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402

Cited 0 times in

움직임의 변화와 시간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일개 대학교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movement and time percep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움직임과 시간지각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상현장에서 움직임의 변화로 인한 간호대상자의 시간지각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알맞는 간호계획을 수립하는데 이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개인적 템포와 시간지각과의 관계를 밝히고, 개인적 템포로 걸을때의 시간지각과 누워있을때의 시간지각의 변화를 밝히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Newman의 건강에 대한 개념틀을 이론적 배경으로 선택하였고 연구의 대상자로는 본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J대학교 학생을 모집단으

로 하여 1개학과를 연구자가 선택하여 선정기준에 맞는 95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6년 11월 3일부터 11월 16일 까지 총 14일간 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측정변수인 개인적 템포, 개인적 템포로 걸을때의 지각된 시간,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의 신뢰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령과 종교적 특성, 자료수집시간과 측정변수간의 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 "개인적 템포의 수가 많을수록 지각된 시간은 짧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1773, p=.043).

제2가설 : "개인적 템포로 걸을때의 지각된 시간은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보다 짧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5.28, p=.000).

대상자의 연령은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과 유의한 부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종교와 개인적 템포와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에서 종교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가 기타이거나 기독교인 대상자의 개인적 템포가 빠른 경향이 있으며, 천주교이거나 불교인 대상자의 개인적 템포는 느린 경향이 있었다.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은 종교가 불교인 대상자에게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기독교인 대상자에게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자료수집시간과 개인적 템포, 개인적 템포로 걸을때의 지각된 시간, 누워있을때와 지각된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인적 템포와 지각된 시간사이에 낮은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개인적 템포로 걸을때의 지각된 시간은 누워있을때의 지각된 시간보다 더욱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움직임은 시간경험과 관련된다는 Newman의 이론적 명제

를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움직임의 변화와 시간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함으로서 간호실무에 기여하며, 미래의 간호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간호연구에 기여하고, Newman의 명제를 한국의 상황에서 검증함으로서 간호지식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is di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aken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r walking tempo and time perception an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ime perception when confined to bed and time perception when walking at regular personal tempo.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Newman's conceptual flamwork of health that interrelated concepts of movement 1 time, spaced and consciousness and provides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man's and his health.

Movement and time are the concepts chosen for this study in order to test propositions derived from Newman's health model.

The sampling method was non-probability,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95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drawn from population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 3 to Nov. 16, 1986.

Data was analy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at the computer center in JeonBug National Universit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stating that personal walking tempo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ime perception, was supported.(r=-.1773, p=.043)

Hypothesis 2, stating that time perception when confined to bed will be greater than time perception when walking at regular personal tempo, was also supported. (t=5.28, p=.000)

In conclusio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empo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 perception when confined to bed and time perception when walking at regular personal tempo found in this study support Newman's proposition that time is a funtion of movement.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1) to nursing practice by providing better under 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 of movement and time perception, 2) to nursing research by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further

nursing research, and 3) to nursing knowlege by providing Newman's proposition testing results in the korean popul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50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6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