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45

Cited 0 times in

폐활량을 이용한 Halothane 마취유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Inhalation induction of halothane using a vital capacity breath 
Authors
 민경태 
Department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Issue Date
198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전신마취유도의 가장 보편화된 방법인 초단시간 작용성(ultra-short-acting) barbiturates의 정맥마취법은 기침, 후두경련 혹은 호흡억제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기관지천식의 소인을 지닌 환자나 급성 간헐적 porphyria환자에게는 발작이나 중상악화의 위험이 있다. 또한 국소적 부작용으로 정맥염이나 조직괴사등도 염려 해야한다.

이런 부작용이 우려되는 경우 흡입마취제만을 흡입시켜 마취유도를 시도할 수 있는데, 고식적인 흡입마취유도법은 성인에서는 마취유도시간이 길고, 기침이나 흥분상태 또는 위내용물의 폐흡인등의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어 임상적용이 용이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고농도의 haLothane을 아산화질소 66%와 함께 Bain circuit에 5L호흡낭을 부착하여 1회 폐활량 흡입후 흡기말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마취유도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검정하고, 이 방법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전신마취가 요구되는 건강한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30명씩 thiopenta고 정맥마취유도군 (대조군)과 4% - halothane 1회 폐활량 흡입마취유도군(실험군)으로 나누어 마취유도시 심혈관계변화를 관찰하고 실험군에서는 무호홉기간, 마취유도시간, 실패율, 부작용 및 각성후 환자의 주관적 평가 등을 별도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군의 환자분포는 대조군은 남녀 각각연령 및 체중은 각각 14 및 16명으로, 평균 연령 및 체중은 38.7±11.5세 및 59.7±8.0㎏ 였으며 ,실험군은 남녀 각각 17 및 13명으로 평균 연령 및 체중은 각각 28.9±13.7세 및 57.4±8.1kg였다.

2. 실험군의 무호흡기간과 마취유도시간은 각각 평균 44. 5±27.4 및 76.7±32.1 초였으며, 무호흡기간에 따른 마취유도시간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3. 대조군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과 맥박은 마취전치에 비해 기관삽관직 후 각각 45.3 및 29.5 7mmHg와 분당 46.4회씩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은 기관삽관후 2분, 맥박은 3분까지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은 마취유도 중 점차 감소하다가 기관삽관후 각각 117.2±21.8 및 76.9±17.3 mmHg로 최고에 달하였고, 맥박은 마취유도후 1분에 약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여 기관삽관직 후 분당 111 .9±25.5회로 최고를 보였으며, 혈압 및 맥박모두 기관삽관후 3분까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과 맥박은 실험군에서 마취전 이완기혈압이 높았으나, 기관삽관직후부터는 대조군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파 맥박이 의의있게 높았다.

4 .실험군 30명중 2명은 실패하였으며, 부작용으로는 기침 5명 (17.9 %), 부정맥 4 명(14.35%), 움직임 4명 (14.3% ) 및 분비과다 1명 (3.6%)이었다.

5 .실험군에서 마취후 각성시, 28명중 27명이 마취제 냄새를 기억했으며, 3명은 유쾌, 20명은 보통 그리고 4명이 불쾌감을 표시했으며, 차후 마취가 필요시 같은 방법 재시도 수용여부에 대해 24명이 긍정을 표시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1회 폐활량을 이용한 halothane마취유도는 심폐질환이 없고 수기에 협조할 수 있는 성인환자에서 비교적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마취유도법 중의 하나이며 마취유도시 기관내 삽관등으로 인한 심혈관계 반응을 특별한 다른 처치 없이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Inhalation induction of anesthesia is seldom used in a routine adult praction because of the long induction time and the prolonged excitement phase with the rusk of larngospasm and vomiting. So, in modern practice, anesthesia is usually administermed intravenously and produces unconsciousness pleasantly. However, there are situations where intravenous induction may not be ideal, and where rapid induotion is still desired.

The author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inhalation induction of halothane using a vital capacity breath as a substitute for intravenous induotion of anesthesia.

The patients in this study had an ASA physical status of I or Ⅱ and presented no cardiopulmonary disease or abnormal la-boratory data.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n=30) and an experimental group (n=30).

Control group : Intravenous induction with thiopental sodium Experimental group : Inhalation induction with halothane using a vital capacity brea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males and 16 females. The mean age was 87.8+11.5 years, and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16 to 65 years. Body weight was ranged from 44 to 75 kg with a mean of 59.8±8.0 kg.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17 males and 13 females. The mean age was 28.9±13.7 years, and the age ranged from 18 to 65 years. The mean body weight was 57.4±8.1 kg, and body weight ranged from 43 to 75 kg.

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pnea time ranged from 20 to 105 sec. with a mean of 44.5+20.4 sec. The mean induction time was 76.7±32.1 sec. and induction time ranged from 20 to 150 sec.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apnea time and induction time.

3. The hemodynamic changes were as follows :

a. There were significantly greater changes 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during intubation and postintubation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p < 0.05).

b.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in the control group (p < 0.05), but it seemed not to be hazardous clinically.

4. Induction was impossible in two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ue to profuse secretion or excitement.

5. The side effects in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coughs (5 cases), arrythmias(4), excitements(4) and secretion(1), respectively.

6. Postanesthetic comm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 27 of the 28 patients remembered the anesthetic smells: 3 pleasantly, 20 moderately and 4 unpleasantly.

In conclusion, inhalation induction of halothane using a vital capacity breath is a safes, acceptable and practical alternative to intravenous induction in cooperative adult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8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Min, Kyeong Tae(민경태)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3299-4500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