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83

Cited 0 times in

치료를 요하였던 신생아 황달 발생의 위험요인 : 혼전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Other Titles
 Risk factors of the medically treate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 among the infants born to unwed mothers 
Authors
 민경태 
Issue Date
1985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치료를 요하였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H병원에 1982. 1. 1부터 1984. 10. 30까진 입원한 혼전임산부의 신생아 중에서 치료를 요하였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아 336명을 환자군으로 치료를 요하는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등 특이한 임상증세가 없는 신생아 1,407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출생시 체중, 신생아 성별, 산모연령, 출산회수, 임신기간, 분만장소, 산모의 교육정도등의 요인별로 치료를 요하였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S.P.S.S로써 전산처리한 결과를 Rothman & Boice Program을 이용하여 HP-41CX Program 계산기로 정상체중아에 대한 저체중아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 비교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구했다. 저체중에서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 비교위험도의 Confounding Effect가 있는 가를 보기 위해 6개의 변수로 표준화 된 Mantel-Haenszel 표준 비교위험도와 그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혼전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치료를 요하였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의 분포를 특성별로 비교하면, 비포합성 신생아황달 발생 비교위험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46% 더 높았고, 산모연령이 25세 이상일 때에 비해 19세 이하에서는 2.11배, 20-24세에서는 1.7배 높았으며, 출생시 저체중아에서 정상체중아에 비해 52%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2. 혼전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치료를 요하였던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의 위험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출생시 저체중아에서 정상체중아에 비해 비포합성 신생아 황달 발생 비교위험도가 1.52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했으며, 이 비교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신생아 성별, 산모연령, 출산회수, 임신기간, 분만장소, 임산부의 교육정도 등 변수의 영향을 받아서 높아진 것이 아니었다.



[영문]

To knew the risk factors of unconjugate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ase-control study baa conducted with 336 unconjugate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ases required medical treatment and 1,407 randomly selected controls who had no significant clinical symptoms, from 1982 to 1984 in one charity hospital to Seoul.

Seven variables were used to compare the rusk of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Those are berth weight, sex of neonate, age of mother, parity. gestational period, birth place, and level of education of mother. Data was analyzed by computer using S.P.S.S. program. Crude relative risks of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was estimated. To assess confounding and modification effect, the method developed by Kleinbaum et al was used and relative risk were estimated by using Rothman & Boice program.

The results are:

1. The relative risk of unconjugate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was 1.46 times more frequent tn male than that of female and the relative rusk among teenage group was 2.11 times higher than that of older (25 years or older) mothers'. In mothers of 20-24 age group the risk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women aged 25 years or older.

2. The incidence of unconjugate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in low birth weight neonates was 1.52 ti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neonates. This relationship was neither confounded by sex of neonate, age of mother, parity, gestational age, birth place nor level of education of mothe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6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