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721

Cited 0 times in

실험적 중이삼출액의 세포학적 고찰

Other Titles
 Cytological study of the experimental middle ear effusion 
Authors
 문태용 
Issue Date
198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유소아기 난청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삼출성중이염은 이관의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관기능부전에 의한 중이강내 삼출액형성의 병인은 보공수종설(hydrops wx vacuo theory), 감염설 및 알레르기설 등의 학설이 있으나 아직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중이삼출액의 세포학적 연구는 Suehs(1952), King(1953), Senturia 등(1958), Juhn 등(1977), Lim 등(1979)에 의해 점액성 및 장액성 중이삼출액에서의 주종세포(dominant cell)에 대해 연구보고 되었다.

이에 저자는 이관의 기계적 폐쇄로 인한 중이삼출액의 형성여부와 삼출성중이염의 병인과 그 임상경과에 따른 치료시기의 결정 등에 도움을 주고저 고양이의 이관페쇄로 삼출성중이염을 유발시켜 최초의 삼출액 형성시기, 삼출액의 세포학적 분석 및 세균배양을 시행하여 장액성 및 점액성 삼출액에서 주종을 룬세포를 관찰하고 중이강점막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관폐쇄술 후 18시간에 최초로 중이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전 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었다.

2. 수술현미경 소견은 이관폐쇄술 후 제 14일 이후에 점막비후가 가장 심하였으며 삼출액의 양도 가장 많았다.

3. 삼출액의 세포학적 분석에서 중이삼출액의 특성과 주종을 이룬 세포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실험초기에는 호중구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제14일 이후에는 단핵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식세포는 제7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4. 삼출액이 세균배양검사에서는 전 실험에서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5. 중이점막의 병리학적 소견에서 상피세포, 배세포 및 혈관의 증식과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염증세포는 세포학적 분석에서와 같이 초기에는 호중구가 그 이후에는 단핵구가 주종을 이루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관찰하건데 이관의 기능이 삼출성중이염 유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삼출성중이염이 무균성 염증반응의 결과라고 사료되어 삼출성중이염 치료에는 발병초기에 중이강통기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Otitis media with effusion, described first by Politzer(1867),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unction of auditory tube, but its etiology and pathogenesis are not clearly defined yet.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its pathogenesis including hydrops ex vacuo theory which was most reliable now a days.

In this paper, using thd cats in experimental animals, cytological study of the effusion and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middle ear mucosa in otitis midia with effusion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effusion was foun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18 hours of auditory tube obstruction

2. In cytological study of the effusion,the fluid characteristics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cells. The polymirpholeukocytes were dominant in earlier days but the mononuclear cells were soon increased. The macrophages were abudant on 7th day after auditory tube occlusion.

3. In culture of the effusion, on bacteria was cultured.

4. By operating microscopy, hypertrophy of the middle ear mucosa was observed especially in the 14th day after auditory tube obsturction and effusion was most remarkable in the 14th day, also.

5. By light microscopy, there were epithelial hyperplasis, proliferation of goblet cells, capillarie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hich showed same distribution as cellular analysi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8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