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81

Cited 0 times in

항정신병 약물이 마우스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hlorpromazine and haloperidol on cell-mediated immunity in mouse 
Authors
 김경희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1950년대에 항 정신병 약물이 정신병 치료에 도입된 이래,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와 이해에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근년 Fessel(1962), Solomon 및 Moos(1964), Heath 및 Krupp(1967), Stein등(1976)은 정신질환의 본태를 규명하고자 면역학적 측면의 연구를 하였다. 특히 정신분열증 환자 혈청에서 비정상적 면역글로부린, 항뇌 항체 및 비특이적 임파구 등을 관찰하였다는 연구

보고가 있는 바, 이러한 비정상적인 면역 기능의 원인에 대해서는 몇 가지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첫째, Torrey등(1978)은 바이러스 양 물질에 대한 반응으로 보았고 둘째, Burch(1964) 및 Heath와 Krupp(1967)는 정신분열증을 자가 면역 질환의 현상으로 보았다. 세째로, Fieve 등(1966), Knowles등(1970) 및 Zarrabi등(1979)은 정신병 환자에서 보는 비정상적 면역 반응은 치료에 사용된 phenothiazine 유도체등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반응으로 보았다.

이에 저자는 대표적 항정신병 약물인 chlorpromazine과 haloperidol이 마우스의 면역계 특히 세포성 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관찰하고자 immune-psychopharmacological study를 시도하였다. 즉 chlorpromazine과 haloperidol을 사용하여 이들 약물이 마우스의 말초혈 백혈구수와 임파구율, 흉선 세포수 및 비장의 T임파구와 B 임파구에 미치는 영향과 T임파구의 기능 즉 세포성 면역을 연구하는 in vitro 방법인 phytohemagglutinin(PHA)자극에 의한 임파구 전환반응 및 in vivo방법인 BCG접종에 의한 지연형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실험동물은 체중 18∼20gm의 웅성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chlorpromazine(Smith Kline & French Lab.)과 haloperidol(Janssen pharmaceutica)을 투여하였고, 이는 각기 4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chlorpromazine(CP) 투여군은 ① CP(5mg/kg) 단독군, ② CP(5mg/kg) 재투여군, ③ CP(15mg/kg) 단독군, ④ CP(15mg/kg) 재투여군이며, haloperidol(H) 투여군은 ① H(1mg/kg)단독군, ② H(1mg/kg)재투여군, ③H(5mg/kg)단독군, ④ H(5mg/kg) 재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saline(S)투여군으로 ① S(0.2ml)단독군, ② S(0.2ml)재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모든 단독군은 규정된 용량의 약물, 또는 생리적 식염수를 1회 복강내 투여하고 48시간 후에 희생시켰고, 모든 부스터군에서는 1회 복강내 투여한지 48시간 후에 재투여하였으며, 재투여한지 78시간 후에 희생시켰다.

희생시키기 직전 에테르 마취 하에 후안와 정맥총에서 취한 말초혈로 백혈구수와 임파구율을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희생시킨 후 무균 조작하에서 비장과 흉선을 적출하였다. 흉선세포및 비장의 T임파구와 B임파구는 직접면역 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Golub(1971) 방법으로 흉선세포와 비장 T임파구는 rabbit anti-mouse brain(C^^3 H), adsorbed, fluorescein isothiocyanate conjugated(Bionetics)를, 비장 B임파구는 fluorescein-conjugated goat anti-mouse immunoglobulin G(Tago)를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포성 면역반응을 보기 위하여 PHA자극에 의한 임파구 전환반응은 Webel등(1975)의 방법으로 하여 liquid scintillation β-counter(Packard)로 그 방사능을 측정하였고, 또한 BCG-Y 생균으로 면역킨 4주 후에 튜버쿨린 반응측정은 PPD를 피내주사한 후 (0, 24

, 48, 72시간 후) dial thickness gauge(Mitutoyo MFG Co. LTD)로 마우스 족저 두께를 측정하므로 지연형 과민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우스 말초혈 백혈구수는 chlorpromazine 및 haloperidol투여군 모두에서 각기 대조군보다 유의하계 감소되었으며, 이는 대체로 재투여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말초혈 임파구율은 haloperidol 투여군에서만 대조군보다 유의하계 감소되었다.

