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446

Cited 0 times in

공중근무지원자의 혈중 콜레스테롤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Risk factors for the level of serum cholesterol in Korean airman applicants 
Authors
 권영화 
Issue Date
1993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에서는 공중근무자의 혈청 콜레스테롤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기 위하여 1988년 1월 부터 1992년 8월 까지 A 항공사에 지원한 공중근무자를 대상으로 입사신체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의 분포를 파악하고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자의 전체 평균 연혁은 37세이며 총 콜레스테롤 평균치(±표준편차)는 197.6(±39.1)mg/dl, HDL 콜레스테롤 평균치(±표준편차)는 52.2(±12,6)mg/dl, LDL 콜레스테롤 평균치(±표준편차)는 119.0±12.6mg/dl 이었다.

총 콜레스테롤치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수들을 함께 사용한 다변량 분석결과 연령(p=0.0007) 과 공복시 혈당(p=0.0060)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채택되었다. 연령과 공복시 혈당이 증가할수록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는 증가하였다.

LDL 콜레스테롤은 다변량 분석 결과 연령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이었고 연혁이 증가할수록 혈청 LDL 콜레스테롤치는 증가하였다(p=0.0094). 또한 수축기혈압이 증가할수록 혈청 LDL 콜레스테롤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DL 콜레스테롤은 연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BMI가 증가할수록 HDL 콜레스테롤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0).

또한 지방섭취량이 감소할수록(p=0.0505), 음주량이 중가할수록(p=0.0858) 혈청 HDL 콜레스테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의 결과 공중근무 지원자의 혈청 콜레스테롤치는 일반인들 보다는 높아서 콜레스테롤의 관리의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또한 이들의 콜레스테롤치가 공복시 혈당, 수측기혈압, BMI, 지방섭취량 및 음주량과 관련이 있어 콜레스테롤 관리를 통해 이들 관련 요인의 관리의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이 입사하여 정년까지 심맥관계질환으로 인한 갑작스런 조종능력상실의 가능성을 줄이고 경제적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for serum cholesterol level among Korean airman applicants, We obtained risk factors for 614 airman applicants examin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8 thruogh August 1992. The associations between total cholesr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age, BMI, smoking, drinking, fasting blood sugar. blood pressure, flight time and fat intake were analyzed. The mean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197.6±39.1mg/dl, 52.2±12.6mg/dl, 119.0±12.6mg/dl respectively.

Possible risk factors were Age, Weight, BMI , smoking, drinking, fasting blood sugar, blood pressure, flight time, exercise, diet factors(salt, sugar, caffeine, fat intake) and type A personality.

Age and fasting blood suga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while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the remaining factors. The older the individual and the higher fasting blood sugar, the higher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serum LDL-cholesterol while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the remaining factors. A borderline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LDL-cholesterol after multivariate analysis. The older the individual and the higher the systolic blood pressure, ther higher the level of serum LDL-cholesterol.

Only BM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serum HDL cholesterol while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the remaining factors. The higher the BMI, the lower the level of HDL-cholesterol. borderline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fat intake and HDL-cholesterol after multivariate analysis. Also drinking was borderlin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DL-cholesterol after multivariate analysis. Therefore the more the fat intake, the lower of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and the more the alcohol consump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0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