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612

Cited 0 times in

무수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에 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evaluation of splanchnic nerve block with absolute ethanol 
Authors
 이효근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상복부 암성통증에 대해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이 유효함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국소마취제에 의한 시험차단후 주입 알코올 농도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상복부 암성통증 제거를 목적으로 1997년 9월부터 1991년 4월까지 1% lidocaine 주입으로 차단효과 확인후 약 20분후에 무수 알코올을 주입하여 내장신경차단을 시행받은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질환별 분포, 통증부위, 차단전 항암치료상황, 차단 전 및 후의 진통제 투약상황, 1회 및 반복차단시 제통효과, 차단간 기간, 합병증, 내장신경차단 전 및 후에 시행한 병용치료요법의 종류 및 차단후 퇴원까지의 기간 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을 받은 환자의 남녀비는 2 : 1 이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45.5%로 가장 많았다.

2) 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 차단을 시행받은 환자의 질환별 분포는 위암(39.4%), 췌장암(27.3%) 및 간암(15.2%)의 순이었다.

3) 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전 대상환자의 통증부위는 상복부(67.O%). 명치부(24.7%) 및 복부전체(9.1%)의 순이었다.

4) 무수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전 항암치료 상황은 외과적 수술과 화타요법을 병행한 예 및 화타요법을 단독으로 시행한 예가 각각 24.2%로 가장 많았고, 외과적 수술만 시행한 예가 9.1%,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예 및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예가 각각 3.O%였다.

5) 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을 시행받은 환자의 1회차단후 제통효과는 84.8%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2주 이내에 통증이 재발한 예에서 시행한 2회 및 3회 반복차단시 제통효과는 각각 80.7%및 lOO%였다.

6) 1회 차단전 아편계 진통제를 투약받은 예는 11예(33.3%)였으며, 이중 3예(6.1%)에서 차단후 아편계 진통제를 투약 받았다. 2회 반복차단한 7예중 차단전 4예(57.1%) 그리고 차단후 3예(42.9%)에서 아편계 진통제를 투여 받았다.

7) 2회 반복차단시 차단간 간격은 2주 이내가 5예(71.4%)로 가장 많았으며, 3개월 및 6개월이 각각 1예(14.3%) 있었다.

8) 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시 발현된 합병증은 저혈압이 11예(33.3%), 알코올 주입시의 통증이 5예(15.2%), 안면홍조 및 주사부위통증이 각각 3예(9.1%), 구역과 구토 및 호흡곤란이 각각 2예(6.1%) 그리고 흉부불편감 및 설사가 각각 1예(3.O%)가 있었다.

9) 무수 알코올에 의한 내장신경차단전 시행한 보조 치료요법으로는 지속적경막외차단이 90.9%로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1% lidocaine에 의한 시험차단 약 20분후 무수 알코올을 양측에 각각 12m1씩 주입하여 시행한 내장신경차단시 1회차단후 재통효과는 84.8%로서 만족스런 결과였으나, 재차단율이 15.2%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으나 아마도 적은 용량의 알코올로 인해 알코올의 퍼짐이 불충분하여 내장신경을 충분히 차단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예에서 알코올의 주입용량을 늘려서 그 제

통효과를 추구해야 될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planchnic nerve block is effective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intractable upper abdominal pain.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effect of the splanchnic nerve block depends on varied alcoholic concentration.

In thin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use absolute ethanol on patients who recieved a splanchnic nerve block at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990 to April 1991.

The results are as for follows:

1) Among the 33 patients, including 22 males and 11 females, the fifties and sixties were the major age groups.

2) Stomach cancer was the most common underlying disease(13 cased), with pancreatic cancer next(9 cases).

3) The main locations of pain were the upper abdomen, epigastrium, and etire abdomen in decreasing order.

4) There were 17 cases who had had chemotherapy, and 11 cases of whom had had surgery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5) The volume of alcohol used was 12m1 hi laterally.

6) Among the 33 patients, 15.2% required a second block within two weeks of the first block. One case required a third block.

7)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splanchnic nerve block were

hypotension(33.3%), occasional transient sharp burning pain, flushing of face, pain on injection site, nausea, vomiting, dyepnea, chest discomfort and diarrhea.

8) The supplemental block most commonly used was a continuous epidural block. It was used both as a diagnostic block and to afford relief from pain before the splanchnic nerve block was drone.

9) The interval between the receiving the absolute ethanol block and discharge was within 2 weeks in 15 cases. But, in the patients with poor genera1 heal th, the interval between the splanchnic nerve block and discharge was prolonge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bilateral splanchnic nerve block done with absolute ethanol block after an effective test block with 1% lidocaine under C-arm fluroscopic control is satisfactory and reliable. Still, 26.6% of the patients received a repeat block within 2 weeks. Insufficient spread of alcohol due to its

small volume seems to be a major factor In the repeat block. Minimizing the incidence of repeat block remains a problem to be soly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0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7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