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84

Cited 0 times in

일차성 당뇨의 분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classification of primary diabetes mellitus 
Authors
 임승길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근자에 밝혀진 당뇨병의 원인과 병인에 관한 많은 지식은 당뇨병의 분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했으며, 실제로 분류를 함에 있어선 임상적 진단기준에만 의존하여 오류를 범하거나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최근 방사면역측정법의 개발과 더불어 Rubenstein (1972), Kuzuya (1977)등 여러 학자들이 잔여 B 세포의 분비능의 지표로써 혈청 C-petide 농도 측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제 저자는 1984년 2월부터 8월사이에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일차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11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진단기준과 포도당부하에 따른 C-peptide 또는 insulin의 최고치를 측정하여 당뇨병의 분류를 시도하고 동시에 C-peptid 농도와

이환기간 및 만성합병증과의 상관성, 일차성 당뇨병의 분포, 각 형의 포도당부하에 따른 혈당의 변화와 C-peptide 및 insulin 반응 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 환자 115예중 99예에서 임상분류와 C-peptide 혹은 indulin 최고치에 의한 분류가 일치했다.

2. 임상적으로 분류가 어려웠던 10예의 당뇨병환자에서 C-peptide 혹은 insulin 최고치에 의해 분류가 가능하였다.

3. 6예의 당뇨병환자에서 임상분류와 C-peptide 또는 insulin 최고치에 따른 분류사이에 불일치가 있었다.

4. 분류의 불일치를 보인 환자군에 이환기간 및 합병증 여부를 고려함으로써 최종 분류하였던 바, 일차성 당뇨병환자의 분포는 인슐린의존형이 14%, 인슐린 비 의존형이 83% (비 비만형 환자군 39%, 비만형 환자군 44%), 분류 불가능한 당뇨병환자군이 3%로서, 비 비만형 당뇨병환자군이 외국의 통계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5. 포도당부하에 따른 C-peptide 및 insulin의 분비는 인슐린 비 의존형 당뇨병환자군에서 자연반응을 보였고, 이환기간이 10년이상인 환자군과 만성합병증으로 신증을 겸한 환자들에서 기저치의 차이는 없었지만 자극에 대한 최고치가 감소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q아 일차성 당뇨의 분류는 임상적 진단기준에 의한 분류에 병행하여 포도당부하에 따른 혈청 C-peptide 및 insulin 반응에 따라서 분류하여야 하며, C-peptide 및 insulin의 농도를 평가함에 있어선 이환기간과 합병증 여부를 고려하여야 하겠다. 한

편 더 명확한 분류를 위해서는 HLA system과 도세포항체의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During the last decade, the growth of knowledge regarding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diabetes mellitus has led many physician to express the need for a revision of the classification, diagnostic criteria of diabetes mellitus and

seeking an international consensus if possible.

But in paracice, it is generally the clinical feature of the initial presensation that determines the type of diabetes mellitus in a given patient. Therefore, the decision is not necessarily reliable.

Auther tried subdivision of primary diabetes mellitus according to clinical criteria and C-peptide or insulin assay by oral glucose loading in 115 overt primary diabet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from February, 1984 to August, 1984. We observed the effect of duration and complications on

endogenous insulin secretion, distribution of primary diabetes mellitus and change of endogenous insulin secretion of each type after oral glucose challeng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en subjects who were not classified by only clinical criteria were classified by C-peptide or insulin assay.

2. There was dicrepancy between the classification by clinical criteria and C-peptide or insulin assay.

3.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were 14% in IDDM, 39% in IIa NIDDM, 44% in IIa NIDDM and 3% in undetermined group.

4. The C-peptide or insulin response after glucose challenge in NIDDM was delayed. Peaked serum C-peptide or insulin response was decreased in patients who had been being suffered from diabetes mellitus over 10 years or who have triopathy, although fasting C-peptide or insulin levels were not changed.

From the above results, more reliable classification might be done by combination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eaked serum C-peptide or insulin levels after oral glucose loading.

In evaluation of endogenous insulin level, duration of illness and complication should be considered.

HLA system and islet cell antibody test will be required for further stud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0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im, Sung Kil(임승길)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7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