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82

Cited 0 times in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 질환군에서의 혈청 IgE 측정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erum IgE levels in the healthy subjects and the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 in Koreans 
Authors
 이석제 
Issue Date
198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혈청 IgE측정치가 알레르기 질환, 특히 즉시형 과민반응을 보이는 질환에서 의의있게 상승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혈청 IgE측정치는 성별, 연령, 인종, 지역, 흡연여부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특정지역에서 혈청 IgE치를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이용하려면 먼저 그 지역의 인구집단에 대한 혈청 IgE치의 기준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집단에 대한 혈청 IgE는 1981년 康등에 의하여 일부 보고된 사실이 있을 뿐 한국인의 정상 혈청설정하기에는 아직 요원한 형편이다.

저자는 1979년 5월부터 1981년 4월까지 연세의대 내과 알레르기 진료실에 내원한 사람들 중에서 정상대조군과 각 질환군으로 분류하여 혈청 IgE치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대조군에서 혈청 IgE値는 평균 74±63IU/㎖이였으며, 연령별로는 20세이하에서 80±52IU/㎖, 21 ∼ 30세가 84±69IU/㎖, 31 ∼ 40세가 71±59IU/㎖, 41 ∼ 50세가 89±81IU/㎖, 50세 이상에서 46±4lIU/㎖로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50세

이상에서 비교적 낮은 측정치를 보였고 성별로는 남자가 82±66 IU/㎖, 여자가 70±62IU/㎖로 남자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Fig. 1 ,Table 2 )

2) 기관지 천식군에서 정상대조군과의 혈청 IgE値 비교는 160lU/㎖를 기준으로 하였을때 (정상대조군의 mean + 2SD가 200lU/㎖이나 계급분류 편의상 160IU/㎖를 기준으로 하였음) 160IU/㎖이하가 정상대조군에서 90.67%, 기관지 천식군에서 18.98%였으며, 160IU/㎖이상은 정상대조군에서 9.33%, 기관지 천식군에서 81.02%로 정상대조군과 기관지 천식군간에 상당히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0.O1 ; Fig. 3). 또한 기관지 천식의 발병연령에

따른 비교는 30세를 기준으로 하였을때 30세 이전 발병군과 30세 이후 발병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P>0.05, Fig.3).

기관지 천식군에서 알레르기피부 반응 검사를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p>0.05; Fig.4)

3)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정상대조군과 혈청 IgE値를 비교하였을때 160IU/㎖이하가 정상에서 9*0/67%,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24.76%였고, 160IU/㎖이상이 정상에서 9.33%,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75.24%로 정상대조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 간에 상당히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P<0.01;Fig.6)

알레르기성 비염의 초발 연령을 30세를 기준으로하여 30세 이전 발병군과 30세 이후 발병군간의 혈청 IgE値를 비교하였을 때, 160IU/㎖이상이 30세 이후 발병군에서 73%, 30세이후 발병군에서군에서 52%로 양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

05; Fig,.7).

알레르기 피부 반응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Fig.8 ).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혈청 IgE値와 말초혈 총 호산구수와의 관계를 보면 두 측정치간에 상관 관계는 없는것으로 보인다( Fig 9)

4) 정상대조군과 만성 담마진군에서 혈청 IgE値를 비교하면, 160IU/㎖이하가 정상대조군에서 90.67%, 만상 담마진군에서 30.00%,160IU/㎖이상은 정상대조군에서 9.33%, 만성 담마진군에서 70.00%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P<0.01 : Fig. 10).

만성 담마진 환자중 피부문화증 ( dermographism )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혈청 IgE値를 비교하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05 : Eig.11).

만성 담마진군에서 혈청 IgE値와 말초혈 총 호산구수와의 관계는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Fig.12).

5) 정상대조군과 만성 해소군에서 혈청 IgE値를 비교하였는데 160IU/㎖아하가 정상대조군에서 90.67%, 만성 해소군에서 25.67%였고, 160IU/㎖이상이 정상대조군에소 9.33%, 만성 핵소군에서 74.33%로서 두 군간에 상당히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Fig.13)



[영문]

Estimate of serum IgE levels have become a part of the siagonostic assessment of the patient with established or wuwpected allergic disease. The interpretation of such estimates must, however, depend on the availability of standard of normalcy

for given population and serum IgE levels, because of difference of serum IgE levels with age, sex, race, community, smoking and secretor status of ABH-substances.

High levels of serum IgE associated with certain allergic conditions such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nd chronic urticaria but also some parasite infestation, interstitial nephritis, syphlis, durg allergy,

Wiskott-Aldrich syndrome, viral infrction, chronic infrction, infectious monouncleosis, crytogenic eosinophilia and some malignancy.

Serum IgE was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technique (PRIST) in 75 healthy Koreans and 308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s(79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105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50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 and 74 patients with chronic cough).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Mean serum IgE value of 75 healthy Koerans was 74 ± 63 IU/ml. The difference of the mean serum IgE values among each age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2) Serum IgE values were elevated more thas 160 IU/ml in 81.0% of bronchial asthma, 75.2% of allergic rhinitis, 70.0% of chronic urticaria and 74.% of chronic cough.

3) There was no sigificant difference of serum IgE values between eaely and later age group of onset of bronchial asthma but allergic rhinitis showed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onset of disease.

4)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erum IgE valu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allergic skin test group with bronchial asthma nor allergic rhinitis was found.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erum IgE valu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dermographism group with chronic urticaria.

6)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and serum IgE values was foun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0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4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