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11

Cited 0 times in

자궁경부암 병기에 따른 혈중 면역복합체치의 변화

Other Titles
 Serum levels of circulating immune complexes in patients with cancer of uterine cervix 
Authors
 이윤태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혈중에 여러 성분의 면역 복합체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측정방법이 보고되면서, 악성 흑색종, 대장암, 골옥종, 식도암, 신경아세포종. 호지킨병, 백혈병등 여러 종류의 암에서 혈중 면역 복합체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암환자 체액내 면역 복합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solid phase Clq enzyme assay 법을 이용하여 치료전 자궁경부 상피내암 및 침윤암 자와 정상인의 혈중 면역복합체치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는데 있다.

1989년 5월부터 1590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병리조직 검사결과 자궁경부 상피내암 및 침윤암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55예와 급성 및 만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여성 23예를 대상으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정상대조군과 치료전 자궁 경부 상피내암 및 침윤암 환자의 혈중 면역복합체 평균치는 정상 대조군이 2.96±1.21 ㎍/ml, 제 0기암군이 3.20㎍/2.14 ㎍/ml,제 1기암군이 3.35±2.28 ㎍/ml, 제 Ⅱ기암군이 3.10±1.65 ㎍/ml로서 정상대조군과 자궁 경부암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병기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침윤성 자궁 경부암 환자군에서 조직학적 세포 형태에 따른 혈중 면역복합체 평균치는 편평상피세포군에서 3.18±2.20 ㎍/ml,선암군에서 3.20±0.29 ㎍/ml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solid phase Clq enzyme assay 법을 통해 측정한 혈중 면역복합체는, 자궁 경부암환자의 병기나 조직학적 세포형태를 예측할 수 있는 nonspecific tumor marker로서 유용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암세포는 체내에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유발한다. 그 결과 항체형성과 계속되는 항원의 생산은 혈중 면역복합체 (circulating immune complexes)를 형성하며, 이 면역 복합체의 기능은 첫째, 항원의 은폐 혹은 차단, 항원과 B 림프구 Fc 수용체 모두에 작용

(Ag specific suppression), B 림프구 Fc 수용체와 직접작용(Non Ag specific suppression), B 림프구로부터 억제 인자 배출, 억제 T 림프구의 활성화,T 림프구 항원수용체 차단, T 림프구과 B 림프구의 상호작용 억제등을 통해 체액성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둘째,

B 림프구의 DNA 합성촉진, 임파절에서 항원의 집적 촉진, 항원과 그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가진 세포와의 결합촉진, 대식세포에 대한 항원 인지능력의 증대, 보조 T 림프구의 자극, Fc와 C3 수용체를 매개로한 세포 결합의 촉진등을 통해 체액성 면역반응을 향상시키며. 셋째로는 항체의존성 세포 매개성 세포독성작용(antibody 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ADCC)의 억제 흑은 증강, 세포 매개성 림프구 작용의 억제, 지연형 과민반응의 억제 등을 통해 세포성 면역반응에도 영향을 준다는 등의 가설이 제기되었다(Theofilopoulos 및 Dixon 1979, Theofilopoulos 및 Dixon 1980, Williams 1981). 특히 Baldwin 및 Robins(1976)은 암세포에서 유래한 항원이 체액내 항체와 결합하여 혈중 면역 복합체를 형성하면, 결국 암세포 표면항원과 결합하는 항체가 줄게되어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성 세포독성작용를 통한 암세포 제거작용을 억제하는 억제인자로 작용한다고 가정하였다. 암

환자에서 이상의 가설을 입증한 구체적 증거는 없으나 암환자의 혈중 면역복합체에 대한 연구의 기본 근거가 되고 있다.

최근 암환자 체액내의 면역복합체에 대한 연구는, 혈중에 IgG, IgM. Clq등 여러 성분의 면역복합체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측정방법이 보고되면서(Hay등 1976, Lambert등 1978, Report of an lUIS/WHO working group1981,James등 1983) 여러종류의 암에서 시행

되었다. 즉 악성 흑7종, 대장암, 골옥종, 식도암, 신경아세포종, 호지킨병, 백혈병 등에서 면역복합체의혈중치를 측정하여 각각의 경우 예후, 치료효과의 판정, 재발여부의 예측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Theofilopoulos등 1977, Ritzman 및 Baniels 19

82). 그러나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는 않으며, 특히 암의 발생, 진행에 있어 면역학적 상관성에 관한 명백한 증거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solid phase Clq enzyme assay 법을 이용하여 치료전 자궁경부 상피내암 및 침윤암 환자와 정상인의 혈중면역 복합체치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임상적 의의 즉 질병의 진행정도와의 상관성 여부를 평가하는데 있다.



[영문]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methods of evaluating the several kind of circulating immune complexes in the serum of cancer patients. The evaluation of the CIC have been conducted in Patients with malignant melanoma, colon cancer, neuroblastoma, Hodgkins'disease and leukemia. But the role of CIC in cancer

patients has not known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IC bevels of patients wi 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invasive cervical cancer by solid phase Clq enzyme assay technique, and to evaluate its relation with cancer stage. From September 1989 to January 1990, 85untreated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pathologically as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23 healthy women without acute or chronic illness were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mere obtained, The mean values of CIC levels were 2.96±l.21 μg/ml in control group, 3.20±2.14 μg/ml in stage 0 group, 3.38±2.28 μg/ml in stage I group, 3.10±1.65 μg/ml in stage Ⅱ group. There w7a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cervical cancer group and neither between each stage. The mean values of CIC leve1 9 according to the different pathological cert 1types were 3.18±2.20 μg/ml for squamous cell carcinoma, 3.20±0.29μg/ml for adenocarcinom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group. It can therefore be

concluded that circulating immune complexes measured by sol id phase Clq enayme assay technique do n7t provide any useful information as a nonspecific tumor marker in predicting the stage of cervical cancer or the histopathological typ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5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