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69

Cited 0 times in

의사의 전문가적 스트레스 분석에 관한 연구 : 개원의와 전공의의 비교

Other Titles
 Analysis of professional stress : Comparision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resident doctors 
Authors
 김윤진 
Issue Date
198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의사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의사

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개원의와 전공의의 비교를 통하여 양집단간

스트레스의 내용과 정도, 대처방안의 내용과 이용빈도를 알아보고 차이점을 규명하며 이

들과 우울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양 집단간에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 보기 위해 서울시내

가정의학보수교육 참석개원의 114명과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전공의 4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응답한 개원의 67명과 전공의 3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

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개원의보다 전공의가 스트레스가 높았다. 개원의는 법의학적인 문제, 시간의 압

박, 경제적인문제가 주요 스트레스이고 전공의는 법의학적 문제, 시간의 압박, 내인적 의

료 스트레스가 주요 스트레스이었다.

둘째, 개원의는 전공의보다 대처방안 이용빈도가 높았고 양자가 자기합리화와 적응, 사

회적 지지를 대처방안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셋째, 스트레스 정도와 우울정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개원의는 부적절한 업무량,

자기확신의 문제, 다른 의사나 의료인과관계, 법의학적 문제, 경제적 문제의 스트레스정

도가 우울정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공의는 내인적 의료스트레스, 자기확신의 문

제, 사회활동의 격리, 다른 의사나 의료인과 관계, 수련과 교육의 문제의 스트레스 정도

가 우울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대처방안의 이용빈도와 우울정도와의 상관관계에서 개원의는 여가시간의 유용,

자기관리의 대처방안 이용빈도와 우울정도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공의는

여가시간의 유용, 자기관리, 사회적 지지, 자기 합리화와 적응의 대처방안 이용빈도와 우

울정도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공의는 개원의보다 스트레스가 많으면서도 대처방안의 이용빈도가

낮으며,전공의와 개원의는 스트레스의 내용과 대처방안이 상이하고, 우울정도와 상관관계

를 가지는 스트레스의 내용과 대처 방안의 내용이 개원의와 전공의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In this study, the stress of medical profession between 67 doctors in general

practice and 30 doctors under training resident who work in medical school

hospital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omparing the stress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resident doctors,

the latt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ress. The general

practitioners had more stress primarily on medicolegal problems, less leisure time

and financial problems in order respectively, where as the residents also had more

stress primarily in medicolegal problems, secondarily it was less leisure time and

finally intrinsic medical stress which had put more stress on them.

2) The general practitioners were more able to cope with the situ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both the general practitioner and the residents

used rationalization and adaptation, social support as their main method of coping.

3)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comparison of the decree of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two groups. The general practitione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overwork, loss of self confidence, relationship with

other medical personnels, financial problems. The resid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spect such as intrinsic medical stress, loss of self

confidence, iSolation from social activity, relationship with other medical

personnel, and problems concerning training program and education.

4) Negative correlation was seen in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t use of coping method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case of general

practitioners,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aspects such as proper use of

leisure time, self-care and social support, where 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with respect to the proper use of leisure time, self-care,

social support, rationalization and adaptation in the case of the residents. As a

result, despite higher level of stress, residents were less able to cope with

stress than doctors in general practice. There was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oping with stress, and also i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ntents and depression with that of method of cop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1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9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