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01

Cited 0 times in

생산직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적응방법에 대한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stress and the coping methods used by manual workers and clerical workers 
Authors
 강정희 
Issue Date
1989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에 적응하

는 방법을 파악·비교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구로공단 소재 8개 제조업체 남녀 생산직·사무직 근로자 320명을 대상으로 Ilfeld에

의하여 제작된 정신건강지수(Psychiatria Symptom Index)와 Bell이 고안한 스트레스법 사

용 척도(Stress Coping methods Scale)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증상별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적응방법을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1989년 4월 5일부터 4월 10일까지 본 연구자가 8개 제조업체를 방문하여 설

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전산처

리 하였으며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의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방안모색을 위하여 기초자

료로 제공되어질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산직은 사무직에 비하여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 증상을 많이 느꼈으며 특히 불

안증상·우울증상·인지장애증상에서 사무직보다 높은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다.

2)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가 높았고, 연령이 적을수

록 불안증상이 높았으며, 고졸이하군이 대졸군에 비하여 불안·분노증상을 높게 호소하였

다.

3) 남자군에서는 생산직이 사무직에 비해 전체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으며, 여자군에서

는 생산직이 사무직에 비해 인지장애 증상이 높았다.

두 군 모두 연령이 적을수록 불안증상이 높았으며(r= -.13 P<.05), 고졸이하군에서는

생산직이 사무직에 비해 전체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다.

4) 생산직이 사무직에 비해 단기적응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사무직이 생산직에 비

해 장기적응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5) 스트레스가 높은군은 낮은군에 비해 단기적응방법 사용 점수가 높고 장기적응방법

사용 점수는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생산직이 사무직에 비하여 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단기적응방법을 많이 사용

하였는데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경험하는 신

체적·정신적 스트레스 증상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건강관리 계획시 이 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건강상담 및 정신 건강관리에 임해주길 바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장기적응방

법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건강기록부를 이용한 체계적인 정신 건강관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특히 스트레스 증상중에서 연령이 적을수록 불안이 높았는데 앞으로 연소 근로자에 대

하여 불안증상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구체적인 정신 건강관리방안과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

가 시도되었으면 한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ress and the coping methods used by manual workers

and clerical workers between April 5 and April 10, 1989.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65 manual workers and 155 clerical workers of

the 8th Industrial factory of the Guu-Ro Industrial Base in Seoul, Korea.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tress symptoms and severity of

stress, and the difference in coping methods used by each of the manual worker

group and the clerical worker group.

Two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Stress symptom were measured by Ilfeld's

(1977) PSI (Psychiatric Symptom Index) which consists of 29 item. J.M. Bell's

(1977) 34 item instrument was used to identify coping methods. Twenty-six of these

items are concerned with short term coping methods and eighttems items are

concerted with long-term methods.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 (Stati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hese results can be used by public Health Nurses in Psychiatric health

management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scores of psysical and psychological complains were much higher in manual

work ers than in clerical workers, especially anxiety, depression and cognitive

disturbances.

2) Mean score of psychiatric symptoms for broth workers was higher in females,

youth, and low educated workers.

3) Mean score of psychiatric symptom in man workers was higher in manual worriers

than in clerical workers.

Mean score of cognitive disturbance symptoms in female workers were higher in

manual workers than in clerical workers.

Mean score of psychiatric symptom in low educated workers was higher in manual

workers than in clerical workers.

The yonger age group has the more complaints of psychiatric symptoms(r=-.13

p<.05).

4) Manual workers used more Short-term coping methods than clerical workers and

clerical workers used more Long-term coping methods than manual workers.

5) The mean score of Short-term coping methods was higher in high stressed group

than in the low stress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score of Long-term coping methods was higher in the low stressed group

than in the high stress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