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11

Cited 0 times in

신생아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안양시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to obstetrics which infuluence on the weight of the neonate 
Authors
 김삼례 
Issue Date
1987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신생아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임부들의 인구학적 특

성 및 산과적 특성과 신생아 체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의 3개 종합병원과 1개 산부인과 병원에서 1986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살아 있는 신생아를 분만한 999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방법은

병상기록지를 이용한 후향성 기술연구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부의 인구학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신생아의 특성을 종

속변수로 보았다.

분석은 위의 3개의 내용을 변수군으로 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임부의 연령

, 결혼여부를, 대상자의 산과적 특성으로는 만기산경험, 조산경험, 자연유산경험, 인공임

신중절경험, 마지막 임신종결유형, 재태기간, 총임신횟수, 총출산횟수, 현존자녀수, 출산

터울, 산전수진횟수, 현재분만형태, 분만결정요인, 임부의 혈색소치, 임부의 체중증가,

임부의 매독반응, 임부의 혈압, 이상태위, 이상양수량을 포함하였고 신생아의 특성으로는

신생아체중, 1분시의 신생아상태(Apgar Score at 1 min), 신생아사망, 합병증으로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변수는 모두 25개였다.

자료의 분석에서는 임부의 인구학적 및 산과적 특성과 신생아 특성에 대하여 빈도, 백

분율, 평균을 보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는 t-test나 ANOVA, Pearson correlat

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신생아를 분만한 임부의 평균연령은 27.3세였으며, 미혼이 13

명(1.3%)이었다.

2) 산과적 특성을 보면 출산시기에서 만기산이 830명(83.5%), 조기산이 164명(16.5%)이

었으며 합병증으로 인해 분만하게된 임부가 184명(18.4%)이었다.

평균임신횟수가 2.18회, 출산횟수가 1.54회, 현존자녀수가 1.49명, 산전수진횟수가 3.7

4회 였다. 임부의 평균혈색소치가 11.28 gm, 평균체중증가가 11.79kg이었고 매독반응이

양성인 임부가 23명(2.3%), 고혈압임부가 54명(5.4%), 이상태위가 64명(6.4%), 이상양수

량을 가진 임부가 15명(1.5%)이었다.

3) 신생아의 특성을 보면 신생아의 체중은 저출생체중아가 199(19.9%), 정상체중아가 8

00명(80.0%)이었다. 평균 1분시의 신생아 상태(Apgar Score at 1 min)는 6.95점이었고 신

생아 사망은 43명(4.3%)이었으며, 합병증 발생은 224명(22.4%)으로 이중 26명(2.6%)이 선

천성기형아였다.

4)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인 결혼여부에 따른 출생시 신생아 체중과의 관계는 기혼자

집단의 평균 신생아 체중은 3.01kg이었고 미혼자집단의 평균 신생아 체중은 1.97kg이었다

.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5) 대상자의 산과적 특성인 만기산경험유무, 조산경험유무, 자연유산경험유무, 산전수

진유무, 임부의 매독반응, 이상태위, 이상양수량, 임부의 혈압, 출산시기에 따른 평균 신

생아 체중을 분석한 결과 만기산경험이 없는 임부, 조산경험이 있는 임부, 자연유산경험

이 있는 임부, 산전수진을 받지 않은 임부, 매독의 양성반응, 이상태위, 이상양수량, 고

혈압임부, 조기분만한 임부의 평균 신생아 체중은 각각 2.95kg, 2.14kg, 2.69kg, 2.85kg,

2.29kg, 2.30kg, 2.32kg, 2.45kg, 2.17kg이었고, 만기산 경험이 있는 임부, 조산경험이

없는 임부, 자연유산경험이 없는 임부, 산전수진을 받은 임부, 매독의 음성반응, 정상태

위, 정상양수량, 정상혈압, 만기산분만한 임부의 평균 신생아 체중은 3.06kg, 3.04kg, 3.

01kg, 3.05kg, 3.02kg, 3.05kg, 3.01kg, 3.00kg, 3.17kg이었다.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6) 마지막임신종결유형을 만기산, 조기산, 자연유산, 인공임신중절, 사산, 초산간으로

구분하여 신생아체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균신생아체중은 각각 3.14kg, 2.01kg, 2.

74kg, 3.02kg, 2.31kg, 2.97kg이었다. 현재 분만형태를 자연질식분만, 흡입분만, 제왕절

개분만, 둔위분만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신생아체중은 각각 2.95kg, 3.23kg,

3.00kg, 1.95kg이었다. 분만결정요인을 만기산, 임신중독중, 조기 파수 및 조기진통, 전

치태반 및 태반조기박리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신생아체중은 각각 3.02kg, 2.3

0kg, 2.09kg, 2.00kg이었다. 각 변수의 집단간에 따른 신생아 체중의 차이는 통계학적으

로 유의하였다(P<0.001).

