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58

Cited 0 times in

단층촬영을 이용한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과두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tomographic study of the condyle position in temporomanibular disorders 
Authors
 최성연 
Issue Date
1988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악관절 단층 방사선사진상에서의 과두위가 교정 및 교합치료의 병력이 없는 임상적으로 무증상군, 기능장애 환자의 특징적인 근육통군, 내장증군 및 관절증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무증상군 36명, 근육통군 22명, 내장증군 54명 및 관절증군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측방향 방사선사진의 분석에 따른 측방 단층 방사선사진을 좌우측의 외측, 중앙 및 내측 절단면에 따라 교두감합위 상태에서 촬영하고, 이중 선상 측정방법으로 관절공폭을 측정한 후 파두위를 비율로 표시하여 각 측정항목들을 통계처리하고 분석한 후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의 무증상군에서는 동심위가 50.0% 내지 65.4%로 나타났으나, 다양한 과두위가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남녀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없었으며, 좌우측의 평균과두위간에도 유의차이가 없었다.

2. 여자에서 각 진단군의 좌측의 외측 절단면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내장증군과 근육통군간에 있었으며, 각 진단군의 좌측의 중앙 절단면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내장증군과 근육통군간에 있었으며. 각 진단군의 좌측의 내측 절단면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내장증군과 근육통군간에 있었다(P<.05).

3. 근육통군의 과두위는 보다 동심위였으며, 내장증군의 과두위는 보다 후방위였다. 이것은 주증상측에서는 외측, 중앙 및 내측 절단면에서 내장증군과 근육통군간에 유의차이가 있었으며, 주증상 반대측에서는 중앙 절단면에서만 내장증군과 근육통간에 유의차이가

있었다(P<.05). 관절증의 과두위는 후방위, 동심위 및 전방위 전체에 걸쳐 보다 넓게 분포하였다.

4. 증상군의 주증상 반대측에서는 각 증상군의 중앙 절단면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내장증군과 근육통군간에 있었다(P<.05). 내장증군의 과두위는 보다 후방위였다. 편측성 증상이 있는 환자의 주증상 반대측에서는 과두위의 분포가 각 증상군의 주증상측과 유

사하였으며, 이것은 주증상측과 그 반대측간에 유의차이가 없었다.

5. 내장증의 세가지 아군에서는 Non-reciprocal clicking군과 Locking군보다 Reducible disc displacement군이 더욱 후방위였으나, 이것은 유의차이가 없었다.

6. 16세에서 25세 사이의 연령군에서는 각 증상군의 주증상측의 내측 절단면의 평균과두위간에 유의차이가 근육통군과 내장증군간에 있었으며(P<.05), 이것을 제외하고는 증상군간에 그리고 연령군간에 유의차이가 없었다.

[영문]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M.J. tomographic examination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dyle positions among asymptomatic, myalgia, derangement, and arthrosis groups of T.M.J. disorders.

The author obtained sagittal linear tomograms of right and left T.M.Js. of 36 asymptomatic, 22 myalgia, 54 derangement, and 31 arthrosis patients taken at serial lateral, central, and medial sections in the intercuspal position after submentovertex radiographs analyzed.

With the dual linear measurements of the posterior rind anterior interarticular space, condyle positions were mathematically expressed as proportion.

All data from these analysis was recorded and process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are obtained as follows.

1. In asymptomatic group, radiographically concentric condyle position was found in 50.0% to 65.4% of subjects, with a substantial range of variabi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men and women and also between right and

left T.M.Js, for condyle position.

2. In women, significant difference for mean condyle position of left lateral section of each diagnostic category existed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P<.05). Also that of left central section existed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 and that of left medial section existed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P<.05).

3. In main-symptom side, condyle position in myalgia group was more concentric, and condyle position in derangement group was more posterior. Th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 in lateral, central, and medial sections of main-symptom sides, and only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 in central section of contra-lateral sides(P<.05). Condyle position in arthrosis group was broadly distributed among all positions.

4. In contra-lateral side, significant difference for mean condyle position of central section of each symptomatic group existed between derangement and myalgia groups(P<.05).

Condyle position in derangement group was more posterior. The distribution of the condyle position of contra-lateral sid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ymptoms was similar to that of main-symptom side in each symptomatic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main-symptom and centra-lateral sides.

5. For internal derangement subgroups, condyle position in reducible disc displacement group was more posterior than non-reciprocal and locking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6. From 16 to 25 years, significant difference for mean condyle position of medial section of main-symptom side of each symptomatic group existed between myalgia and derangement groups(P<.05).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9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