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773

Cited 0 times in

Bayley 발달검사를 이용한 고위험 저출생체중아의 발달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of high risk low birth weight infants using bayley developmental test 
Authors
 이일섭 
Issue Date
199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서구에서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이 개설된후 집중치료로 생존한 환아의 수가 증가되자 생존한 환아들의 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예후가 불량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신생아들을 위한 추적진료소가 설립되어 지속적인 추적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들 환아들을 위한 추적진료소 설립이 아직 미비하고, 추적관리시 환아의 발달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발달검사에 관한 연구도 빈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은 환아중 고위험 신생아로 분류되어 추적관리를 필요로 하였던 고위험 저출생체중아 42명을 대상으로, 환아의 교정연령 9개월에 서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Bayley 발달 검사를 이용하여 지능발달 및 운동발달지수를 검사 하였으며, 발달이상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여러 주산기 위험요인과 Bayley 발달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인 고위험 저출생체중아 42명에서 Bayley 지능발달 및 운동발달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99.4 ± 12.8과 101.8 ± 16.6으로 운동발달지수가 지능발달지수보다 높았다. 출생체중 1000gm 이상 1500gm 미만 환아군에서의 지능발달 및 운동발달지수는 95.3

± 9.8과 99.3 초 14.3이고, 출생체중 1500gm 이상 2500gm 미만 환아군에서는 102.2 ± 14.3과 103.5 ± 17.9로 출생체중이 큰 환아군에서 지능발달 및 운동발달지수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발달이상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주산기 위험요인들과 Bayley 발달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뇌초음파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군과 APGAR점수가 낮았던 군 및 부당경량아군에서 지능발달 및 운동발달지수가 낮았으며, 이중 부당경량아군에서의 지능발달지수는

상당체중아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낮았다. 그러나 보조환기요법의 시행여부 및 신생아 경련의 유무와 Bayley 발달지수와의 관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측정한 체중, 신장 및 두위를 한국 소아발육표준치와 비교하였다. 대상 환아 모두에서 체중, 신장 및 두위의 백분위 평균 및 표준편차는 45.0 ± 29.6, 40.2 ± 25.7과 46.2 ± 26.8 이었고, 출생체중 1000gm 이상 1500gm 미만 환아군에서는 44.6 ± 30.7, 43.5 ± 25.3, 42.9 ± 29.6이었으며, 출생체중 1500gm 이상 2500gm 미만 환아군에서는 43.6 ± 29.6, 36.4 ± 25.7, 46.9 ± 25.4 이었다.



[영문]Forty two high risk low birth weight infants who had been admitt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t from August 1989 to July 1990 and followed up in the high risk infant follow-up clinic were studied for evaluation of their development using the Bayley developmental test at the age of 9 month (corrected ag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ir Mental Developmental Index (MDI) and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DI) were 99.4 ± 12.8 and 101.8 ± 16.6. MDI and PDI in birth weight 1000-1500 gm group were 95.3 ± 9.8 and 99.3 ± 14.3, and the indexes in birth weight 1500-2500

gm group were 102.2 ± 14.3 and 103.5 ± 17.9.

2.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 of Bayley scales and birth weight, cranial ultrasonographic finding, APGAR score, ventilator

care and neonatal seizure. However, the MDI was significantly lower in small for gestational age group than appropriate gestational age group.

3. The body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measured at the age of 9 month, at the some time when Bayley developmental test was performed, were 45.0 ± 29.6, 40.2 ± 25.7 and 46.2 ± 26.8 percentile of Korean Pediatric Growth Standard (1985).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17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6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