7) 산과적 특성과 신생아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재태기간이 길수록(r=0.6872),

임부의 체중이 증가할수록(r=0.4673), 만기산경험횟수가 증가할수록(r=0.0864), 현존자녀

수가 많을수록(r=0.0564) 신생아 체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조산경험횟수가

증가할수록(r=-0.2880), 임부의 혈압이 높을수록(r=-0.2813), 자연유산경험횟수가 증가

할수록(r=-0.0979), 출산터울이 길수록(r=-0.0615), 임부의 혈색소치가 높을수록(r=-0.05

41), 신생아 체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8) 신생아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를 단계

적중회귀분석한 결과 신생아 체중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임신합병

증, 임부의 체중, 재태기간, 임부의 혈압, 이상태위이었으며 이 변수들로 71.2%까지 설명

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산전관리교육을 통하여 임신중 이상징후의 조기발견과 조산의

가능성에 대한 예방, 적절한 영양섭취로 인한 적절한 체중증가 및 정기적인 산전수진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의 조기발견 및 제거와 태아의 위치를 촉

진하여 조기운동으로 정상태위가 되도록 지식을 보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 자료는 예방적인 측면에서 저출생체중아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서 정상체중아 분만율

을 증가시켜 국민의 건강향상에 필수적인 지역사회 건강관리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

는 기본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factors influencing the weight of the

neonate.

The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was 999, parturient women who gave a live

birth at one of 3 general hospitals or one obstetrical hospital in the city of An

Yang.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retrospective survey of the patient's recor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rics of the subjects, such

as age, and marriage, and obstetrical characteristics.

The dependent variables was the weight of the neonate.

The total number of variables was 25.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Pearson correlation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eight of the neonate and the following variables, history

of full team delivery, premature delivery, spontaneous abortion, number of living

child, spacing of delivery, gestational age, Hgb, mother's weigh gain during

pregnancy, and B.P.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7.3 yrs and there were 13(1.3%) unmarried

mothers in the study sample.

2) Obstetrically, the number of full term deliveries was 830(83.5%), premature

deliveries 164(16.5%), and deliveries induced because of complications 184(18.4%).

The mean number of pregnancies was 2.18, deliveries 1.54, children 1.49, subjects

who had antenatal care 3.74. The mean hemoglobin level for the subjects was

11.28gm. The mean weight gamin during pregnancy was 11.79Kg. 23(2.3%) subjects had

positive VDRL teats, 54(5.4%) had hypertension, 64(6.4%) abnormal fetal position,

and 15(1.5%) had an abnormality of the amnion.

3) Regarding the weight of the neonate, 199(19.9%) of them were babies of low

berth weight and 800(80.0%) of them were babies of normal weight. The mean Apgar

Score at 1 minute after berth was 6.95. There were 43(4.3%) neonatal death,

224(22.4%) with complications and 26(2.6%) with congenital abnormalities.

4) The mean weight of the neonate for the married group was 3.01Kg and for the

unmarried group 1.97kg.

5) The mean weight of neonate for the primipara group, for the group having had

premature deliveries of spontaneous abortions, for the group having had no

antenatal care, being VDRL positive, having abnormal fetal position, abnormalities

of the amnion, or hypertension was lower than for the group with the opposite

characteristics.

6) With regard to the type of termination of the last pregnancy before the

present one, the mean weight of the neonate was for the group delivered at full

term, 3.14kg, for the prematurely delivered group, 2.01Kg, for the group having had

a spontaneous abortion, 2.74kg, for the group having had an artificial abortion,

3.02kg. for the group having had stillbirth, 2.31kg, and for the primipara group,

2.97Kg.

The mean of the neonate for the group with spontaneous delivery was 2.95kg, for

the group with vaccum delivery 3.23kg, with a cesarean section 3.00Kg, and with a

breech delivery 1.95kg.

7) The variables whi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bstetric characteristics and the weight of the neonate were gestational age

(r=.6872), weight gamin by the mother during pregnancy(r=.4673), the number of full

term deliveries(r=.0864), the number of living child(r=.0564), and those which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the number of premature

deliveries(r=-.2850), B.p(r=-.2813), the number of spontaneous abortions(r=-.0979),

spacing of delivery(r=-.0615), Hgb level(r=-.0541).

8)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complication during

pregnancy, weight increase during pregnancy, gestational age, B.p of the pregnant

women, abnormal fetal position, accounted for 71.2% of the variance in the weight

of the neonate.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nurses must make

practical efforts to prevent premature deliveries to give guidance about proper

nutrition, to enforce regular antenatal care, and to identify early pregnant women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have it controlled.

This data, the researcher thinks,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in teaching

pregnant women about the prevention of premature and Low birth deliveries, which

wall be helpfull in promoting health status in a preventive aspect.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