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36

Cited 0 times in

중추성 뇨분증의 임상 및 뇌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linical and brain CT scan findings in patients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Authors
 문병수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중추성 뇨붕증의 주종을 이주는 특발성 뇨붕증의 원인을 과거에 잘 몰랐던 이유중 하나는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위의 병소를 관찰할 수 있는 적절한 검사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고해상 뇌전산화 단층촬영술이 발달되어 시상하부 ·뇌하수체부위의 미세한 병변이라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과거 고식적인 검사방법으로 특발성 뇨붕증으로 생각되었던 환자에서 종종 시상하부·뇌하수체의 종양, 침윤성 질환 및 육아종등의 원인이 관여되고 있음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는 1970년 1월부터 1985년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하 부속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던 중추성 뇨붕증환자 40예를 대상으로 24시간 소변양을 매일 측정하였고 혈청과 소변의 삼투압과 뇨비중을 측정하고 뇌하수체후엽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수분제한검사를 22예에서 실시하였고 특발성 뇨붕증이 의심되었던 환자 8예에서 고해상 뇌전산화 단층촬영은 시행차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비는 1.2:1이었고 20대와 30대가 전체의 55.5%이었다.

2. 임상증세로 다음, 다뇨, 구갈이 전예에서 있었고 두통, 전신쇄약감, 구토의 순이었다.

3. 입원당시 평균 일일 소변양은 2-8ℓ였고 평균 뇨비중은 1.004±0.002, 소변의 삼투압은 192±122 mOsm/㎏, 혈청 삼투압은 297±41mOsm/㎏였다.

4. 수분제한검사에서 20예가 완전 중추성 뇨붕증이었고 2예가 부분중추성 뇨붕증이 었다.

5. 임상소견, 수분제한검사 및 단순두부촬영에서 특발성 뇨붕중을 의심한 24예의 환자 중 8예에서 고해상 뇌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바 5예 (62.5%)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즉 시상하부 누두의 종양이 2예, 두개인두종이 1예, 안상파급 뇌하수체선종이 1예, 부분성 empty sella syndrome이 1예였다.

6. 특발성 뇨붕증이 의심되었던 7예중 4예(57.1%)에서 혈청 Prolactin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7. 뇨붕증의 원인으로 특발성이 20예 (50.0%),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수술이 9예 (22.5%),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종양과 침윤성 질환이 5예(12.5%), 두부외상이 4예 (10.0%)

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중추성 뇨붕증의 원인중 특발성 중추성 뇨붕증이 가장 많았으며 이 경우 시상하부·뇌하수체부위의 고해상 뇌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므로서 종전에는 발견할 수 없었던 미세병변의 탐지에 크게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Central diabetes insipidus(DI) is a polyu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a deficiency of circulating antidiuretic hormone. It may be resulted by any conditions that cause damage to neurohypophyseal system. Idiopathic cases constitute the major group of primary diabetes insipidus but one can postulate that perhaps the lack of reliable methods to investigate hypothalamus is responsible for this fact. Fourty patients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were evaluated clinically, radiologically and endocrinologically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ast 8 year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2:1 and the highest incidence of central diabetes insipidus was in the third and fourth decades.

2. Daily mean urine output was 2-8ℓ, urine specific gravity 1.O04±0.0021, urine osmolarity 190±122mOsm/kg and serum osmolarity 297±41mOsm/kg.

3. The water deprivation test was performed in 22 cases, among which 20 cases(90.1%) had complete diabetes insipidus and 2 cases(9.9%) had partial diabetes insipidus.

4. Of the 8 cases who underwent sells coronal CT scan, 5 cases(62.5%) had abnormal mass densities on the suprasella area.

5. Among 7 cases with suspicious idiopathic diabetes insipidus, basal serum prolactin levels were elevated in 4 cases (57.1%).

6. Causes of central diabetes insipidus were idiopathic in 20 cases (50%), surgery of the hypothalamopituitary area in 9 cased(22.5%), neoplastic or infiltrative lesions in 5 cases (12.5%), and heed injuries in 4 cases.

In conclusion, in cases with suspected idiopathic diabetes insipidus by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sella coronal CT scan might be useful to detect underlying minute les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Moon, Byung Soo(문병수)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4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