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118

Cited 0 times in

유방섬유선종의 방사선영상과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adiologic imagings and pathologic correlation in breast fibroadenoma 
Authors
 권태희 
Issue Date
198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유방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필름유방촬영법(film mammography), 전산화유방촬영법, 건조유방촬영법(xeromammography), 자기온도법(thermography)등이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초음파유방촬영법(ultramammography), 세침흡인세포검사법(aspiartion cysto logy)등이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진단방법의 다양화와 임상적이용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유방암에 대한 경계심과 조기진단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젊은 연령층에서 발견되는 유방암은 젊은 연령층에서 호발하는 유방섬유선종과의 감별이 필수적이다.

저자는 유방섬유선종이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62례의 필름유방촬영소견과 동일대상 중에서 초음파유방촬영을 시행한 35예의 초음파소견을 관찰하고 유방섬유선종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를 비교하여 본 결과 그 특징적인 소견에 차이점을 발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유방섬유선종의 호발연령은 대부분이 20대와 30대(74%)였다.

2. 섬유선종의 필름유방촬영상 유방의 유형은 P2와 7Y유형이 50예(80%)였다

3. 섬유선종의 병소의 크기는 1.0-3.Ocm사이가 55병소(71%)를 차지하였다.

4. 섬유선종의 필름유방촬영소견은 종괴주위의 유두륜징후(balo sign)가 80%에서 보였으며 종괴의 경계가 잘 구별된 경우가 58%에서 보였다. 유방섬유선종의 초음파소견은 종괴의 경계가 부드러운 경우가 84%, 내부에코가 균등한 경우가 80%, 중등도에코 소견이 94%, 측면굴절음영(lateral shadowing)이 71%에서 관찰되었다. 초음파소견상 섬유선종의 장경대 횡경의 비율은 0.5-1.0사이가 37병소(73%)였다.

5. 섬유선종의 필름유방촬영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를 분석하여 본 결과 유두륜 징후(80%)가 주로 보이고 종괴의 경계가 비교적 불분명하며(45%), 분엽양모양인 경우(15%)는 기질성분 우세 섬유선종에서 보였고, 유두륜징후(68%)가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으며

종괴의 경계가 불분명(45%)한 경우는 혼합형 유선종의 특징적인 소견이었다.

섬유선종의 초음파유방촬영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세포유형을 비교한 결과 부드러운 종괴의 경계는 도관세포 우세 섬유선종(100%)과, 기질성분 우세 섬유선종(89%)에서 많았고, 종괴의 모양이 구형은 혼합형 섬유선종(67%), 난형은 도관세포 우세 섬유선종(67%)에서

많았으며, 분엽양은 기질성환 우세 유선종(45%)에서 흔히 보였다. 종괴의 내부에코는 도관세포 우세 섬유선증(83%)과 혼합형섬유선종(81%)에서 균등한 내부에코를 나타냈고 기질성분 우세 섬유선종에서는 불균등한 내부에코를 한 경우가 22%나 되었다.





[영문]

Radiographic examination of the breast has been so improved that it became a routine complement to phsical examination.

The author studied 62 cases of film mammographic findings and 35 cases of ultramammographic findings among confirmed 62 fibroadenomas and also author analysed histopathologic cell type and ultramammographic findings of confirmed fibroadenomas.

The rsults were as followed:

1.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3rd and 4th decade (74%).

2. The most dense breast pattern by Wolfe classification were P2 and Dy pattenrs (80%) in film mammography.

3. The most common size of fibroadenoma was 1.1-3.0cm (71%) in long diameter.

4. Film mammographic findings of fibroadenoma generally showed single mass in 54 lesions (87%), well defined margin of mass in 45 lesions(58%) and halo sign in 62 lesions(80%). Ultra mammographic findings of fibroadenoma showed oval shaped mass

in 26 lesions(15%) with smooth margin of mass in 43 lesions (84%), and showed mostly intermediate internal ecbo in 48 lesions(94%). Most ultra mammographic L/T radio of fibroadenoma was 0.5-1.0 in 37 lesions(73%).

5. In relationship between histopathologic cell type and film mammographic findings, well defined margin of mass is prominant in ductal cell dominant fibroadenoma(71%), however lobulation of margin is commonly seen in stromal component dominant fibroadenoma (15%) and spiculated margins of mass could be seen

in mixed fibroadenoma(6%) and stromal component dominant fibroadenoma (3%). Halo sign of fibroadenoma was commonly seen in ductal cell dominant fibroadenoma(80%) and stromal component dominant fibroadenoma(85%). In relationship between bistopathologic cell type and ultramammographic findings, round shaped mass(67%), lateral shadowing (74%) were common in mixed type of fibroadenoma, lobulated margin of mass (45%), intermediate(94%) with uniform(78%) internal echo were common in

stromal component dominant type of fibroadenome, and smooth contour (100%) uniform internal echo of mass (83%) was common in ductal cell component dominant type of fibroadenoma.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