores on bureaucratic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ranged from 31 to 87 with and average of 55.17.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ranged from 93 to 44 with its average at 68.13. 3) The Self Actualization Test consisted of 10 components. The scores of 6components, i.e., time competent, inner directed, self actualizing values, feeling of reactivity, spontaneity and self-regard were higher than the norm T, i.e.score 50. And the scores of theremainging 3 components, i.e. existentiality, self-

acceptance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were lower than that of norm-T, i.e. score 50.

2. The following hypothesises were affirmed through the statistical finding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perceptual orient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has been substantiated at F=14.671 AND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perceptual orient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components of self-actualization' ; thetime compentent at F=13.822, p<.001 and inner directed at F=17.466 p<.001. were supported.

3) The third hypothesis that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major component of self-actualization, such as inner directed was supported at F=3.599 p<.05.

4) The fourth hypothesis that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is lower in phase 2 of socialization process than in phase 1,' was supported at p<.001 level.

5) The fifth hypothesis that 'lower bureaucratic structure, yet higher professional role configur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actualization,' self-actualizing values in particular, was partially supported at p<.01 level 3. Additional results gained as by-products of the research include :

1) Augmentation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may not necessarily increase one's perceptual orientation.

2) Perception toward self corresponded with one's increase in age bracket at p<.05 level.

3) The perceptual orientation score was higher among pediatric nurses at p<.05 level, and the score of perception toward others was higher among nurses in medical units at p<.01 level.

4) Bureaucratic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correlated more significantly with older nurses at p<.01 level ; and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correlated with higher status group at p<.05 level.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lped to visualize ;

(1) Perceptual orientation, especially perception toward self was the main predictor for time competent.

(2) Perception toward self and phase of socialization precess were the main predictors for inner directed.

To conclude, perceptual orientation is the dominant factor in influencing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and self-actualization, and the low bureaucratic-high professional role configuration is a factor influencing self actu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the professional role behavior characteristic is relatively low in phase 2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2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