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885

Cited 0 times in

조기파막에 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f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Authors
 노성일 
Issue Date
198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진통전에 양막이 파열될 경우 제대탈출의 위험성이 증가함은 물론 잠복기가 길어지면 이에 비례하여 산모 및 태아감염의 위험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이와같은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만삭전 임산부에게 파막후 곧 유도분만을 실시하면 조숙아 및 저체중아의 출생으로 신생아 이환률 및 주산기 사망률이 높아짐으로, 조기파막 특히 만삭전 조기파막 환자의 산과적 처치는 많은 논의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는 이와같은 난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각종 임상성적을 얻기 위하여 1977년 1월 1일부터 1979년 12월 31일까지 만 3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총 5,881예의 산모중 조기파막으로 확진된 904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또한 그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기록부중 비교적 기록이 정확하였던 신생아 854예를 대상으로 조기파막의 산과적 처치 특히 분막적기 및 예방적 항생제 투여여부에 대해 참고가 되고저 모성 이환율, 신생아 이환률 및 주산기 사망률을 중심으로 한 임상적 분석 고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조기파막의 발생빈도는 15.4%였다.

2) 조산아의 출생빈도는 20.7%였고 저체중아의 출생빈도는 5.7%로 정상 산모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았다.

3) 제대탈출의 발생빈도는 0.8%로서 정상 산모에 비하여 약 2배 높았다.

4) 이상태위(abnormal presentation)의 빈도는 10.5%로서 정상 산모에 비하여 2배이상 높았으며 대부분이 둔위였다.

5) 조기파막에서의 전체 모성 이환률은 7.5%였고 분만방식에 따라 이환률은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잠복기 48시간 이후부터 이환률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 주산기 사망의 원인중 호흡곤란증이 40.9%, 감염에 의한 사망이 4.5%로서 사망의 주원인은 미숙아(prematurity)라고 할 수 있으며 잠복기와는 의의있는 관련이 없었다.

7) 주산기 사망률은 임신 26주∼29주군이 78.6%였던데 비하여 30∼33주군이 19.4%, 34∼37주군이 4.2%로 임신주수에 따라 사망률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항생제의 예방적 장기투여는 모체와 태아의 이환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조기파막에서의 분만적기는 임신기간이 37주 이상이거나 신생아 체중이 2,500g 이상으로 추정되는 성숙아는 파막 즉시 유도분만을 실시하며, 임신 34∼37주군에서는 파막후 폐발육(lung maturation)이 촉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24∼48시

간을 기다린 후에 유도분만을 실시함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 34주 미만이거나 신생아 체중이 2,000g이하일 것으로 추정되면 감염의 증상이나 이학적 소견이 없는 한 가급적 임신 34주까지 분만시기를 연장시킴으로서 주산기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생제의 예방적 장기투여는 모체와 태아의 이환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지 못하였고, 도리어 내성균의 발현 및 장염의 부작용이 염려되므로 사용에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영문]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represents a clinical dilemma for the Obstetrician-Gynecologist. On the one hand, the physician knows the longer the membranes are rutured, the greater the risk for infection for the mother and fetus. On the other hand, immediate delivery for the preterm fetus yields a low-birth-weight infant who must face the risks of prematurity, the greatest of which is RDS. So a retrospective study involving all admissions to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3 years interval 1977 to 1979 was perfo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for terminating pregnancy and efficacy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n an attept to minimize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as 15.4%.

2) 20.7% of all infants born after PROM are prematurity and 15.7% are low-birth-weight, about twice the reported overall incidence in normal pregnancy.

3) The incidence of prolapsed cord associated with PROM was 0.8%, about twice the reported overall incidence in normal pregnancy.

4) The incidence of abnormal presentation was 10.5%, about twice in normal pregnancy, and breech presentation was almost of abnormal presentation.

5) All of the maternal morbidity rate in PROM was 7.5% and markedly increased in rate when the latent period was in excess of 48 hours.

6)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as 40.9% and infectious disease was 4.5% in the cause of perinatal mortality, so prematurity developing RDS was the main cause of the neonatal death. The incidence of fetal infection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RDS as a cause of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which related slightly to the length of latent period.

As the result, in patients with PROM whose gestational age was after 37 weeks or estimated fetal weight was over 2500g, immediate induction resulted in minimal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In 34-37 weeks, induction would be delayed until spontaneous labor within 48 hours after PROM, because PROM may be reduced the incidence of RDS by acceleration of lung maturation.

The use of long term prophylactic antibiotics couldn't reduce the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however, prophylactic antibiotics should be use with special concern due to the emergence of resistant bacteria and occurrence of enterocolitis associated with bacterial overgrowth. Moreover, short term prophylactic antibiotics requires further evalu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33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1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