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352

Cited 0 times in

백반증환자의 신체상과 우울과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vitiligo 
Authors
 김성신 
Issue Date
1989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백반증환자와 일반피부질환자, 백반중 발생전파 후, 백반증 이환부위별 신체

상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백반증환자의 신체상과 우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

된 상관관계 및 환자-대조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1개 대학병원 피부과에서 백반증� 37명과 일반피부질환자 37명을 편의추출

하여 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1989년 4월 17일부터 5월 13일까지의 24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신체상을 측정하기 위해 박정모가 개발한 신체의미측정도구를 사용

하였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ck의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백반증환자와 일반피부질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

와 백분율, X^^2-test를 사용하였고, 백반증환자와 일반피부질환자의 신체상과 우울정도,

백반증 발생전·후와 이환부위별 신체상은 t - test를, 백반증환자의 신체상과 우울정도

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은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

였다. 대상자의 신체상과 우울정도는 평균점수와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을 구하였고,

백반증환자의 신체상 및 우울정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는 t - test,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백반증환자의 신체상이 일반피부질환자의 신체상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6, P<0.01).

2. 제2가설, "백반증환자의 우울정도가 일반피부질환자의 우울정도보다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t=5.97, P<0.01).

3. 제3가설, "백반증환자의 신체상이 낮을수록 우울정도는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r=-.2244, p>0.05).

4. 제4가설, "백반증 발생이전의 신체상보다 백반증 발생이후의 신체상이 더 낮을 것

이다."는 지지되었다(t=5.51, P<0.01).

5. 제5가설, "노출부위에 이환된 백반증환자의 신체상이 비노출부위에 이환 된 백반

증환자의 신체상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22, P<0.01).

6. 백반증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상과의 관계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경제상태, 백반증 이환기간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백반증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우울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겅제상태, 백반증 이환기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반증환자는 일반피부질환자보다 신체상이 낮고 우

울정도가 높았으며, 백반증 발생이전보다 발생이후의 신체상이 낮고, 비노출부위보다 노

출부위에 이환된 백반증환자의 신체상이 더 낮았으나, 백반증환자의 신체상과 우울정도는

관련성이 없었다.

[영문]

This correlational and case-contro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body image and depression between patients with vitiligo

and patients with mild skin disorders, between patients with vitiligo before onset

and after inset, between patients with vitiligo on body site that is visible and on

a body site that is non-visible, and if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vitiligo.

Thirty seven patients with vitiligo and 37 patients with mild skin disorders were

selected from the skin department of one university hospital for this study. The

sampling used was a non-probability, convenient sampling techniqu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7

to May 13, 1989.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Body Meaning Scale

developed by Park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y Beck.

Analysis for data was done using percentages,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s,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 X^^2-test, t-test and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The body image score for patients with vitiligo will be

lower than for those with mild skin disorder." was supported (t=6.36,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e depression level for patients with vitiligo will

be higher than for those with mild skin disorders."was supported(t=5.97, p<0.01).

3. The third hypothesis, "The lower the body image score,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for patients with vitiligo." was rejected(r= -.2244, P > 0.05).

4. The fourth hypothesis, "The body image score for after onset of vitiligo will

be lower than for before onset."was supported(t=5.51, p<0.01).

5. The fifth hypothesis, "The body image score for vitiligo on visible body sites

will be lower than for non-visible body sites." was supported(t=4.22, p<0.01).

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the body

image score in patients with vitiligo.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factors except sex and

the depression level in patients with vitiligo.

In conclusion, the body image score for patients with vitiligo was lower than for

those with mild skin disorders, the depression level for patients with vitiligo was

higher than for those with mild skin disorders, and the body image score for after

onset or for visible body sites for vitiligo was lower than for before onset or for

non-visible sit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vitiligo.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20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