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668

Cited 0 times in

소아 항문 질환에 있어 항문 내초음파의 효용성

Other Titles
 (The) efficacy of the anal endosonography in children 
Authors
 박경남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항문 기능의 평가법으로 배변조영술, 항문압 계측술, 항문 괄약근 근전도, 음부신경 전

도검사, 항문 내초음파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중 항문 내초음파는 최

근에 임상에 응용된 방법으로 비침습적이며, 손쉽게 시행하여 형태학적인 검사를 할 수

있어 성인에서 점차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소아의 경우 아직까지 보편적 진단 방법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6

개월부터 15세 사이의 소아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환자군으로 나누어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 대조군은 항문질환의 기왕력이나 임상 증상이 없는 기타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

자로 마취 후 수술 시작 직전 항문 내초음파를 시행하였고, 환자군인 경우 별도의 전처치

나 마취 없이 외래에서 시행하였다. 대조군 30예, 환자군 23예로 환자군의 경우 항문직장

기형 12예, 선천성 거대결장증 5예, 치루 2예, 치열, 만성변비 및 항문주위농양이 각각 1

예, 항문 열상1예였다. 대조군의 경우 형태학적으로 항문 내괄약근은 항문관을 중심으로

초음파 에코가 낮은 동심원형으로 항문관 상부, 중부, 하부에서 모두 비슷한 형태로 관찰

되었다. 항문 외괄약근은 항문 내괄약근 외측에 위치하며 혼합된 에코를 나타냈고, 외측

경계는 다소 불명확하였으며, 상부에서는 회음체를 중심으로 U자 형으로 나타났고, 하부

로 갈수륵 동심원형으로 변화하였다. 남아의 경우 항문관 전방부 회음채와 연결되는 외괄

약근의 융합과 후방 중앙부로 항문미골인대가 관찰되었고, 여아의 경우에는 전방부 회음

체 앞쪽에 질이 관찰되며 회음체가 비교적 항문관 하부에까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군에서 형태학적인 변화는 항문 내, 외활약근의 결손이 12예(52.1%), 항문 내괄약근

의 두께나 형태가 불규칙적인 모양이 11예(47.8%)였다. 대조군의 경우 연령에 따라 4군으

로 나누었을 때 내괄약근의 두께는 제1군(6-18개월) 0.88-2.40mm, 제2군(19-36개월) 0.88

-3.20mm, 제3군(37-54개월) 1.10-2.20mm, 제4군(55개월-15세) 1.21-2.42mm였으며, 각 군

별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증가에 따라 우측 상부(p=0.008)와 좌측

중부p=-0.015)에서 두께가 의의 있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항문 내초음파는 외래에서 별도의 투약이나 전처치 없이 손쉽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었으며, 정상 소아에서 항문관의 형태학적 특징 및 내괄약근의 두께를 측정

하여 항문 직장 질환이나 배변 장애가 있는 환아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데 기준 지표를

마련할 수 있었다. 환자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문 내, 외괄약근의 손상이나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문 내초음파는 소아에서 항문 질환의 형태학적 이상

유무를 관찰하는데 효과적인 검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86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5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