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590

Cited 0 times in

Real-time 초음파 촬영을 이용한 태아 체중의 예측

Other Titles
 Estimation of fetal weight by real-time ultasound 
Authors
 이중빈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태아 체중은 출생시 신생아의 성숙 상태의 중요한 예측인자이며 이 예측은 산과적 처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특히 조산아, 저체중아, 둔위, 아두골반불균형에서 정상분만을 시도할 때, 모체의 당뇨병, 쌍태임신, 거다애 등 고위험율 임신일 경우에 태아 및 신생아의 이환율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양수천자 및 호르몬검사등을 이용하여 태아의 성숙도 및 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 임상적으로 이용하기에 제한이 있다. (Sabbagha등, 1974) 1960년대 중반부터 산과 영역에 도입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초음파 촬영을 이용하여 태아의 구조를 직접 확인하면서 태아 체중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Sabbagha등, 1974)

이에 저자는 real-time 초음파 촬영을 이용하여 아두대횡경, 태아 복위 및 태아 대퇴골길이 등을 재어 태아 체중을 정확히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74명의 태아를 대상으로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

다.

1. 아두대횡경과 태아 복위를 이용하여 산출된 공식은 다음과 같다.

log Bwt = (19.98 × AC ×BPD-0.8004×AC**2 ×BPD + 0.1180 × AC**3 +1801) ÷ 1000

2. 다른 저자들에 의한 공식을 측정인자와 그에 따른 상관계수를 비교한 결과 아두대횡경이나 복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아두대횡경과 복위를 함께 사용한 경우 상관계수가 높았다.

3. 다른 저자들에 의한 공식과 비교하여 본 결과 Warsof등 (1977)나 Shepard 등 (1982)의 공식에 비하여 상관계수는 0.954로 높았고 각 체중군으로 나누었을 때도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4. 실제체중과 예측체중 사이의 절대차의 평균을 구한 결과 Warsof는 271.4 gm, Shepard는 198.6 gm인데 비해 저자의 공식은 173.6 gm으로 적었다.

5. 과소측정과 과대측정 여부를 조사한 결과 Warsof는 과소측정 85%, 과대측정 15%, Shepard는 과소측정 65%, 과대측정 35%인데 비해 저자의 공식은 과소측정 51%, 과대측정 49%였다.

6. 각 체중군에서 4%이내, 5-9%이내, 10-14%이내, 15%이상으로 예측되는 율을 조사한 결과 저자의 공식으로 실제 체중의 10% 이내로 예측하는 율은 86.2%로써 Warsof, Shepard의 공식에 비해 높았다.

7. 아두대횡경과 복위를 이용한 공식의 상관계수는 0.954, 아두대횡경, 복위, 대퇴골길이를 이용한 공식의 상관계수도 0.954로 대퇴골길이라는 인자를 첨가시켜도 통계학적으로 별 의의있는 증가를 보이지 았았다.

[영문]

Birth weight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neonatal outcome and helps to determine obstetric management, especially in high risk pregnancy. The need for a quick & easy method for estimating fetal weight in utero has been clearly established, while estimates by abdominal palpation and fetal hormone production have proved to be of limited value.

The ultrasonic measurement of fetal structure allows a reasonable precision in fetal weight prediction.

Biparietal diameter and abdominal circumference were measured by real-time ultrasound in 74 infants within 72 hours of delivery and the equation of estimating fetal weight was made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echnique was described and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equations was done for mean weight

differenc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alance of estimating fetal weight in 3 weight groups.

1. Logarithmic birth weight well correlates with biparietal diameter and abdominal circumference, and the equation was as follows.

log Bwt = (19.98 × AC × BPD - 0.8004 ×AC ×BPD + 0.1180 ×AC + 1801)/1000

Bwt : estimated birth weight

AC : fetal abdominal circumference

BPD : fetal biparietal diameter

2. The correlation was improved using 2 dimensions (AC, BPD) than only one parameter.

3. High degree of correlation (R=0.954) was found between actual and calculated birth weight.

4. The mean absolute weight difference was 173.6 gm while suing Warsof's equation, it was 271.4 gm and Shepard's 198.6 gm.

Dividing the birth weight to 3 weight groups, the estimates were more accurate in low birth weight group.

5. 51% of measurements were underestimated.

6. 86.2% of the measurements fall within 10% of actual birth weight.

7. No significant increase i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3 dimensions (AC, BPD, FL) than 2 dimensions (AC, BPD). Therefore the equation with AC and BPD provides us better correlation between actual and estimated birth weight, better balance between the distribution of under and overestimation and significant

accuracy in estimating Korean fetal weigh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70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6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