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1737

Cited 0 times in

뇌졸증환자의 운동유발전위 검사

Other Titles
 Motor evoked potential in stroke 
Authors
 강민정 
Department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Issue Date
199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저자는 뇌졸증환자의 기능회복수준에 따른 운동유발전위 및 체성감각유발전위를 비교분

석하여 그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 향후 뇌졸증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예후예측 인자로

서의 유용성을 알아보아 포괄적인 재활치료의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정상성인 7명과

1771년 9월 1일 부터 1992년 6월 31일까지 뇌졸증으로 보존적치료를 받고 연세대학교 의

과대학 재활의학과에 입원된 14명의 편마비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2개월 이내 및 2개월 후

에 운동유발전위 및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고, 뇌병소, 근력변화 및 Modified B

arthel Index 점수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군의 전례에서 유발된 건측 경추부 및 요추부까지의 평균 중추운동전도시간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환측의 경우 각각 7례에서 유발되었으며 대조

군과 건측에 비하여 전도시간이 유의하게 지연되었고 2개월 후에도 계속적으로 지연되었

다(P<0.05).

2. 발병 초기에 시행한 운동유발전위 검사상 단무지외전근 및 족무지외전근, 두 부위에

서 모두 반응을 보인 환자군(4례)과 두 부위 중 어느 한곳에 만 반응이 있었던 환자군(10

례) 사이의 Modified Barthel Index 점수가 발병초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개월

후에는 두 부위 모두 반응을 보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환자군에서 뇌병소에 따른 운동유발전위 반응은 대뇌피질 병변인 경우 10례 중 9례

에서 무반응을 보였고 대뇌피질하부 병변인 경우 4례 중 3례에서 반응이 있어 뇌병소간

운동유발전위 반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초기에 운동유발전위 및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에 모두 반응을 보인 환자군(4례)과

두 검사 중 어느 한 검사에 무반응을 보인 환자군(10례)의 Modified Barthel Index점수는

발병초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개월 후에는 양 검사에 모두 반응을 보인 환자군

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근력변화와 운동유발전위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으며, 또한 체성감각유발전위와 뇌

병소 및 Modified Barthel Index 점수 사이에도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졸증의 발병 초기에 운동유발전위 및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모두 반응을 보이면 기능회복이 좋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며 두가지

검사를 모두 하는것이 기능회복에 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영문]

Nine normal subjects and fourteen patients with radiologically confirmed stroke,

and varying degrees of hemiparesis were studied using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nd the recently developed technique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he Modified Barthel Index score which is best Known to represent the functional

status of a strobe patient was assessed at the time of evoked potential testing

within 2 Months after strobe onset and again on follow-up 2 months later, Stroke

location and degree of recovery in terms of muscle power and functional status were

compared with the evoked potentials elicited an average 42.5 days after the acute

event.

Motor response was better (p < 0.05) than somatosensory response, at predicting

an outcome in terms of functional recovery, which failed to do so in this study.

The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s in the examined muscles facilitated by

contraction of the contralateral corresponding musc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involved aide. While absence of response and normal response were seen after

broth cortical and subcortical lesions, delayed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 only

were seen in cases of subcortical lesions, which may be indicative of subcortical

lesion? following stroke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voked potential response and degree of recovery in muscle power. There were no

untoward side effec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3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ang, Min Jung(강민정)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6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