2. 마우스 흉선세포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각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특히 chlorpromazine 15mg/kg, haloperidol 1mg/kg 및 5mg/kg재투여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3. 마우스 비장 T 임파구는 chlorpromazine투여시는 15mg/kg 재투여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계 감소되었고, haloperidol투여시는 1mg/kg 재투여군, 5mg/kg 단독군 및 재

투여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계 감소되었다.

4. PHA자극에 의한 임파구 전환반응은 chlorpromazine 및 haloperidol 투여군 모두에서 각기 대조군보다 유의하계 떨어졌다.

5. BCG로 접종한 후 PPD를 이용한 지연형 과민반응을 관찰한 바, chlorpromazine 및 haloperidol투여군에서 각기 대조군에 비하여 PPD에 의한 지연형 과민반응이 감소되었다.

이로서 chlorpromazine과 haloperidol은 마우스의 세포성 면역능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영문]

Since the introduction of neuroleptic drugs for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early 1950's,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and etiologies of psychosis.

During recent studies to explain the nature of psychiatric disorders, an association between abnormal immune function and illness was observed by several investigators (Fessel, 1962: Solomon and Moos, 1964: Heath arid Krupp, 1967; Stein et al, 1976). Although the etiology of altered immunological function in

schizophrenia is unknown, several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These include a manifestation of an autoimmune disease (Burch, 1964; Heath and Krupp, 1667), a reaction to viral-like substance in some schizophrenics (Torrey et al, 1978: Crow

et al, 1979; Tyrell et al, 1979), and the effect of pharmacological treatment(Fieve et al, 1966; Knowles et al, 1970: Zarrabi et al, 1979).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relatioship between neuroleptics and immune functio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chlorpromazine and haloperidol on murine cell-mediated immunity wart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s. male ICR mitre, weighing approximately 18∼20 gm were uses.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salin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mice treated with chlorpromazine(CP) at 5 mg/kg or 15mg/kg or haloperidol(H) at 1 mg/kg or 5 mg/kg. Each of these treatment groups(S, CP 5 mg/kg.

CP 15 mg/kg, H 1mg/kg, H 5 mg/kg) was further subdivided into a group that received a single dose and a group that received a initial dose and a booster dose. All drug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 the groups receiving a single dose.

the mice were sacrificed 48 hour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e drug. In the booster groups, the booster injections were given 48 hoers after the initial injections, and the mice were sacrificed 72 hours after the booster dose. Blood samples for the differential count of lymphocyte were taken from the retro-orbital plexus and white blood cell and the differential count of lymphocyte were determined by direct smear. All mouse were sacrificed after bleeding, and the spleen and thymus were removed. Mononuclear cells from the spleen and thymus cell

suspensions were isolated by the Ficoll-hypaque technic (Kim et al, 1977). Thy-1 bearing cells from the thymus and spleen were identified by direct immunofluoreacence with rabbit anti-mouse branin(C^^3H) adsorbed. fluorescein istothiocyante conjugated(Bionetics) (Golub, 1971). The spleen B lymphocytes were identified by direct immunofluorescence with fluorescein-conjugated goat anti-mouse immunoglobulin G(Tago) (Golub, 1971). To evaluate cellular immunity, PHA stimulated lymphocyte transformation was measured by counting 3**H-thymidine uptake by the splenic lymphocytes(Webel et al, 1975), and the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induced by BCG vaccination was also studied.

The fi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chlorpromazine and halperidol pro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ripheral blood WBC count, but only in the haloperidol group was the absolute lymphocyte count significantly decreased.

2.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chlorpromazine and haloperidol pro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bsolute number of thy-1 bearing cells. This effect wart most remarkable in the chlorpromazine 15 mg/kg booster group, and haloperidol

1 mg/kg and 5 mg/kg booster groups.

3. In the chlorpromazine 15 mg/kg booster group, the haloperidol 1 mg/kg booster group, and the haloperidol 5 mg/kg single and booster groups, the absolute spleen T lymphocyte cou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4.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chlorpromazine and haloperidol impaired the in vitro lymphocyte resonpse to PHA.

5.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the PPD following BCG vaccination was negative.

On this evidence, it is concluded that chlorpromazine and haloperidol inhibit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of the mou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29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